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00:49:05

고증 오류

고증오류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복원 및 시대 구현이 잘못된 창작물 사례에 대한 내용은 창작물의 반영 오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제작진의 실수로 포착된 것에 대한 내용은 옥에 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원작과 다르거나 설정 사이에 모순이 발생한 것에 대한 내용은 설정 오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증
,
,
,
,
,

1. 개요2. 자주 틀리는 한국어
2.1. ‘반영 오류’·‘재현 오류’와 구별하지 않음2.2. ‘이론인과관계 오류’와 구별하지 않음2.3. ‘설정 오류’·‘원작파괴’와 구별하지 않음2.4. 오용 원인 분석2.5. 영어
3. 관련 문서

1. 개요

'고증 오류(考證誤謬)'를 사전에 입각하여 풀이하면 ‘실제로 있었던 문헌이나 물품을 증거 자료로 참작하여 연구 가설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난 것’이다. 사전에는 어긋나지만 '창작물에서 어떠한 것의 반영이 잘못됐다.'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2. 자주 틀리는 한국어

2.1.반영 오류’·‘재현 오류’와 구별하지 않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단은 창작물 내에서의 고증을 오류라는 단어를 붙여 확장해서 쓰는 경우 등을 지적하는 문단이므로 사전 정보인 ‘고증의 오용’에 대한 내용은 고증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실사화나 시대 구현물에서 ‘고증된 것을 창작물에 잘못 반영한 것’으로 이 용어를 오·남용하곤 한다. 하지만 고증 오류는, 무언가를 입증하다가 틀렸다는 뜻이지, 반영 과정에서 오류가 났다는 뜻과는 거리가 멀다.[1] 알맞게 풀어 쓰는 등 교정이 권장되며, 굳이 '오류'를 붙여야 하면 ‘시대적 연출 오류’, ‘시대 배경 오류’ ‘(창작물의) 반영 오류’, ‘핍진성 부족’ 정도로 정정하거나 ‘실제 역사에 충실했다/충실하지 못했다’ 정도로 쓸 수 있겠다.

이에 다의어언어의 사회성을 위시하는 측도 간간이 있으나, 공식적으로 ‘의미 확대’나 ‘다의어’의 추가 사례로 인정되지는 않았다. 애초에 기존 의미가 결합되어 산출되는 신조어조차도 아니라 와전된 낱말 축에 속하므로 결이 다르다. 즉, '역대급', '대인배'처럼 이미 틀린 걸 또 틀리게 사용하는 비문일 뿐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전와어들은 화자 잘못임이 명백하여 국립국어원이 절대 표준어로 인정해 주진 않는다.[2] 작품으로 따지면 설정 오류를 무시하고 평행우주로 여기면서 즐기는 셈이다.
  • 비교
    • ‘문헌이나 자료 해석상에 착오가 생겨 어떤 결론·이론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김’ (바른 풀이)
    • ‘고증된 것과 불일치한 구현물·제작물을 만들어냄.’ (오용인 풀이)
      • 고증의 과정이 선행되지 않은 것들에도 이런 말을 쓰기도 한다. 곧 틀리게 쓰는 걸 또 한 번 틀리게 쓰는 경우들이다. ‘고증 오류와 혼동하는 오류’ 문단 참고.

쉬운 예시로, 화석으로 공룡을 고증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다른 동물뼈가 섞여들어갔다고 하자.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고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긴 것을 '고증 오류'라고 하고, 이걸 토대로 3D 모델링한 결과물을 갖고 '고증 오류'라고 하지 않는다. 웃프게도 이는 오히려 (비록 오류가 났어도) 고증해 준 걸 잘 반영한 상황이다. '오류난 고증'이라고 하면 이해가 더 자연스러울 것이다.

'고증 오류'를 말하는 사람들은 '고증과 다르다'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이 경우는 '고증'은 '사실'로 바꿔서 '사실과 다르다'라는 표현을 써야 맞는다. 엄밀히는 잘 고증된 것도 사실을 제대로 보장할 수만은 없으니 상황별로 다를 것이지만.

올바른 뜻대로 하면 '고증 오류'라는 말은 이렇게 자주 쓸 수 있는 말이 전혀 아님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전적으로 잘못 쓰이는 뜻인 '고증'의 연장선 탓에 '고증된 것에서 어긋난 반영 결과'를 가리키는 경우가 상당해졌다. 이를 올바르게 대체할 수 있는 말은 아래와 같다.
  • 사실과 다른 점
  • 잘못된 시대 구현
  • 사실과 다른 반영
  • 그런 사례는 실제 역사에 없었다.
  • 실제 역사(있었던 사실)와 다르다.
  • 실제 사례를 잘 지켜내지 못했다.
  • 역사와 다른 점

위가 아닌 '이론상(의) 오류', '설정 오류' 등을 가리키는 것이면 즉시 정정할 필요가 있다. 이건 고증이나 반영을 떠나 아예 다른 차원의 언어 개념이다(뒷문단 참고).

2.2.이론인과관계 오류’와 구별하지 않음

역사물은 ‘재현’과 밀접하지만, 앞으로 벌어질 상황이나 가정적인 상황을 만들어놓고 구현하는 SF 창작물에 재현(다시 나타낸다)이라는 표현을 쓰는 건 시제상 어색해진다. 그러므로 과거의 것을 탐구해 밝혀내는 '고증'은 차라리 고고학인즉 인문학에 어울릴 말이지, 이론이나 인과관계를 예측해서 구현해내는 '자연과학' 관련 분야와는 확실히 어울리기 힘든 말이다. 고증 행위는 과학적 원리와 무관하게 그 당시의 과거 시점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벌어질 상황 자체를 논의에 두고 있지 않다. 반면 과학적 이론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새롭게 갱신되었거나 이미 파기된 이론을 반영하는 일은 학계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점에서 과학과 고고학의 관심사는 그 차이가 두드러진다.

이 중에서 가장 큰 차이는 '고증 자료'는 탐구자들이 잘못 조사한 게 아닌 이상 그 불변성[3]이 유지되지만, '과학적 이론이나 증거'는 언제든 새롭게 갱신되거나 파기될 가변성이 있다. 그리고 만일 고증 참고 자료에 신화민담 같은 허구 설정이 들어가 있다면, 고고학에서는 그것을 그대로 참작하지만, 과학적 인과관계에서는 '어떻게 돌이 하늘을 날아다니냐', '봉황이란 게 실존하냐' 등과 같은 이론상의 모순을 지적할 수 있으므로 아예 다른 논의로 흘러가게 된다. 고증학/고고학에는 이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과학에서도 옛날 문헌을 참고한다고 하는 점에서 말이 될 순 있지만, 보통 과학에서는 주로 앞날에 대해 예측하거나 인과관계 개연성을 높이는 데 그 관심사가 가깝다. 그러므로 만약 '과거'가 어땠는지를 탐구한다고 하면 '과학적 고고학'이나 '과학사'에 한정하여 논의될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SF 영화나 미디어에서 다루는 과학적 인과관계가 잘못됨을 지적하는 밑바탕은 '이론상의 오류'로 표현해야 적합하다. 그러나 이 나무위키를 비롯한 언론, 유튜브, 커뮤니티 등지에서도 이미 여기에도 '고증 오류'를 위시하며 또 한 번 틀리게 쓰는 사례가 빈번하다.
  • 이론상의 오류: 학술 이론 반영도에 관한 부정확성, 겉보기엔 그럴싸해 보이나 현실에선 실현할 수 없는 상황들(주로 수학, 과학). 고증과 달리 예측(미래)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오용 사례 원인은 명확하게 확단할 수 없는 불명 상태이다. 다만, 시초불명으로 퍼져 나가 이젠 언론사 등지에서도 과학 영화 등을 소개하며 '고증이 잘 되었다', '고증 논란이 있다' 등의 표현을 쓰는 일이 많아져서 이러한 오용 사례를 볼 기회가 많은 누리꾼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2.3.설정 오류’·‘원작파괴’와 구별하지 않음

  • 고증 오류: 과거 고문헌으로 밝힌 내용의 오류.
  • 설정 오류: 가상 매체 내부에서의 설정 관계의 오류.
    • 설정 오류

      • 예) (문학) 작품 내에서 A는 분명 B보다 나이가 많다고 하지 않았어? 근데 왜 생년은 B가 더 빠른 것으로 나왔지?
    • 핍진성: 아예 가상 설정의 정합성 등을 가리키는 의미로 비약되기도 한다. 판타지 작품의 영역에서도 위와 같은 고증의 정의가 사용되기도 한다. 마법사들이 비행 마법으로 날아다니는 것을 현실적인 고증에 맞지 않는다고 엉뚱하게 비판하는 것은 아니고, 작품을 둘러싼 설정이 얼마나 치밀하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가리키는 뜻으로 사용한다. 즉 현실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의 정합성이 '현실과 얼마나 비슷한지'에 있다면, 현실 배경이 아닌 작품들의 정합성은 '설정과 얼마나 비슷한지'로 대체되어 있으며, 이런 것들에는서 고증 말고 작품이 핍진성을 얼마나 잘 확보하고 있는지와 그렇게 핍진성을 잘 확보한 설정에 맞추어져 내용이 흘러가는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지를 따지는 문제로 넘어간다. 즉, 고증 자체를 논할 수 없는 것이다.
    • 설정 오류와 이론상의 오류가 더해진 경우

      • 예) 인물 A가 공을 분명히 북쪽으로 던졌는데 서쪽으로 던지는 것으로 바뀌었다. → 설정 오류에 이론상의 오류가 더해진 것
        예) 공을 북쪽으로 던지면 서쪽으로 날아간다. → 그냥 이론상의 오류
    • 설정 오류는 아닌데 이론상의 오류인 것
      • 주로 원작 충실도가 높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원작과 다른 점'이라고 한다. 봉황이나 떠 다니는 거대 바위 등처럼 상상 속의 동물들이나 물건들은 이론상으로나 현실상으로나 존재할 수 없는 것들이나 작품 속 원작에서는 논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는 '고증 오류'라고 하지 말고 '설정에 맞는다/맞지 않는다', '작가의 자가당착', '원작파괴'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2.4. 오용 원인 분석

고증 문서에서 알 수 있듯이 고증이 대한민국에서 이런 뜻으로 쓰인 것은 20세기부터로 추측되는데 적어도 1993년 드라마 관련 기사에서 그 드라마가 현대물인데도 고증이라는 단어를 쓴 것으로 보아 1990년대에 이미 한국에서 창작물의 반영 관련 뜻으로 고증이라고 쓰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95년 드라마 제4공화국 관련 뉴스기사에서 이미 해당 용법이 자연스럽게 쓰인 것을 찾을 수 있다.

이는 '시대 고증'이란 단어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증'은 학술적인 의미로만 쓰이는 단어지만, '시대 고증'은 연극이나 영화 계통에서는 '제재(題材)가 된 시대의 의상, 도구, 장치, 풍속 따위를 바르게 나타내기 위하여 조사하는 일'이란 의미로 쓰일 수 있다. 그래서 당시 시대상을 잘 재현했으면 '시대 고증'을 잘했고, 재현이 어긋났으면 '시대 고증'의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시대 고증'에서 '시대'를 빼 버리고 '고증'으로 줄여부르면서 용어의 뜻을 왜곡하여 버린 것이다.

그렇다고 '시대 고증 오류'라는 말로 대체할 수도 없다. 만약 제작자가 작품을 만들기 위해 시대 고찰 과정을 밝혔는데 그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으면 '시대 고증 오류'라는 말도 쓸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통 '고증 오류'라는 오용된 표현이 쓰일 때는 그런 '시대 고증'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결과물이 역사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 결과물이 '시대 고증' 과정에서 문제가 있던 것인지, 아니면 제작진이 시대 고증은 제대로 했는데 제작비나 연출 문제로 인해 알면서도 역사와 다르게 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므로, 단순히 결과물만 갖고 "시대 고증에 오류가 있다"라면 틀린 표현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대로 '실제 역사(유물)와 다르다'라면 되며, 굳이 '오류'라는 말을 쓴다 하면 '재현 오류' 정도로 써야 맞는다.

'시대 고증'도 어디까지나 소도구와 풍속 등의 '시대상'을 표현하는 것에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며, 스토리가 실제 역사 기록과 부합하는지 여부에는 쓸 수 있는 표현이 아니다.

2.5. 영어

본래 의미의 '고증 오류'는 직역하면 '(archeological/historical) researching error' 정도가 된다.

기존에 '고증 오류'로써 잘못 쓰이던 용례의 의미로써는 창작물의 반영 오류 문서를 참조할 것.

3. 관련 문서



[1] '고증'이라는 단어/어근 자체도 와전되어서 쓰이니 문서 참고. 읽기가 귀찮다고 하면, 이 '고증'이 온 단어 자리를 '입증'이라는 단어로 바꿔 써보면 된다. 이러한 '입증'을 전문성 있게 학술적으로 하는 사람은 대부분 '고고학자'인데, 이 주체를 두고 '창작자(연출감독·PD)'라고 해 버리면 상당히 어색한 말이 되는 것이다.[2] '자장면' 등은 발음상의 문제로 '짜장면'이 인정된 것인즉 뜻풀이에 영향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언어의 사회성에 부합해 있다. '안간힘'(안깐힘/안간힘)도 이와 비슷하다. 현대로 갈수록 매체를 통하는 교정 작업이 전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견해 탓에, 복수 허용이나 예외 사례 인정에 국립국어원도 점점 인색해져 가는 추세이다.[3] 그 자료가 만들어진 시점에서 '시간이 멈춘다'라는 표현으로 이해하면 쉽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6 (이전 역사)
문서의 r13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