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23:44:23

그레이하우스



'''[[네오 프로덕션|
파일:네오 프로덕션 로고(가로).png
]] 계열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ccc><bgcolor=#5c4a3c><color=#eee>
[ 네오 프로덕션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height=130px><width=25%><bgcolor=#87A5A7> 파일:네오 사찬.png ||<width=25%><bgcolor=#DAD9DC> 파일:네오 비스티.png ||<width=25%><bgcolor=#000000> 파일:네오 김종욱.png ||<width=25%><bgcolor=#282536> 파일:네오 어햎.png ||
2013 2014 2016 2016
파일:네오 슬루스.png 파일:네오 배니싱.png 파일:네오 트스.png 파일:네오 사칠.png
2017 2017 2018 2023
파일:네오_글루미선데이.png 파일:네오_마하고니.png 파일:그레이하우스뮤지컬로고.png 로고이미지
2024 2025 202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더웨이브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파일:네오 미스트.png 파일:네오 마지막사건.png 파일:덥웨 일리아드.png 파일:덥웨 라스트맨.png
2020 2021 2021 202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뉴프로덕션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파일:네오 경종.png 파일:네오 샤이닝1.png 파일:네오 와일드.png 파일:네오 웨스턴.png
2019 2020 2021 2022
파일:일라이.png 파일:네오 타어둠.png 파일:2025 모리스 로고.png 파일:올인버 로고.png
2023 2023 2025 2025
파일:네오_타조_로고.png 로고이미지 로고이미지 로고이미지
2025 - - -
}}}}}}}}} ||
※ 해당 제작사의 첫 제작 기준 (트라이아웃 제외)
※ 뉴프로덕션은 별도의 회사로 분리되었으나 편의상 함께 기재

<colbgcolor=#817F80><colcolor=#fff>
그레이하우스
𝐆𝐫𝐚𝐲 𝐇𝐨𝐮𝐬𝐞
파일:네오 그레이하우스 2025.jpg
제작 <colbgcolor=#ffffff,#191919>네오 프로덕션
작,작사 성재현
작곡 주미나
연출 황두수
음악감독 홍정의
공연장 초연: 예스24 아트원 1관
공연 기간 초연: 2025.9.23-2025.12.7
관람 시간 100분
공식 계정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시놉시스3. 줄거리4. 넘버5. 등장인물6. 출연진
6.1. 2025년 초연
7. 둘러보기

1. 개요

네오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대한민국의 창작 뮤지컬.

1920년대, 영화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예술의 전환기를 배경으로, 연극과 무성 영화, 유성 영화라는 격동의 흐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해야 했던 배우들의 선택과 갈등을 그린 뮤지컬 작품이다.

2. 시놉시스


1940년대, 그레이하우스.
영화제작자 커트가 배우 주니어를 만난다.
그리고 그에게 한편의 희곡을 보여준다.

과거 브로드웨이에서 꿈을 키우던 두 배우,
제롬과 키이스의 이야기.

각자의 꿈을 좇으며
함께 무대를 준비했던 공간,
바로 이 곳 그레이하우스.

함께 나누던 대사 한 줄,
숨을 맞추며 연습하던 장면들.

그들의 인생은 하나의 희곡이었고,
세상은 곧 무대였다.

3.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 넘버

M1. 프롤로그 (커트)
M2. 길거리 소년들 (함께) {{{#!folding 【가사/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