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05:32:54

가가 가가

가가가가에서 넘어옴
파일:attachment/가가 가가/gagagaga.jpg



1. 소개2. 예시3. 성조형 분석
3.1. '가가 가가'는 성조로 구분하기 힘들다.3.2. 가능한 성조형으로 모두 표기하기3.3. '이의 이승'은 지역별로 다르다.
4. 여담5. 관련 문서

1. 소개

영남 사투리로 이루어진 대표적 문장. 의미는 "그 아이가 그 아이니?" 즉, 가 걔냐?

A: 니 영철이라고 아나? (너 영철이라고 알아?)
B: 아니 몰라(모른다), 누군데? (아니, 몰라, 누군데?)
A: 금마, 코 옆에 점 있는 아 있다 아이가.(걔, 코 옆에 점 있는 애 있잖아.)
B: 모르겠는데? (모르겠는데?)
A: 거 있다 아이가, 민수네 옆집에 사는 아. (거 있잖아, 민수네 옆집에 사는 애.)
B: 맞나, 가가 가가? (걔가 걔야?)
A: 그래, 가가 가다. 니 전에 가랑 매점에서 싸웠다먼서. (그래, 걔가 걔야. 너 전에 걔랑 매점에서 싸웠다면서.)
B: 아, 가가 가가! (아, 걔가 걔야!)

감탄문으로 '가가 가가!' 쓰이면 문장 전체의 음조가 전체적으로 높아지는데, 이때 성조 자체는 달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뉘앙스는 "걔가 걔야!" 보다 강한 경우가 많다.

이 문장에 들어있는 높낮이는 중국어성조보다는 영어의 강세(악센트)에 가깝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방언/초분절 음소 참조.

동남 방언에는 라는 한 음절이 내포하는 의미가 표준어에 비해 엄청나게 많아졌다. 덕분에 이 지역의 방언으로 '가'만 나열하고 높낮이만 변형시키면서 수많은 문장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아래는 그 설명과 예시.
  • 주격 조사 '-가'
  • '가다'의 활용 '가'
  • '그 아아(그 아이)'의 준말 '가'
  • 해라체 의문 어미 '-(이)가'
  • '가자(가져)'의 준말 '가'
  • 성씨 '가(賈)'
  • 성씨에 붙이는 접사 '-가(哥)'[1]

"가자오다"의 "가자"도 "가"[2]로 줄여쓰는 현상 때문에 일어나는 것. '가자→가아'가 긴 발음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가 가"는 가지고 가란 의미가 된다.

2. 예시

아래 예시는 딴지일보(1998년 8월 17일자)에 실려 있는 기사의 예시며 뒤에 달린 표기는 예시에는 없으나 별도로 표기한 것이다.
  • 가! [ 가↗(↘) ] [kä˥˩]
    • "가!"
  • 가? [ 가아↗ ] [käː˩˥]
    • "걔?"
  • 가가 [ 가- 가- ] [ka˧.gä˧]
    • "가가"(賈家, 가씨 집안)
  • 가 가! [ 가- 가- ] [ka˧.gä˧]
    • "가져 가!"
  • 가가? [ 가↗ 가↘ ] [ka˥.gä˩
    • "걔냐?"
  • 가가가? [ 가- 가↗ 가↘ ] [kä˧.gä˥.gä˩]
    • "가씨냐?"
  • 가 가가 [ 가아- 가- 가- ] [käː˧.gä˧.gä]
    • "가져 가서"
  • 가가 가가 [ 가↗ 가↘ 가↗ 가↘ ] [kä˥.gä˩.gä˥.ga˩]
    • "걔가 걔냐"
  • 가가가 가! [ 가- 가↗ 가↘ 가- ] [kä˧.ga˥.ga˩.ga˧]
    • "가씨가 가!"
  • 가가 가가가? [ 가아- 가- 가- 가↗ 가↘ ]
    • "걔가 가씨냐?"
  • 가가 가 가가...
    • "걔가 가져 가서..."
  • 가가 가가 가가? [ 가↗ 가↘ 가- 가- 가- 가↗ ]
    • "걔가 가씨 걔냐?"
  • 가가가 가 가가 [ 가- 가- 가- 가아- 가- 가아- ]
    • "가씨가 가져 가서"
  • 가가 가, 가가 가가? [ 가↗ 가↘ 가- 가아- 가- 가- 가- ]
    • "걔가 걔, 걔가 걔냐?"
  • 가가 가가 가 가가[ 가- 가- 가↗ 가- 가아- 가- 가- ]
    • "가씨 걔가 가져 가서"
  • 가가 가가, 가가 가가?
    • "걔가 걔냐, 걔갸 걔냐?"

일부 문장은 극단적 예시로 문장을 만들었기 때문에 현실과 조금 동떨어져 있다. 특히 가씨를 이용한 바리에이션이 그러하다. 가씨는 2000년 기준 총인구 약 9천의 희귀 성씨다. 그러나 1998년이면 당시 활약하던 롯데 야구 선수 가득염, 인천 호남 연고 구단에서 활약한 가내영 등 두 가씨 선수의 존재로 남성들에게 가씨가 친숙했으므로 매우 현실적인 문장이었다.

3. 성조형 분석

이문규의 성조론을 적용해 분석하면 각 형태소 성조형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의 방언/초분절 음소 참고.
  • 주격 조사 '-가'
    • -가{L}
  • '가다'의 활용 '가'
    • 경북: 가-{L~H~R} + -아{L} → 가/R/
    • 경남: 가-{L~H~Γ} + -아{L} → 가아/LX/
  • '그 아아(그 아이)'의 준말 '가'
    • 그{L} + 아아{HL} >축약> 가{R/Γ}
    • 그{L} + 아아{HL} >축약> 가{H}
  • 해라체 의문 어미 '-(이)가'
    • 이-{L} + -가{L}
  • '가자(가져)'의 준말 '가'
    • 가주-{LH} + -아{L} → 가자아/LHX/ 가주우/LHX/ 가자/LH/ >축약> 가아{HL}
  • 성씨 '가(賈)'
    • 가{H}
  • 성씨에 붙이는 접사 '-가(哥)'
    • 가{H}
    • 경북: 가-{L~H~R} + -아{L} → 가/R/[R]
    • 경남: 가-{L~H~Γ} + -아{L} → 가아/LX/[LL=HH]
    • 경북: 가{R} → 가/R/[R]
    • 경남: 가{Γ} → 가/Γ/[Γ=L=H]
    • 공통: 가{H} → 가/H/[H]
  • 걔가 = 걔냐?
    • 경북: 가{R} + -가{L} → 가가/RX/[RH]
    • 경남: 가{Γ} + -가{L} → 가가/ΓX/[ΓH]
    • 공통: 가{H} + -가{L} → 가가/HX/[HL]
  • 가져
    • 가아{HL} → 가아/HL/[HL]
  • 가씨
    • 가{H} + 가{H} → 가가/HH/[LH]
  • 가씨냐? = 가씨가
    • 가{H} + 가{H} + -가{L} → 가가가/HHX/[LHL]
  • 가서
    • 경북: 가-{L~H~R} + -아{L} + 가아{HL} → 가 가아/R#HL/[R#HL]
    • 경남: 가-{L~H~Γ} + -아{L} + 가아{HL} → 가아 가아/LX#HL/[LL=HH#HL]

성조는 어절 단위로 적용되기 때문에 긴 문장은 어절들을 합쳐 문장을 완성하면 된다. 예를 들어
  • 가씨 걔가 가져 가서
    • 경북(걔1): 가가 가가 가아 가 가아

      • [LH RH HL R HL]
    • 경북(걔2): 가가 가가 가아 가 가아

      • [LH HL HL R HL]
    • 경남(걔1): 가가 가가 가아 가아 가아

      • [LH ΓH HL LL HL]
    • 경남(걔2): 가가 가가 가아 가아 가아

      • [LH HL HL LL HL]

어절이 합쳐지는 경우도 있음을 유의하자. 예를 들어 '가져가다'는 하나의 용언처럼 취급될 수 있으므로 어절이 합쳐진다면 다음과 같이 발화된다.
  • 가씨 걔가 가져가서
    • 경북(걔1): 가가 가가 가아가가아

      • [LH RH HLLLL]
    • 경북(걔2): 가가 가가 가아가가아

      • [LH HL HLLLL]
    • 경남(걔1): 가가 가가 가아가아가아

      • [LH ΓH HLLLLL]
    • 경남(걔2): 가가 가가 가아가아가아

      • [LH HL HLLLLL]

여담으로 줄어들지 않은 성조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가씨 걔가 가져 가 가지고
    • 경북
      • 가{H} + 가{H} → 가가/HH/[LH]
      • 그{L} → 그/L/[L=H]
      • 아아{HL} + -가{L} → 아아가/HLX/[HLL]
      • 가주-{LH} + -아{L} → 가자아~가주우/LHX/[LHL]
      • 가-{L~H~R} + -아{L} → 가/R/[R]
      • 가주-{LH} + -고{L} → 가주고/LHX/[LHL]
      • 가가 그 아아가 가자아 가 가주고

        • [LH L HLL LHL R LHL]
    • 경남
      • 가{H} + 가{H} → 가가/HH/[LH]
      • 그{L} → 그/L/[L=H]
      • 아아{HL} + -가{L} → 아아가/HLX/[HLL]
      • 가주-{LH} + -아{L} → 가자아~가주우/LHX/[LHL]
      • 가-{L~H~Γ} + -아{L} → 가아/LX/[LL=HH]
      • 가주-{LH} + -고{L} → 가주고/LHX/[LHL]
      • 가가 그 아아가 가자아 가아 가주고

        • [LH L HLL LHL LL LHL]

동남 방언과 형태소성조형이 반대인 중세 한국어에 성조를 그대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글은 표준어 기준으로 했다.)
  • 가씨 걔가 가져 가 가지고
    • 가{L} + 가{L} → 가가/LL/[LL]
    • 그{H} → 그/H/[H]
    • 아이{LH} + -가{H} → 아이가/LHX/[LHH]
    • 가지-{HL} + -어{H} → 가지어/HLX//[HLH]
    • 가-{L~H} + -아{H} → 가아/HX/[HH]
    • 가지-{HL} + -고{H} → 가지고/HLX/[HLH]
    • 가가 그 아이가 가지어 가아 가지고

      • [LL H LHH HLH HH HLH]

3.1. '가가 가가'는 성조로 구분하기 힘들다.

위에서도 보이듯 '가(걔)'는 '그 아아'가 축약되는 과정에서 두 가지 성조형으로 분화됐다. 따라서 '가가 가가'와 성조형이 겹치는 어절이 많아서 성조로 구분하기 매우 힘들다(특히 경남). 그러니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가가 가가'는 실상으로 보면 그다지 성조를 대표하는 문장이라고 볼 수 없다.
  • '그 아아(그 아이)'의 준말 '가'
    • 그{L} + 아아{HL} >축약> 가{R/Γ}
    • 그{L} + 아아{HL} >축약> 가{H}
  • 걔가 걔냐?
    • 1: 가가 가가?[RH RH]
    • 2: 가가 가가?[RH HL]
    • 3: 가가 가가?[HL RH]
    • 4: 가가 가가?[HL HL]
    • 5: 가가 가가?[ΓH ΓH]
    • 6: 가가 가가?[ΓH HL]
    • 7: 가가 가가?[HL ΓH]

3.2. 가능한 성조형으로 모두 표기하기

파일:attachment/가가 가가/gagagaga.jpg

위 예문은 단 한 사람이 말 하더라도 다양한 높이로 발화될 수 있다.

아래는 이문규의 성조론을 토대로 경북 중부, 경남 중부 노년층의 성조를 조합해서 만들어낸 것이다. 정말 다양한 표현형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래 예문은 모두 기저 성조가 동일하다.
  1. 걔가 걔니?
    • 경북1: 가가 가가? [RH RH]
    • 경북2: 가가 가가? [RH HL]
    • 경북3: 가가 가가? [HL RH]
    • 경북4: 가가 가가? [RHLL]
    • 경남1: 가가 가가? [ΓH ΓH]
    • 경남2: 가가 가가? [ΓH HL]
    • 경남3: 가가 가가? [HL ΓH]
    • 경남4: 가가 가가? [ΓHHL]
    • 공통1: 가가 가가? [HL HL]
    • 공통2: 가가 가가? [HLLL]

    2. 걔가 가씨니?
    • 경북1: 가가 가가가? [RH LHL]
    • 경북2: 가가 가가가? [RHLLL]
    • 경남1: 가가 가가가? [ΓH LHL]
    • 경남2: 가가 가가가? [ΓHHLL]
    • 공통1: 가가 가가가? [HL LHL]
    • 공통2: 가가 가가가? [HLLLL]

    3. 가씨가 가서
    • 모라 나누기
      • 경북1: 가가가 가 가아 [LHL R HL]
      • 경북2: 가가가 가 가아 [LHLLLL]
      • 경남1: 가가가 가아 가아 [LHL LL HL]
      • 경남2: 가가가 가아 가아 [LHL HHLL]
      • 경남3: 가가가 가아 가아 [LHLLLLL]
    • 모라 합치기
      • 경북1: 가가가 가 가 [LHL R F]
      • 경북2: 가가가 가 가 [LHLLL]
      • 경남1: 가가가 가 가 [LHL L F]
      • 경남2: 가가가 가 가 [LHL HL]
      • 경남3: 가가가 가 가 [LHLLL]

    4. 걔가 가져 가서
    • 모라 나누기
      • 경북1: 가가 가아 가 가아 [RH HL R HL]
      • 경북2: 가가 가아 가 가아 [HL HL R HL]
      • 경북3: 가가 가아 가 가아 [RH HLLLL]
      • 경북4: 가가 가아 가 가아 [HL HLLLL]
      • 경북5: 가가 가아 가 가아 [RHLLLLL]
      • 경북6: 가가 가아 가 가아 [HLLLLLL]
      • 경남1: 가가 가아 가아 가아 [ΓH HL LL HL]
      • 경남2: 가가 가아 가아 가아 [HL HL LL HL]
      • 경남3: 가가 가아 가아 가아 [ΓH HL HHLL]
      • 경남4: 가가 가아 가아 가아 [HL HL HHLL]
      • 경남5: 가가 가아 가아 가아 [ΓH HLLLLL]
      • 경남6: 가가 가아 가아 가아 [HL HLLLLL]
      • 경남7: 가가 가아 가아 가아 [HLLLLLLL]
    • 모라 합치기
      • 경북1: 가가 가 가 가 [RH F R F]
      • 경북2: 가가 가 가 가 [HL F R F]
      • 경북3: 가가 가 가 가 [RH FLL]
      • 경북4: 가가 가 가 가 [HL FLL]
      • 경북5: 가가 가 가 가 [RHLLL]
      • 경북6: 가가 가 가 가 [HLLLL]
      • 경남1: 가가 가 가 가 [ΓH F L F]
      • 경남2: 가가 가 가 가 [HL F L F]
      • 경남3: 가가 가 가 가 [ΓH F HL]
      • 경남4: 가가 가 가 가 [HL F HL]
      • 경남5: 가가 가 가 가 [ΓH FLL]
      • 경남6: 가가 가 가 가 [HL FLL]
      • 경남7: 가가 가 가 가 [HLLLL]

    5. 가, 가서 가져 가.
    • 모라 나누기
      • 경북1: 가, 가 가아 가아 가 [R R HL HL R]
      • 경북2: 가, 가 가아 가아 가 [R R HL HLL]
      • 경남1: 가아, 가아 가아 가아 가아 [LL LL HL HL LL]
      • 경남2: 가아, 가아 가아 가아 가아 [LL HHLL HL LL]
    • 모라 합치기
      • 경북1: 가, 가 가 가 가 [R R F F R]
      • 경북2: 가, 가 가 가 가 [R R F FL]
      • 경남1: 가, 가 가 가 가 [L L F F L]
      • 경남2: 가, 가 가 가 가 [L HL F L]

청년층은 상승조나 하강조의 L, H 모라 중 하나를 탈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 가 가 [F R F] (가져 가서)'는 앞 모라에 치중을 둬 [F]의 [H·L] 중 [H], [R]의 [L·H]중 [L]를 선택하면 [H L H]가 될 수 있고, 뒷 모라에 치중을 둬 [F]의 [H·L] 중 [L], [R]의 [L·H]중 [H]를 선택하면 [L H L]가 될 수 있다. 즉 [F R F] = [H L H] = [L H L]라는 특이한 결과가 도출된다.

3.3. '이의 이승'은 지역별로 다르다.

동남 방언에서 2는 상성형, E는 평1형이다. 그런데 '상성형'의 표면형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음높이는 부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성조이다. 각 지역별 차이를 정확히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강원 해안가, 경북 해안가
    • 떨어진 어절
      • 2의 2승 [RL RL]
      • 2의 e승 [RL HL]
      • e의 2승 [HL RL]
      • e의 e승 [HL HL]
    • 붙은 어절
      • 2의 2승 [RLLL]
      • 2의 e승 [RLLL]
      • e의 2승 [HLLL]
      • e의 e승 [HLLL]
  • 강원 해안가 젊은층, 경북 해안가 젊은층
    • 떨어진 어절
      • 2의 2승 [HL HL]
      • 2의 e승 [HL HL]
      • e의 2승 [HL HL]
      • e의 e승 [HL HL]
    • 붙은 어절
      • 2의 2승 [HLLL]
      • 2의 e승 [HLLL]
      • e의 2승 [HLLL]
      • e의 e승 [HLLL]
  • 강원 영동 내륙, 경북 중부/서부
    • 떨어진 어절
      • 2의 2승 [RH RH]
      • 2의 e승 [RH HL]
      • e의 2승 [HL RH]
      • e의 e승 [HL HL]
    • 붙은 어절
      • 2의 2승 [RHLL]
      • 2의 e승 [RHLL]
      • e의 2승 [HLLL]
      • e의 e승 [HLLL]
  • 강원 영동 내륙 젊은층, 경북 중부/서부 젊은층
    • 떨어진 어절
      • 2의 2승 [HH HH]
      • 2의 e승 [HH HL]
      • e의 2승 [HL HH]
      • e의 e승 [HL HL]
    • 붙은 어절
      • 2의 2승 [HHLL]
      • 2의 e승 [HHLL]
      • e의 2승 [HLLL]
      • e의 e승 [HLLL]
  • 경남 동부/중부
    • 떨어진 어절
      • 2의 2승 [ΓH ΓH]
      • 2의 e승 [ΓH HL]
      • e의 2승 [HL ΓH]
      • e의 e승 [HL HL]
    • 붙은 어절
      • 2의 2승 [ΓHHL]
      • 2의 e승 [ΓHHL]
      • e의 2승 [HLLL]
      • e의 e승 [HLLL]
  • 경남 서부
    • 떨어진 어절
      • 2의 2승 [LH LH]
      • 2의 e승 [LH HL]
      • e의 2승 [HL LH]
      • e의 e승 [HL HL]
    • 붙은 어절
      • 2의 2승 [LHLL]
      • 2의 e승 [LHLL]
      • e의 2승 [HLLL]
      • e의 e승 [HLLL]

4. 여담

변형판으로 조 조 조 조 조조(저기 저 종이 좀 주워줘)도 있다. 물론 이것도 좀 무리하게 작문한 것이라 만약 억양을 완벽하게 해도 알아듣지 못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이와 비슷한 언어유희도 많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2000년대에는 이와 비슷하게 동남 방언 화자만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2의 e승이 한때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성조로 인해 구분되는 것이 아닌, 성문 파열음으로 구분되는 것이며, 성문 파열음이 음소로 존재하는 다른 지역도 사용하므로 오해다.

냥코 대전쟁/레전드 스토리 0 5장 GAGA GAGA의 이름이자 스테이지 이름들의 모티브가 되었다.

영어권의 한류 팬들은 보통 'Is that the guy?"라는 표현으로 번역해 소개한다.

5. 관련 문서



[1] 박가네, 김가네에서 자주 쓰는 한자. 흔히들 家로 많이 알고 있지만 성 뒤에 붙이는 접사는 哥다.[2] "가자 온나" >> "가 온나", "가자 와" >> "가 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