飢 주릴 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食,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고등학교 | |||||||
飢[1] | |||||||
일본어 음독 | キ | ||||||
일본어 훈독 | う-える | ||||||
饥 | |||||||
표준 중국어 | j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飢는 '주릴 기'라는 한자이다. '굶주리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8E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人戈竹弓(OIHN)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食(밥 식)과 소리를 나타내는 几(안석 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饑(주릴 기)와 혼동되고는 한다. 飢와 饑는 광운상 발음이 다르며[2], 飢의 본래 뜻은 '배고프다', '굶주리다'이고, 饑의 본래 뜻은 '흉년이 들다', '기근(famine)'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별이 모호하여 서로 통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발음이 완전히 같아졌기에, 飢가 饑의 약자인 것처럼 취급되기도 한다.
아래는 강희자전의 설명이다.
飢
【唐韻】【集韻】居夷切【韻會】居狋切,𠀤音肌。【玉篇】餓也。【書·舜典】黎民阻飢。【爾雅·釋天】穀不熟爲飢。【註】五穀不成。【又】仍飢爲荐。【註】連歲不熟。【韓詩外傳】一穀不升曰歉,二穀不升曰飢。又【正字通】國名。西伯伐飢國,滅之。又姓。【左傳·定四年】殷民七族,有飢氏。又漢有大豪飢恬。○按《說文》飢、饑二字,飢訓餓,居夷切,饑訓穀不熟,居衣切。汪來虞方伯說,饑饉之饑从幾,飢渴之飢从几,諸韻書俱分列支[3]微兩韻,止《集韻》飢字訓或从幾,經傳頗通用。《長箋》云:近代喜茂密者通作饑,趨便者通作飢,遂成兩謬。經傳不誤,恐傳寫之譌也。【集韻】別作𩚮。【龍龕】同𩚚。
【唐韻】【集韻】居夷切【韻會】居狋切,𠀤音肌。【玉篇】餓也。【書·舜典】黎民阻飢。【爾雅·釋天】穀不熟爲飢。【註】五穀不成。【又】仍飢爲荐。【註】連歲不熟。【韓詩外傳】一穀不升曰歉,二穀不升曰飢。又【正字通】國名。西伯伐飢國,滅之。又姓。【左傳·定四年】殷民七族,有飢氏。又漢有大豪飢恬。○按《說文》飢、饑二字,飢訓餓,居夷切,饑訓穀不熟,居衣切。汪來虞方伯說,饑饉之饑从幾,飢渴之飢从几,諸韻書俱分列支[3]微兩韻,止《集韻》飢字訓或从幾,經傳頗通用。《長箋》云:近代喜茂密者通作饑,趨便者通作飢,遂成兩謬。經傳不誤,恐傳寫之譌也。【集韻】別作𩚮。【龍龕】同𩚚。
饑
【古文】𩜆𩚮【玉篇】紀衣切,音機。【說文】穀不熟爲饑。从食幾聲。餘詳飢字註。
【古文】𩜆𩚮【玉篇】紀衣切,音機。【說文】穀不熟爲饑。从食幾聲。餘詳飢字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