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22:03:02

간저우사우루스

간저우사우루스
Ganzhousaurus
파일:간저우사우루스뼈.webp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
72,000,000 년 전~66,000,000 년 전
아시아
학명 Ganzhousaurus
Wang et al., 2013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오비랍토르과Oviraptoridae
아과 †오비랍토르아과?Oviraptorinae?[1]
†간저우사우루스속Ganzhousaurus
[[생물 분류 단계#종|{{{#000 }}}]]
  • †간저우사우루스 난캉겐시스(V. nankangensis)모식종
    Wang et al., 2013
1. 개요2. 신체적 특징3. 분류4. 생태계5. 참고 문헌

1. 개요

백악기 후기 중국 남부에 살았던 오비랍토르과 수각류 공룡이다. 속명의 뜻은 "간저우의 도마뱀"[2]

2. 신체적 특징

모식표본은 간저우시에 위치한 난슝층에서 발견되었으며, 뒷부분이 일부 소실된 하악골과 오른쪽 다리와 골반, 그리고 3점의 꼬리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석은 온전하지 않지만 발견된 부위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 유의미한 해부학적인 특징[3]이 드러나 독립된 속으로 명명되었다.

3. 분류

간저우사우루스는 오비랍토로사우리아(Oviraptorosauria) 내에서도 씹고 부수는데 적합한 두꺼운 하악골, 길쭉한 하악창 등의 특징을 근거로 오비랍토르과로 분류된다. 하악창의 아랫쪽 경계를 치골(Dentary) 가 아닌 각골(Angular)이 둘러싸고 있다는 점 등으로 이 동물을 오비랍토르과가 아닌 친척 카이나그나투스과로 볼 여지도 있으나, 이러한 특징들은 오비랍토르류 내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4. 생태계

간저우사우루스는 오비랍토르류에 속했던 만큼, 초식 또는 초식에 기울어진 잡식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간저우사우루스가 살았던 난슝층에는 당시에 간저우사우루스 말고도 코리토랍토르, 허위안니아, 난캉기아, 시싱기아, 통티안롱, 반지, 후아난사우루스 등 많은 종류의 오비랍토르류 공룡들이 살았다. 이들의 두개골 모양은 세부적으로 조금씩 차이났는데, 이는 이들이 식성을 제각각 달리함으로써 핀치새와 같이 경쟁을 피하며 공존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들이 살았던 난슝층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진한 관계로 이들이 시간적으로 공존했던 것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또한 티라노사우루스류 포식자인 첸저우사우루스, 아시아티란누스, 테리지노사우루스과 공룡인 난쉬웅고사우루스, 용각류 공룡 간난사우루스지앙시티탄과도 공존했다.

5. 참고 문헌

  • 1. Wang, S.; Sun, C.; Sullivan, C.; Xu, X. (2013). "A new ovirapto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southern China". Zootaxa. 3640 (2): 242–257.

[1] 오비랍토르과 내에서는 계통적 위치가 불분명하다.[2] 모식표본이 장시성 간저우시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3] 근연속들보다 더 얇은 하악골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