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8 15:07:34

에서 넘어옴
죽을 폐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8획
미배정
1급
-
일본어 음독
ヘイ
일본어 훈독
し-ぬ, たお-れる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斃는 '죽을 폐'라는 한자로, '죽다', '쓰러지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죽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bai6
객가어 pi
민북어 bi̿
민동어 bé, bê
민남어 pē, pè
오어 bi (T3)
일본어 음독 ヘイ
훈독 し-ぬ, たお-れる
베트남어 tễ, tệ

유니코드에는 U+658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FKMNP(火大一弓心)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죽을 사)와 소리를 나타내는 (해질 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훈과는 달리 부수가 이 아니다.

3. 용례

3.1. 단어

  • 경폐(斃)
  • 곤폐(斃)
  • 기폐(斃)
  • 묘즉진애 서유양폐( 斃)
  • 병폐(斃)
  • 수폐(斃/斃)
  • 쌍폐(斃)
  • 자폐(斃)[1]
  • 장폐(斃)
  • 치폐(斃)
  • 폐부(斃)
  • 폐사(斃)
    원래 뜻은 "고꾸라져 죽다"로 신분에 관계 없이[2] 패륜아나 역적 등 불한당이 처형을 당하는 등 제 명에 못 죽었을 때 쓰는 말이었다. 현대에는 사람에는 쓰지 않고, 가축이나 애완 동물이 질병이나 환경 부적응, 사고로 죽었을 때 쓴다. "폭염으로 양계장의 닭 3,000 마리가 폐사했다"는 식으로 뉴스에서 쓴다. 다만 식용이나 부산물을 얻기 위한 도축,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살처분 등 일부러 죽였을 때는 쓸 수 없다. 따라서 "폐사시키다"는 표현은 틀린 용법이며, "도축하다", "살처분하다"가 정확한 표현이다.
  • 폐완도미(斃)
  • 폐축(斃)
  • 피폐(斃)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죽을 경)
  • 𣩰[⿰歹翟](죽을 도)
  • 歿(죽을 몰)
  • 𣨞[⿰歹奉](죽을 봉)
  • (죽을 사)
  • (따라죽을 순)
  • 𣩄[⿰歹盍]/𣩱[⿰歹蓋](죽을 애)
  • (앓을 업, 죽을 엄)
  • (죽을 에)
  • (죽을 운)
  • (죽을 조)
  • 𤯚[⿱不生](죽을 종/충)
  • (훙서 훙)

5. 상대자

  • (낳을 산)
  • (날 생)
  • (낳을/거짓 탄)
  • (살 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개미 별)
  • /(금계 별)
  • /𧢍[⿱敝見](눈깜짝할 별)
  • (닦을 별)[3]
  • (발끈할 별)
  • (밟을 별)
  • (보습의날 별)
  • (악할 별)
  • 𦗥[⿱敝耳](얼핏들을 별)
  • 𤮕[⿱敝瓦](오지그릇 별)
  • //(자라 별)
  • (칼차는띠 별)
  • 𧝬[⿱敝衣](털 별, 화폐 폐)
  • (해질 별)
  • (활뒤틀릴 별)
  • 𦠞[⿱敝⺝](팔 비)[4]
  • 𣰉[⿱敝毛](새털 창)[5]
  • (넘어질 폐)
  • 𡐞[⿱敝土](땅이름 폐)
  • (물이름 폐)
  • 𣁢[⿱敝文](짐승이름 폐)
  • 𡚁[⿱敝大](폐단 폐)
  • (폐단/해질 폐)
  • /𧸁[⿱敝貝](화폐 폐)
  • 𠢪[⿱敝力](폐)
  • 𱎏[⿱敝也]
  • 𠟈
  • 𠒳[⿱敝允]
  • 𤎨[⿱敝火]
  • 𣱔[⿱敝⿸厂氏]
  • 𣀽[⿱敝⿺氣田]
  • 𮦮[⿱敝雨]
  • 𩦉[⿱敝馬]

[1] autism의 자폐와는 한자가 다르다.[2] 중국에서는 황제의 죽음을 붕(崩), 왕족은 훙(薨), 대부는 불록(不錄), 선비는 졸(卒), 노비와 일반인은 사(死)로 따로 불렀다.[3] (닦을 별)의 동자[4] (팔 비)의 동자[5] (새털 창)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