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01:56:21

ToHeart(애니메이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ToHeart2/애니메이션
, ToHeart ~Remember My Memories~
,
,
,
,

투하트 (1999)
ToHeart
トゥハート
파일:투하트 애니 대문.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일상, 청춘, 연애
원작 AQUAPLUS
캐릭터 원안 / 감수 미나즈키 토오루
감독 타카하시 나오히토
시나리오 감수 타카하시 타츠야
시리즈 구성 야마구치 히로시(山口 宏)
캐릭터 디자인 치바 유리코
총 작화감독
미술 감독 코바야시 시치로
타카하시 히사요시(高橋久嘉)
색채 설계 와타나베 아키(渡辺亜紀)
촬영 감독 오키노 마사히데(沖野雅英)
편집 헨미 토시오(辺見俊夫)
음향 감독 와타나베 준(渡辺 淳)
음악 와다 카오루
치프 프로듀서 아사가 타카오(浅賀孝郎)
오쿠노 토시아키(奥野敏聡)
프로듀서 이와카와 히로시(岩川広司)
칸다 슈키치(神田修吉)
테라사키 타카시(寺崎 孝)I&S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와사키 노부유키(和崎伸之)
애니메이션 제작 OLM
제작 KSS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1999. 04. 02. ~ 1999. 06. 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10. 18. ~ 2000. 11. 03.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선 텔레비전 / (금) 00:35 → (금) 00: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투니버스 / (월~금) 20:00
한국 정식발매 유림엔터테인먼트 (VHS)
DVD애니 (DVD)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3화
시청 등급 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
}}}}}}}}}}}} ||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주제가
4.1. OP4.2. ED14.3. ED2
5. 회차 목록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7. 평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에로게 ToHeart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타카하시 나오히토, 캐릭터 디자인은 치바 유리코, 애니메이션 제작은 OLM. 방영 시기는 1999년 4월.

2. 특징

PlayStation 버전의 발매에 맞춰서 오프닝곡과 영상, 성우진이 해당 버전과 겹친다. 타이틀 역시 PC판이 아닌 PS판과 마찬가지로 단어 간의 띄어쓰기가 없다.

내용은 일상적 학교생활을 묘사하며, 아카리를 주인공으로 설정해 기타 히로인들과의 에피소드와 아카리, 시호와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에로게 원작이지만 연령대에 구애받지 않는 내용으로 적절히 각색했다. 성적 어필 요소를 완벽하게 배제했으며 그 흔한 판치라조차 나오지 않는다. 사실 보다보면 느끼겠지만 여타 미연시 애니메이션과는 다르게 모에나 에로 요소보다는 다소 서정적인 분위기가 강한 편이다. 게임에 비해 아카리의 존재감이 굉장히 강하며, 시호 정도가 출연이 그 다음으로 많다. 각 화마다 주연이 되는 히로인이 다르며, 단 1화씩으로도 각자의 사정과 스토리를 짧고 굵게 잘 보여준다. 특히 마츠바라 아오이가 주연이 되는 화에서는 격투 씬까지 그려줄 정도이다.

원작 게임이 1학기를 배경으로 하는 반면, 이 애니메이션은 2학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단 것도 특징.

당시로서는 깨끗한 작화와 깔끔한 전개로 호평이 많았던 애니다. 감독은 타카하시 나오히토, 캐릭터 디자인은 치바 유리코가 맡았는데, 게임보다 더 좋았다는 평가가 많으며 작화 퀄리티도 OVA급으로 나와 원작초월이라는 평가가 많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점이 배경인데 미술감독을 데자키 오사무 감독 밑에서 배경을 그렸던 코바야시 시치로가 맡았다. 총 13편으로 마무리되었다.

원작 게임의 각본을 맡았던 타카하시 타츠야는 시나리오 감수 역할, 그리고 정발판DVD에도 포함되어 있는 영상특전 3장~5장의 각본도 맡았다. 영상특전의 아이디어는 미나즈키 토오루쪽에서 먼저 냈다고 증언.

제작기법이 디지털로 완전히 넘어가기 이전 시대의 작품이기 때문에, 셀 애니메이션 물감 채색 + 고퀄리티 + 미소녀 게임 원작 일상학원물이라는 조합의 희귀한 작품이다. 미소녀 게임을 애니화 하는 경우가 별로 없던 시절이라 셀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미소녀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 중에서 일상 학원물은 이거 말고는 센티멘탈 져니 정도 밖에 없다.[1]

좋은 화질로 남아있지 않은 작품이다. 그나마 오프닝은 2003년에 발매된 투하트 PSE의 CD속 특전으로 고화질판이 수록되었지만 안타깝게도 본편은 LD로 출시된 이후 원본 필름이 유실되어 DVD는 LD를 업스케일링해서 발매했다고 한다. 그래서 DVD 중에서도 화질이 구린 것으로 유명하다. 이후 어떻게든 필름을 다시 찾았으나 블루레이 시대에 이젠 또 원청사 KSS가 도산했다.[2] 일본에서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긴 하지만 이것도 제대로 복원된 버전이 아니며 리마스터를 해줄지는 알 수 없다. 이 애니 말고도 KSS가 판권 장사에 시큰둥했던 편이라 황금종려상 수상작이었던 자사 배급작 이마무라 쇼헤이우나기도 유명세랑 달리 오랫동안 블루레이가 나오지 않았다가 2024년에야 나온 걸로 유명하다.

특이하게도 엔딩곡이 두 가지 존재한다. 하나는 SPY가 부른 Access이고, 하나는 카와스미 아야코가 부른 Yell인데, 방영 당시 대부분 지역 방송에서는 Access가 송출되었으나, 니가타현에서만 Yell이 송출되었다. 또, 나중에 발매된 영상 매체에서는 Access가 아니라 Yell이 엔딩곡으로 수록되었다. 이유는 불명. 어느 일본인 블로거가 고찰한 글이 존재한다.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oHeart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

4.1. O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eeling Hear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P
Feeling Heart
[nicovideo(sm3414579, width=100%, height=366)]
TV ver.
Korean ver.[K]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츠카사 마사미(中司雅美)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정화
작사 스타니 나오코(須谷尚子)
작곡 시모카와 나오야(下川直哉)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원화 치바 유리코
}}}}}}}}} ||
오프닝 곡은 PS판 오프닝 『Feeling Heart』가 애니판에서도 그대로 쓰였지만, 가사 앞부분 일부가 편집되었다. 이는 PS판 오프닝(2분 13초)이 일반적인 TV용 애니메이션 오프닝(보통 1분 30초)으로 쓰이기엔 너무 길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잘라 냈음에도 2분 가까이 된다.

와이드 비율로 제작된 PS판 오프닝과 달리 4:3 비율에 맞게 위 아래에 영상을 보충하였다. 또한 시간적 배경이 1학기인 게임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은 2학기로 변경되었기에 벚꽃 나무 등 계절감이 느껴지는 장면이 가을과 겨울에 맞는 다른 영상으로 대체되었다. 단, 디지털 작화였던 PS판 오프닝과 달리, 대체된 추가 영상은 애니메이션 본편과 마찬가지로 셀 작화이다보니 유심히 보면 느낌이 다른 부분이 있을 것이다. 참고로 PS판 오프닝은 물론 애니메이션판 추가 영상까지 모두 치바 유리코가 혼자서 모든 원화를 그렸다.

한국에서는 신아영의 성우인 양정화가 더빙판 오프닝을 담당하였다.

가사는 Feeling Heart 문서 참조.

4.2. ED1

ED1
Yell
TV ver.
Korean ver.[K]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스미 아야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여진
작사 무츠미 스미요(六ツ見純代)
작곡 마에다 카츠키(前田克樹)
편곡 사카모토 마사유키(坂本昌之)
키즈 스테이션, 니가타 방송, 그리고 추후 발매된 모든 영상매체판 엔딩이다. 영상은 각 화의 하이라이트 장면들을 일부 비추는 식이다.

한국에서는 강보경의 성우인 윤여진이 더빙판 엔딩을 담당하였다.

4.3. ED2

ED2
Access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SPY
작사 KAZUYO
작곡 오사베 마사카즈(長部正和)
편곡 HIRO
키즈 스테이션, 니가타 방송을 제외한 모든 방송국에서 TV판 본방송 당시에 사용하였던 엔딩곡이다. 일종의 환상의 엔딩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Yell에 비하면 약간 마이너한 곡이지만 곡 자체가 괜찮아서 꽤 유명한 곡.
엔딩 영상은 Yell과 동일하다.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5] 시나리오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新しい朝
개학 첫날 아침
야마구치 히로시
(山口 宏)
타카하시 나오히토 치바 유리코 日: 1999.04.02.
韓: 2000.10.18.
제2화 放課後の出来事
방과후에 생긴일
요코타 카즈
(横田 和)
오오마치 시게루
(大町 繁)
코바야시 카츠토시
(小林勝利)
日: 1999.04.09.
韓: 2000.10.19.
제3화 陽だまりの中
햇빛 속에서
후지타 신조
(藤田伸三)
이와사키 요시아키 무라타 카즈야 이토 타케시 日: 1999.04.16.
韓: 2000.10.20.
제4화[6] 輝きの瞬間
빛나는 순간
야마구치 히로시 타카모토 요시히로 후카자와 코지
(深沢幸司)
치바 유리코 日: 1999.04.23.
韓: 2000.10.23.
제5화 青い空の下で
푸른하늘 아래서
무라타 카즈야 사이토 에이코
(斉藤英子)
日: 1999.04.30.
韓: 2000.10.24.
제6화 憧れ
동경
요코타 카즈 오오마치 시게루 코바야시 카츠토시 日: 1999.05.07.
韓: 2000.10.25.
제7화 揺れるまなざし
흔들리는 눈빛
후지타 신조 후카자와 코지 키미야 시게루
(木宮しげる)
히라이시 모토코
(平石素子)
日: 1999.05.14.
韓: 2000.10.26.
제8화[7] おだやかな時刻
따스한 시간
후카자와 코지 사와다 마사히토
(沢田正人)
日: 1999.05.21.
韓: 2000.10.27.
제9화[8] 心の在り処
마음이 머무는 곳
야마구치 히로시 이와사키 요시아키 무라타 카즈야 사이토 에이코 日: 1999.05.28.
韓: 2000.10.30.
제10화[9] 夢見る笑顔
꿈꾸는 미소
후지타 신조 무라타 카즈야 사이토 에이코
치바 유리코
日: 1999.06.04.
韓: 2000.10.31.
제11화[10] ぬくもりの瞳
따뜻한 눈동자
야마구치 히로시 후카자와 코지 日: 1999.06.11.
韓: 2000.11.01.
제12화 想いの季節
사랑의 계절
후지타 신조 타카하시 나오히토 무라타 카즈야 日: 1999.06.18.
韓: 2000.11.02.
제13화 雪の降る日
눈 내리는 날
야마구치 히로시 타카하시 나오히토
후카자와 코지
日: 1999.06.25.
韓: 2000.11.03.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2000년 10월부터 동년 11월까지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다. 이 작품은 한국에서 특이한 이력이 있는데 로컬라이징 될 캐릭터 이름을 방영 전 투니버스 홈페이지를 통해 시청자 투표로 정한 것이었다. 해당 페이지에는 '저희(투니버스)보다 투하트를 잘아시는 팬 여러분의 도움을 받고자 합니다.'라는 글과 함께, 각 캐릭터 별로 투니버스가 사전에 정한 6개의 한국식 이름 후보를 보여주고 이중 하나를 선정해달라는 것이었다. 여기서 가장 많이 뽑힌 이름이 선정되었고 해당 이름으로 우리말 더빙이 이루어졌다. 번역은 김양희/후리기획, 더빙 연출은 최방옥.

한국어 방영판 오프닝은 논크레딧 버전을 제공받지 못했는지 본편 영상을 짜집기하여 제작하였는데 멀티가 나오는 장면이 다른 캐릭터보다 좀 더 많았다. 기존 팬은 물론이고 이 작품을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도 인기가 있었기에 2005년까지 재방이 이루어졌다, 더빙 퀄리티와 주제가 번안이 그야말로 완벽했던지라 투니버스 리즈시절 하면 무조건 언급되는 작품이다.

에로게 원작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이 무색하도록 학창시절 첫사랑을 다룬 청춘 연애 장르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진 본작은 방영 당시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본작을 보고 미연시에 입문한 사람들이 바로 1세대 플레이어들. 애니메이션만 보고 에로게인 원작을 플레이했다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H신에 당황했다는 이야기도 많이 떠돈다.[11]

DVD도 한국에 정식으로 발매되었는데[12], 본편은 한국어 음성/일본어음성, 한국어 자막을 지원하였는데, 투니버스 방영 당시에는 예고 부분도 우리말 녹음이 되었으나 DVD에 수록된 한국어 음성에는 예고 부분이 경음악으로 대체되었다. 그 밖에 영상 특전들도 모두 한국어 자막이 포함되어 수록되었다. 초판의 경우 PS2로 재생시 12화에서 트러블이 발생하였는데, 이를 해결한 새로운 디스크로 교환해주었다. 이후 박스 세트도 출시되었으며, 시간이 지난 후 정발판 DVD가 늘 그렇듯만원 정도로 할인되었다. 현재는 신품은 절판 상태라 중고로 밖에 구할 수 없는 상태. 더불어 투하트는 VHS 비디오로 전편, VCD로도 발매되는등 사실상 블루레이를 제외한 전 매체로 발매한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

또한 본작은 작품 외적인 면에서도 언급할만한 부분이 있다. 일본에서 ToHeart 애니메이션이 첫 방영된 날은 1999년 4월 1일이었는데 이로부터 불과 3일 후인 1999년 4월 4일 ToHeart 애니메이션 1화가 애니메이트(당시 하이텔) 자료실에 업로드된 것.[13] 그리고 이는 1화물 인터넷(PC통신) 실시간 공유&배포의 시작이 되었다. 실로 한국 취미문화 흑역사에서 하나의 중요한 터닝포인트. 지금은 애니플러스, 라프텔 등 합법적인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늦어도 일주일 이내) 한국 재전송이 당연시되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실로 격세지감이며, 아직 모뎀으로 인터넷을 하던 1999년의 시점에서는 그야말로 혁명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애니메이션 1화물 공유의 첫 스타트를 끊은 하이텔 애니메이트는 그 이후 PC통신/인터넷 동호회 중 가장 먼저 저작권 침해자료의 공유를 자체 규제한 동호회가 되었다.

한국의 스트리머 김도, 자동, 똘똘똘이는 이 애니메이션을 좋아해 이 애니메이션의 동호회 모임에서 셋이 처음 만났다고 하며 셋이 나란히 스트리머에 데뷔해 함께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7. 평가

작화는 타카하시 나오히토 감독과 치바 유리코 둘이서 거의 전면 수정을 해 최고급의 작화를 자랑하며 셀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채색과 코바야시 시치로의 수채화풍의 배경도 뛰어나다. 오히려 디지털 작화에 익숙해진 요즘 작품들과 비교해 볼 때 이 작품의 작화 구현 방식은 신선하고 산뜻하게 느껴질 정도. 그리고 캐릭터들의 디자인도 데셍이 잘 되고 밸런스가 잘 맞아서 작화 자체가 세월을 잘 안 탄다. 원작에 비해 눈 디자인이나 헤어스타일 등을 좀 단정되게 다듬었다.링크 원작을 초월하는 바람직한 애니화로 아직도 볼 가치가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작화도 작화인데다가 OST도 꽤 공들인 티가 난다.[14] 실질적으로 치유계 일상물에 가까운 내용이라 그렇게 스펙타클하지는 않지만 작화나 음악은 오늘날 봐도 거의 촌스럽지 않을 정도다.

내용을 떠나서 이 작품은 큰 의미가 있다. 에로게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이 처음으로 당당히 양지로 미디어믹스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는 것.[15]

이 작품의 성공 이후 2003년쯤부터는 에로게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이 아주 많이 제작되게 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은 많아진 것에 비해, 아직도 투하트만큼 좋은 평가를 받는 애니메이션은 거의 없는 편으로[16], 에로게 원작 애니메이션의 포문을 열었고, 아직도 에로게 원작 애니메이션에서는 탑 티어를 지키고 있다.[17] 자사의 다른 게임 애니메이션들이 대부분 양산형 홍보물 정도의 퀄리티인 것도 아이러니한 점.

게다가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에로게 시장 자체가 급격하게 쇠퇴해서 에로게 애니화 자체가 드물어지고 설령 되더라도 TV 애니메이션은 거의 꿈도 못꾸어 양산형 성인용 애니가 사실상 한계이니 더이상 이만한 퀄리티의 에로게 원작 애니메이션이 나올 일은 보기 힘들 것이다.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는 치바 유리코 작품 중 이게 최고라고 평했다.#

평론가 마에Q는 "타카하시 나오히토와 치바 유리코의 영상미가 압권이다. 그리고 진 히로인이 무덤덤하게 다른 히로인들을 압박하는 묘사가 백미이다." 라고 평했다.

작화로는 치바 유리코, 우마코시 요시히코, 마스나가 케이스케, 와다 타카아키가 참가한 4화가 유명하다.


[1] 15금이나 18금까지 범위를 넓히면 조금 더 있기는 하다. 본작이 방영되던 1990년대 무렵에는 아직 야애니 시장이 잘나가던 시절이라 미연시 원작의 18금 애니도 나름 스토리성을 갖추거나 좋은 퀄리티로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2] 이후 VOD 서비스는 반다이 비주얼에서 담당하고 있다.[K] 투니버스판에는 가사 자막이 없고, 비디오판에는 자막이 있다.[K] [5] 한국어 방영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투니버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6] 원화: 우마코시 요시히코, 시무라 이즈미(志村 泉), 마츠자카 사다토시, 와다 타카아키 등.[7] 원화: 사와다 마사토(沢田正人), 와다 타카아키.[8] 원화: 시무라 이즈미, 마츠자카 사다토시, 나카자와 유이치(中沢勇一), 고토 준지 등.[9] 원화: 이토 료타, 요코야마 켄지, 호소다 나오토 등.[10] 원화: 나카자와 유이치, 고토 준지, 시무라 이즈미, 호소다 나오토 등.[11] 이 애니만 보고 알던 사람들이 원작이 에로게라는 소리를 듣고는 경악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사실 그럴 만도 한 게 사실 대부분의 애니 원작들은 대개 만화책이 원작이었으므로 이 작품도 만화책이 원작일 거라고 생각했었다. 슬램덩크, 미라클 걸즈, 다!다!다!를 생각해보면 알겠지만 원작이 만화책이다.[12] DVD 정발판의 투하트 로고는 투니버스판과 다르다.[13] 포맷은 rm(리얼미디어)로 해상도는 320x240였다. 240p를 지금으로선 코웃음나는 화질이지만 당시만 해도 일반적인 사양의 컴퓨터에서 이를 매끄럽게 재생하기는 쉽지 않았다. 거기다가 야간정액제가 없으면 다운받는것도 포기해야했다.[14] 아주 종종 우리나라의 예능 프로그램에서 배경 음악으로 아직까지 써먹는다.[15] 물론 이전에도 예로게 원작의 애니메이션은 많았지만 전부 연령제한이 걸린 야애니였다. 이후 동급생2하급생 OVA가 18금적 요소를 배제하고 TV로 방영되어 호응을 얻었지만 이 작품은 처음부터 전연령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영할 것을 전제로 일반적인 애니팬에게도 어필할 수 있는 작품으로 만들어졌고 성공했다는데 의미가 있다.[16] 특히 게임 장르가 학원물 미연시일 경우 더 그렇다.[17] 특히 투하트라는 작품을 이 애니메이션으로 알았다가 나중에 성인용 에로게라는 걸 알고 놀란 사람도 적지 않은 편이다. 이유도 애니메이션은 에로게와는 거리가 먼 청춘 연애 학원 로맨스물이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