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면 관련 문서 |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bgcolor=#cd7000,#cd7000> 종류 | 봉지라면(라면과자) · 컵라면(사발면) · 사리면 · 비빔면 · 짜장라면 · 짬뽕라면 · 김치라면 · 부대찌개 라면 · 프리미엄 라면 | 
| 구성 | 라면 스프(액상스프) · 라면사리(생라면 · 건면) | |
| 요리법 | 라면에 밥 말아먹기 · 생라면 · 뽀글이 · 한강라면 · 치즈라면 · 볶음라면 · 전자레인지 라면 · 달걀국라면 · 쌈장라면 · 김치라면 · 냉라면 · 짜파구리 · 투움바 라면 · 쿠지라이식 라면 · 마크 정식 · 초콜릿 라면 · 천러 라면 · 청와대식 라면 · 908라면 | |
| 기타 | 라면/역사 · 2025 세계라면축제 · 구미라면축제 · 라면보이 · 라면 포트 · 라면 먹고 갈래? · 면식수햏 · 라면 채널 | |
| 분류:라면 브랜드 · 틀:대한민국의 비빔라면 · 틀:농심의 라면 제품 · 틀:삼양식품의 라면 제품 · 틀:오뚜기의 라면 제품 · 틀:팔도의 라면 제품 | ||
|   [[대한민국|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수도권 | <colbgcolor=#fff,#1c1d1f>서울세계불꽃축제 · 롯데월드타워 불꽃축제 · 영등포 여의도 봄꽃축제 · 서울거리예술축제 · 이태원 지구촌 축제 · 서울 빛초롱 축제 · 안산국제거리극축제 · 가평 자라섬 국제 재즈 페스티벌 · 서리풀 페스티벌 · 강남 페스티벌 · 의정부 부대찌개 축제 | 
| 강원권 | 춘천마임축제 · 숲속빵시장 축제 · 강릉단오제 · 화천산천어축제 · 평창송어축제 | |
| 충청권 | 대전빵축제 · 천안빵축제 · 대전국제와인EXPO · 대전0시축제 · 보령머드축제 · 지상군 페스티벌 · 천안흥타령춤축제 | |
| 경상권 | 고령대가야축제 · 진해 군항제 · 부산불꽃축제 · 영덕 대게 축제 · 대구 치맥 페스티벌 · 청도 소싸움 축제 · 포항거리예술축제 · 포항국제불빛축제 · 진주남강유등축제 · 부산국제영화제 · 구미라면축제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 김천김밥축제ㆍ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ㆍ피란수도 부산야행 | |
| 전라권 | 남원춘향제 · 전주국제영화제 · 전주세계소리축제 · 추억의 충장축제 · 함평나비축제 · 무주산골영화제 | |
| 제주권 | 제주들불축제 · 성산일출축제 | |
| 문서가 개설되지 않은 전체 목록은 한국의 축제 목록 참조. | }}}}}}}}} | |
|  구미라면축제 Gumi Ramyun Festival  | |
| <colbgcolor=#e85b2f>  | |
| 주최 | 구미시 | 
| 주관 | |
| 후원 | 경상북도, 농심, 그린패키지솔루션, iM뱅크 | 
| 첫 개최연도 | 2022년 | 
| 홈페이지 | |
| SNS | |
1. 개요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매년 겨울에 정례 개최하는 라면 축제. 구미시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농심 라면 공장이 위치한 지역으로, 전국 라면 1일 소비량의 36%인 380만 개가 생산될만큼 독보적인 생산 시설을 가지고 있다.[1] 이에 구미시의 전폭적인 지지 아래 기존 라면 관련 인프라를 활용하여 2022년부터 축제를 개최하기 시작하였다.2. 역대 행사
2.1. 2022년
|   | |
| ▲ 2022 구미라면 캠핑페스티벌 포스터 | 
갓 튀긴 신라면 판매와 함께 여러 이색 라면, 해외 요리 등이 제공되어 인기를 끌었다. 축제 기간 동안 역전로는 방문인파가 상당했는데 사람이 많아 몇몇 라면은 대략 40분~1시간 정도 대기해야 먹을 수 있었을 정도. 대체로 생산시설이 있는 농심 라면 중심으로 제품이 배치되었고 긴 젓가락으로 라면 먹기, 라면수프 맞추기, 로봇이 끓여주는 라면 등의 참여 행사 등이 준비되었다. 개최 당시 이름은 구미라면 캠핑페스티벌이었으며, 기한도 겨울이 아닌 8월 여름중에 이틀 간 개최되었다.
이틀간의 축제동안 약 15000명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종료되었다.
2.2. 2023년
|   | |
| ▲ 2023 구미라면 축제 포스터 | 
- 2023년부터 이름이 구미라면 축제로 개칭되었고, 축제일자가 수능 직후인 11월 17일로 옮겨졌다. 행사장에 방문하면 입김이 불어 나올 수준.
 
- 작년에 비해 올해 행사 형식이 상당히 개편되었다. 구미역 바로 앞에 있는 역전로를 네 부분으로 나누어 각 행사존을 입점했고, 다양한 테마존으로 구성되어 방문객들의 관심을 받았다.
 
- 전 부스에 가격이 공개되어 있으며, 가격 상한선은 8000원이다.
 
- 라면 이외에도 라면 관련 굿즈, 라거나 전통맥주 등 구미에서 생산된 다른 제품들을 홍보하는 부스가 마련되어 있었다.
 
이같은 인기에 힘입어 구미시는 축제 기간동안 10만명이 행사에 참여했다고 발표해 구미시 축제 중 최대 규모의 흥행을 기록했다. 최다 판매 라면은 소불고기 짜장라면.
2.3. 2024년
|   | |
| ▲ 2024 구미라면축제 포스터 | 
세상에서 가장 긴 라면 레스토랑
공식 홈페이지
구미라면축제가 2024~2025 경상북도 우수 지정 축제로 선정되면서 2년간 1억1000만원의 재정 지원을 받게 되었다. 구미시에서도 해당 축제를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는지 금오산 케이블카에 홍보 포토존을 조성하거나 라면축제 보고회를 여는 등 축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제이제이가 서브채널인 제이제이Lite로 해당 축제를 다녀온 후기를 올렸다. #
작년에 이어 당해에만 12만명이 행사를 찾을 정도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2.4. 2025년
2025년에는 11월 7일부터 9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당초 10월 31일 - 11월 1일로 예정됐지만 2025년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 일정 때문에 연기되었다.3. 여담
- 구미시청 공무원이 제출한 사업 설명서 10장에서 시작되었다. 키 포인트는 "공장에서 생산한 지 2~3일이 채 안 된 갓 튀긴 라면을 맛볼 수 있는 축제"였다고.#
 - 구미라면축제의 명성을 이용하여 한 민간 사업자[2]가 2025년 5월 2일부터 11일까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 2025 세계라면축제를 열었으나 졸속 및 부실한 운영[3], 더위 때문에 라면잼버리라는 욕만 먹었다.[4][5] 이후 행사 주최기관이라 하던 '희망보트'가 대금을 주지 않고 그대로 잠적하면서 행사는 파행으로 끝났다.# 다녀온 많은 사람들이 아무리 그래도 '이건 아니다' 싶은지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 9일부터는 아예 무료로 전환했는데 하필 이때 폭우로 물바다가 되어 말 그대로 새만금 잼버리를 재현했다.(...) 그리고 운영자는 잠적했다.
 - 2025년 축제부터는 축제가 열리는 구미역에 대경선이 들어오게 되어 축제 방문객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2025년에는 원주시에서도 라면 페스타가 열린다고 한다.‘삼양라면’의 고장이라는 테마다.
 - 가격 논란을 원천봉쇄하기 위함인지 라면마다 8000원의 가격상한선을 두고 있다.
 - 구미 라면 축제의 성공 포인트는 안전 및 운영 시스템인데
 - 체계적인 안전 관리: 많은 인파가 몰렸음에도 불구하고 경찰, 봉사자 등 각 기관의 협력을 통해 질서 있고 안전한 축제 운영 주도
 - 합리적인 가격 정책: 축제 바가지요금 논란 없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하여 방문객들에게 신뢰를 얻고. 키오스크를 활용한 빠른 주문 시스템 또한 편의성을 높이기
 
[1] 신라면의 75%, 짜파게티의 95%가 이곳에서 생산된다.[2] 무명 가수 출신인 강인한이 유력하다.[3] 주최 측과 후원사 측 사이에 갈등이 있었으며, 부산시는 이를 조율하지 못했다.[4] 문제점을 열거하자면 '세계 라면'축제 라고 홍보한 것 치고는 국산 라면밖에 없었으며(일부 동남아 라면이 있었긴 했다.) 찜통 더위, 거기에 컵라면 급수는 온수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 라면이 조리되지 않았다. 구미시가 개최하는 라면축제와 비교하면 민망할 지경, 대중들은 새만금 잼버리에 빗대어 라면 잼버리라고 조롱중[5] 주차비는 기본 3천원에 시간이 갈수록 비용이 들어가는데 주최측은 오픈시간 연기를 사전에 고지하지 않아 관람객들의 불편을 야기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