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4:47

안양 버스 19

과천 버스 19에서 넘어옴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보영운수11-7번.png 파일:19_1527.png
11-7번으로 운행하던 시절. 폐선 직전의 모습.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안양시 CI_White.svg 안양시 일반시내버스 1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9번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환경사업소)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서초구청)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45
막차 22:30 막차 22:50
평일배차 18~25분 주말배차 18~25분
운수사명 보영운수 인가대수 3대
노선 환경사업소 - 선바위역 - 식유촌.서초에코리치 - 서초힐스 - 서초네이처힐 - 양재1동주민센터 - 양재초교 - 일동제약사거리 - 양재역 - 서초구청

2. 개요

보영운수가 운행했던 일반시내버스 노선. 환경사업소와 양재역을 오가던 노선이었다.

3. 역사

  • 2009년 5월 13일에 신설되었다. 당시 번호는 11-7번이었으며, 운행구간은 '삼포종점 - 담터 - 돌무개 - 양재화물터미널 -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이었다. 기존 11번대 노선과는 상당히 다른 노선이지만, 강남 쪽으로 가기 때문에 11번대로 부여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차량의 모습
  • 2009년 9월에 '환경사업소 - 선바위역 - 광창마을 - 경마장북문 - 삼포마을입구'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와 동시에 삼포종점은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당시 차량의 모습 이로써 약 20년 만에 서울경마공원 앞으로 지나가는 시내버스 노선이 생겼다.
  • 2015년 6월 20일에 번호가 19번으로 변경되었다. 서초17번과 혼동된다는 것이 이유.

4. 특징

  • 안양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87번과 함께 단 둘뿐인 아웃 안양 노선이었다. 다만 87번이 100% 아웃 안양 노선인 반면 이 노선은 회송구간 내에 안양시가 포함되어 있었다. 준아웃경기 또한 1-1번은 안양시에 잠깐이나마 들어오므로 논외.
  • 거리를 보면 마을버스로 달렸어도 될 정도로 짧은 노선을 자랑하고 있었다.
  • 11-7번 시절 11번대 중 유일무이하게 자체적으로 개통하였고, 양재지선 노선의 시초이자 유일무이하게 양재지선 노선이었다.[2]
  • 11-7번 시절부터 주박은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실시했기 때문에 과천봉담고속화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해 갔다. 그러므로 공차회송 거리가 상당히 길다. 회송구간 안에 전철역이 11개(수리산역 - 선바위역)나 있을 정도. 남양주시 330-1번처럼 입출고용 노선을 만들어주는 건 어떨지...[3] 여담으로 서초구청에서 회차를 하기 위해 아주 짧은 구간이지만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이기도 했다.
  • 선바위역부터 양재역까지 서초18번과 겹쳤다. 우면동 주민들은 이 노선보다는 요금이 저렴한 서초18번을 조금 더 많이 이용한다. 이 때문에 19번이 적자가 심해져서 이 노선이 정차하는 모든 정류장에 마을버스를 타든 시내버스를 타든 지하철로 환승할 때 최종 지불운임은 같습니다. 라는 안내문이 붙여졌다. 이 때문인지 19번은 승객이 조금 늘어났다. 그것도 모자라서 이제는 후면에, 이후에는 측면에까지(...) 안내문이 붙은 상태였다.[4]
  • 배차간격이 서초18-1번에 비해 불규칙하다. 어떨 땐 3대가 10분대 간격으로 몰아서 갔다.
  • 그린시티 3대로 운행했으나 폐선 직전에는 2대 운행으로 줄어버렸다. 폐선 이후에는 차량은 전부 15번으로 복귀했으나 대신 10번 BS106L 3대가 말소되는 것으로 해결.
  • 11-7변 시절 워낙 뜬금없이 신설된 노선이다보니 여러 가지 카더라가 떠도는 노선이었다. 대표적인 소문으로는 서초08번이 주암동 쪽으로 연장을 추진해서 기사의 추가채용과 증편 준비까지 다 끝내놨는데, 서울특별시 시내버스가 들어오는 걸 보기 싫었던 경기도가 날림으로 보영운수에게 면허를 내줬다는 이야기, 우면지구 입주 이전에 수요를 내다보고 노선을 신설했다는 이야기, 과천시에서 주암동 구간의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보영운수를 끌어들였다는 이야기 등이 있었다.[5]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이다.
[1] 폐선 처리된 19번 버스의 차량 중 일부가 15번으로 복귀하였다.[2] 11-1번(2019년 7월 1일 폐선), 11-3번, 11-4번(현 917번), 11-6번(2006년 2월 21일 폐선) 등은 11번(1998년 11-3번에 통폐합)에서 11-2번은 11-1번에서 11-5번은 11-2번에서 각각 분리개통되었다. 다른 11번대 중에 구 11번, 11-3번, 11-4번, 구 11-6번 등은 잠실종합운동장 본선 노선들이고, 구 11-1번, 11-2번, 11-5번 등은 사당지선 노선들이다. 구 11번도 잠실종합운동장 본선 노선의 시초이고, 구 11-1번도 사당지선 노선의 시초이다.[3] 하지만 공차회송 구간이 고속도로를 지나므로, 회송용 노선을 만들려면 안전벨트가 달린 좌석버스로 교체하든가, 기존 시트에 안전벨트만이라도 추가하든지, 다 싫다면 고속도로를 피하는 경로로 회송노선을 만들든지 셋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수도권제1순환을 타는 고양 96번의 사례처럼 고속도로 노선에 승객석 안전벨트가 없으면 불법이다.[4] 애초에 배차가 서초18번>>>19번(운행대수는 평일 기준 20여대 vs 3대)으로 넘사벽이다. 조금 비꼬아서 말하자면, 19번은 서초18번의 수요를 주워먹는 노선. 심지어 19번의 노선은 회차 구간을 제외하면 서초 18번에 흡수되어 사라진 서초19번과 거의 동일하다.[5] 과천운수가 과천시영버스 노선을 인수할 때까지 임시로 보영운수와 협의했다는 소문도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