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3:09:29

브레먀

Время에서 넘어옴
Время, Vremya, 브레먀
파일:FC8FB8E9-8EE3-4D9F-838C-054E7575551E.jpg
브레먀의 스튜디오 및 프로그램 오프닝 장면

러시아 채널1에서 방영되는 9시 메인 뉴스 프로그램이다. 브레먀[1]는 "시간"이라는 뜻이다.

1. 개요2. 역대 타이틀3. 현재 앵커4. 이전 앵커5. 기타6. 남한과 북한 보도7. 소련 공산당 보도 영상8. 관련 문서

1. 개요

1968년 1월 1일에 처음 방영되었으며, 당시에는 소련중앙텔레비전(Центральное телевидение СССР러시아어, Central Television of the USSR영어, Central'noe televidenie SSSR프랑스어)에서 방송[2]되었다. 소련에서 TV방송이 시작된것이 1938년도이고, 텔레비전이 전국적으로 보급된것이 1960년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늦은 편이다. 방송 초기에는 매일 방송되는 것이 아닌 화-금요일에 방송되었고, 방송 시간대도 제 각기 달랐다. 1970년에 컬러방송이 시작되었고, 1972년을 기점으로 밤 9시 방송과 매일 방송이 정착되었으며, 소련중앙텔레비전 및 각 지역 공화국 텔레비전 채널을 통해 동시 방송되었다.

프로그램이 1972년을 기점으로 완전히 자리잡은 후에는 소련 정부의 방침이나 입장을 발표하는 주요 창구 중 하나였기에[3] 매우 중요하게 생각된 TV프로그램으로 시청률도 매우 높았다. 또한 CCTV신문연파처럼 브레먀도 여러 개 채널에서 동시 방송되었고,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헝가리를 비롯한 바르샤바 조약기구 가입 국가에서도 위성 송출되어 이들 나라에서도 소련의 상황이 어떠한 지 알려주는 주요한 정보망이 되어주었다. 그리고 1978년부터 1987년까지는 평일 아침에도 브레먀가 방송되었는데, 대체로 아침 뉴스가 그렇듯, 전날 방송의 재탕이지만 여기에 몇가지 소식들을 추가해서 방송되었고, 1980년대 말부터 1991년까지 저녁 6시대 버전(30분)과 밤 9시 버전(메인)이 따로 제작되어 방송되었다. 방송 초기인 1970년대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시청하는 뉴스 프로그램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물론 그 명성은 1980년대 중국에 TV가 대중화되면서 CCTV신문연파로 넘어가기는 했지만 그만큼 중요한 뉴스 프로그램이었다는 얘기이다. 물론, 앞부분에는 대개 소련 공산당과 관련된 기사나 미담 기사를 배치했고, 사건사고 소식은 매우 중요한 소식이 아니면 어쩌다 편성하는 정도에 그쳤기에 못 대중들 사이에서 소련 사회의 문제점은 뒤로 넘긴다면서 농담거리가 되기도 했다.[4] 고르바초프 시절에는 600초를 비롯한 사회 고발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중요성이 덜어지기는 했지만, 어쨌든 중요한 프로그램이라는 지위는 잃지 않다가, 1991년 8월 쿠데타 때 보수적인 논조를 견지한 게 문제가 되어 쿠데타 진압 이후에 옐친에 의해 전면적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다가 소련중앙텔레비전이 소련 붕괴 이후 여러 개 방송사로 쪼개지는 과정에서 설립된 공영 러시아 텔레비전(Общественное Российское Телевидение, ОРТ) 하에서 1994년 12월에 브레먀의 방송이 재개되었고, 2002년에 방송국명이 러시아 채널1로 바뀐 후부터 현재까지 방영되고 있다.

러시아라는 나라 자체가 워낙 광활한 영토를 갖고 있다보니 시간대가 총 11개에 달한다. 따라서 녹화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며, 해당 지역 시간대에 맞추어 방영해야 한다. 극동지역부터 차례로 방송을 하게 되며, 최서단 칼리닌그라드에서 방송을 하면 끝이 난다. 뉴스 하나가 전국을 다 타기 위해선 무려 11시간, 하루의 반이 걸린다...

이렇다 보니, 러시아에서는 뉴스 프로그램도 녹화로 방송되고 있다. 한정된 스튜디오와 인력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것이다. 때문에 브레먀는 모스크바 시간으로 정오에 극동 최동단 캄차카 시간(MSK[5]+9)[6]에 맞춰서 한 차례 생방송을 하고, MSK+5 시간대까지는 각 시간대 21시에 맞춰 캄차카 방송분을 녹화로 내보낸다. MSK+4 지역이 21시가 되는 17시에는 시베리아 지역을 위해 한 번 더 생방송을 하며, 이 방송분을 MSK+1 지역까지 녹화방송으로 보낸다. 그리고 모스크바 시간대로 21시에 또 생방송을 하여 MSK-1인 칼리닌그라드 지역에는 모스크바향 방송분을 녹화방송한다.[7] 다만, 급박한 속보가 있는 경우에는 생방송으로 전지역에 내보낸다.

이러한 이유로 같은 일자의 뉴스라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내용이 다소 달라지는 일이 일어난다. 일례로 동부 방송시간에 다뤘던 체첸 문제 부분을 서부에서는 방영하지 않았던 경우가 있었다. 또한 자국 내 테러 사건의 경우 생중계를 하지 않는다. 과거에 체첸 반군이 벌인 테러 사건에서 반군이 TV 뉴스 생중계를 보고 바깥 상황을 다 읽어버렸기 때문. 이 때문에 방송국들끼리 특보나 속보, 특히 테러 사건은 생중계를 피하기로 했다고 한다.


과거에는 페르비 카날이 UTC +3, 5, 7, 9, 11(MSK 0, +2, +4, +6, +8) 등 5개 권역으로 방송 권역을 나누었는데, 이렇다 보니 중간에 낀 지역에서는 브레먀가 21시가 아닌 20시나 22시에 방영되었다. 그러나 2018년 12월부터 11개 시간대에 맞게 방송 권역을 세분화하면서 드디어 전러시아에서 브레먀를 21시에 볼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 채널1의 지분 다수를 정부나 국영기업이 차지하다는 특성때문에 브레먀의 논조는 대체적으로 친정부적이다. 사실 НТВВГТРК(옛 РТР)계열같은 타 방송사도 지분 다수를 정부나 공기업이 차지하고 있다보니까 브레먀의 논조와 별 다를것없이 친정부적이기는 하지만...[8]

2018년 1월 1일, 브레먀 방송 50주년을 맞아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스튜디오를 방문했고 뉴스에 출연까지 했다!


2022년 3월 14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한창일 때 브레먀 생방송 도중 한 직원이 전쟁 반대의 뜻을 담은 'No War'라는 종이를 들고 앵커 뒤로 난입하는 방송사고가 벌어졌다.

2. 역대 타이틀

1968년부터 지금까지의 타이틀 모음
1985년 버전은[9] 후에 러시아 애국가(1991~2000)에 쓰이는 글린카의 곡이다. 브레즈네프 시기 쓰인 맨 앞의 버전 세 개에는 1940년 영화 Галя(갈리아)의 주제곡인 니키타 보고슬로브스키의 곡#이 쓰였고, 1979년부터 1980년간의 오스탄키노 탑이 나오는 버전은 세라핌 툴리코프의 Родина(조국) 또는 Гимн Родине(조국의 찬가)라는 제목의 곡#이 쓰였다.[10] 소련 붕괴 직전인 1990~1991년에도 다른 음악이 쓰였다.
소련 붕괴 직전인 1991년 9월부터 12월 26일까지 쓰인 타이틀

현재 시그널로 쓰이는 음악은 게오르기 스비리도프(Георгий Свиридов)가 1965년에 작곡한 '시간이여 전진하라(Время, вперёд!)'(58초부터)의 일부분을 따온 것으로, 1980년대 소련 시기부터 일부 공백기를 제외하면 쭉 써오고 있다. 원곡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식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페어 프리 종목에 출전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경기 음악으로 사용된 바 있다.

일요일에는 Воскресное Время(=일요일 브례먀)라는 이름으로 평소보다 더 길게(대략 1~2시간 사이) 방송중이다. 인트로 음악도 평일의 인트로와 상이하다. 한 때 2018년 말 진행자 발레리 파데예프가 정계 진출을 위해 물러나면서 결국 완전 폐지되어 일요일에도 평일과 같은 Время로 방송되었다가 2020년 10월 11일부터 다시 부활하여 2023년 현재까지 계속 방송되고 있다. 다만 일요판 전문 앵커 체제는 부활되지 않아 해당 주차의 평일 앵커가 일요판까지 진행한다.

3. 현재 앵커

소련 시절에는 남자 앵커 1명+여자 앵커 1명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구성이었지만 1994년 다시 시작된 이후로는 보통 한 명의 앵커가 단독진행한다. 2023년 현재는 2명의 앵커가 격주로 진행을 맡고 있으며, 몇 명의 예비 앵커가 있다. 예비 앵커는 주로 여름 휴가 기간 동안 진행을 맡는다.
  • 예카테리나 안드레예바(Екатерина Андреева, Ekaterina Andreeva)
파일:external/viola.bz/0_7f6e1_9215610f_XL-500x654.jpg
여성 앵커. 1991년부터 아나운서 생활을 시작했다. 브레먀를 1968년부터 1991년까지 진행한 전설적인 소련의 아나운서인 이고르 키릴로프(Игорь Кириллов, 1932~2021)에게서 방송일을 배웠다. 1997년부터 브레먀를 진행 중이며, 1961년생이다. 60 가까이 된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젊어보인다. 역시 브레먀를 진행하는 비탈리 옐리세예프보다 어려보일 정도.
  • 비탈리 옐리세예프(Виталий Елисеев, Vitaliy Eliseev)
파일:external/add1de1b8a4600c4842a35ddd94f22007d63ce3231eb724365a9a88655cb24f0.jpg

남성 앵커. 1970년생으로, 2007년부터 브레먀를 진행 중이다.

4. 이전 앵커

  • 안나 파블로바(Анна Павлова, Anna Pavlova)
파일:external/img1.1tv.ru/PR20140522132115.jpg

여성 앵커로, 1973년생이다. 1999년 경에는 RTR의 베스티를 진행했었으며, 2015년부터 브레먀를 진행 중이다. 다만 이전에도 브레먀 진행을 대타로 꽤 많이 맡아왔다. 특히 2014년 여름, 주요 앵커들이 휴가를 갔을 때 브레먀를 맡은 바가 있다. 이전부터 해온 오후 6시 뉴스인 Вечерние Новости도 계속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5년 2월 들어서는 드미트리 보리소프와 마찬가지로 예전부터 해오던 Вечерние Новости 위주로 진행을 하고 있어 브레먀에서는 사실상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Вечерние Новости 자체도 45분 내외의 보도이기 때문에 둘 다 맡기에는 부담이 있는 모양. 그러다가 2015년 3월 29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Вечерние Новости에서도 하차하면서 더 이상 TV에서 볼 일이 없어졌다.
  • 이라다 제이날로바(Ирада Зейналова, Irada Zeynalova)
파일:external/pbs.twimg.com/irada_zeynalova_400x400.jpg

여성 앵커.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이며 1972년생이다. 2012년부터 브레먀를 진행 중이다. 특히 일요 뉴스인 Воскресное Время를 전담한다. 다른 앵커들에 비해 말하는 속도가 무지하게 빠르며, 목소리가 꽤나 걸걸한 편이다. 과거에 특파원 생활을 하였는데, РТР 근무 시기에 꽤 큰 방송사고를 냈다. 생방송 리포팅 중에 지나가던 소년이 배경에서 서성이는 모습을 보고 "Мальчик, иди в жопу отсюда!"라고 말한 것! 번역을 하면 "얘야, 저리 꺼져라!" 정도인데, жопу라는 단어가 영어로 따지면 asshole 정도의 비속어다. 2016년 하반기 앵커직을 그만두고 НТВ로 이적하여 일요일 종합 뉴스 프로그램 Итоги недели с Ирадой Зейналовой 진행을 맡고 있다.

5. 기타

중국의 신문연파처럼, 소련 붕괴 이전에는 당연히 소련 공산당이나 최고지도자(서기장)에 관련된 뉴스가 제일 먼저 나왔으며 서방에 대한 부정적인 뉴스가 나오기도 했다. 반정부적인 내용은 일체 보도하지 않았고, 사건사고 소식도 특별하게 다룰 정도로 큰 일이 아니면 별로 다루지 않았다. 방송시간은 30분 정도였으나, 승리의 날 같은 군사퍼레이드나 소련 공산당 전당대회 같은 행사, 혹은 당 서기장의 죽음 같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는 분량이 길어지기도 했다. 지역뉴스의 경우는 레닌그라드 프로그램 모스크바 프로그램이나 우크라이나 텔레비전같은 지역채널이나 지역방송사에서 따로 뉴스프로그램을 펀성해서 방영했다.

이 시기 브레먀를 소련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 러시아 영화 스테이션 7에서 나온다. "브레먀에서 계속 발사는 성공적이었다고 보도하고 있어. 분명히 무슨 일이 생긴 거야." 평소 뉴스에서는 언급도 안 하던 우주정거장 소식이 계속 브레먀에서 나오니, 우주비행사들의 가족들은 거꾸로 뉴스의 행간을 읽어 "아, 무슨 일이 생겼구나"하고 알아차리는 장면이다. 사실 공산권 국가들은 이 당시 다들 이랬고, 한국도 5공화국 시절에는 이랬다.


고르바초프 집권 후에는 정치개혁에 따라 보도내용에 다소 변화를 주어서 서방 뉴스 프로그램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으며 사건사고 소식의 비중을 늘려서 값싼 생필품의 부족 등 소련사회의 문제점을 다루는 보도가 크게늘어났고 서방의 소식을 이전보다 객관적으로 보도하게 되었다. 다만, 관영방송이라는 특징은 고르바초프대에도 여전하기는 했다. 1994년에 방송이 재개된 이후로는 방송시간이 길어지고 사건사고 소식의 비중이 크게 높아졌지만 정부와 공기업이 지분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채널 1의 특성상 여전히 친정부적인 성향을 보인다.

다만, 90년대 이전과 다른점이라면 당시의 러시아인들이 국영매체를 불신해서 체제비판적인 내용을 듣기 위해서 서방 라디오 방송을 불법임에도 알아서 들었다면 90년대 이후로는 서방 방송 매체를 보고듣기위해 노력을 할 필요가 없어졌음에도 서방매체에서 하라는 대로 했다가 쪽박찬 이후로 강한 러시아 국영매체를 굳게 신뢰한다는 점이다.

6. 남한과 북한 보도

  • 1980년 한국의 5.18 민주화운동을 보도하였다. (한국어 자막 있음)
    다만, 남한을 부정적으로 말하며 괴뢰정권으로 말한다. 그리고 다른 일화로는 북한 소개에서도 대한민국 국군을 괴뢰군으로 나오거나 평양에서 전두환 군부 깡패를 물리치자!, 전두환 살인마를 물리치고 남조선을 해방하자!고 평양시민들이 현수막을 들고 시위한 모습을 보도한 적이 있다. 다만 이당시는 아무래도 한소수교 이전인 것을 감안해야한다.

7. 소련 공산당 보도 영상

8. 관련 문서


[1] 실제 발음은 브먀에 가깝다. 러시아의 е는 단모음이 아닌 й에 э가 합쳐진 이중모음이기 때문.[2]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программа время(Informachionnaya programma vremya, 인파르마치온나야 프라그람마 브례먀).[3] 프라우다나 이즈베스티야도 이런 역할이었다.[4] 알코올 중독 정도야 자주 나왔지만 새 차를 사기 위해서는 몇 년 씩 걸린다거나 하는 일은 잘 나오지 않았다. 즉, 인민 개인의 문제는 방영해도, 사회구조적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는 뜻.[5] 모스크바 시간[6] 2018년 12월 이전까지는 시간대 구분이 짝수 단위로 5개였기 때문에 13시에 방송되었다.[7] 2018년 12월까지는 칼리닌그라드도 모스크바 방송 시간대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브레먀를 20시에 시청해야 했다.[8] НТВ는 민영이지만 대주주가 정부 소유의 공기업인 가즈프롬 미디어이며, ВГТРК 계열은 아예 정부 소유의 국영방송이다.[9] 정확히는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쓰였다.[10] 가수는 유리 마즈록(Юрий Мазро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