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5:17:50

핑크 플로이드의 벽

The Wall(영화)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0;border-radius:5px;"
파일:pink-floyd-logo-white.png


{{{-2 {{{#!folding [ 데뷔 이전 멤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18%;"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jpg
파일:A Saucerful of Secrets.jpg
파일:More.jpg
파일:Ummagumma.jpg
파일:Atom Heart Mother.jpg

1967

1968

1969

1969

1970
파일:Meddle.jpg
파일:Obscured by Clouds.jpg
파일:The Dark Side of the Moon.jpg
파일:Wish You Were Here.jpg
파일:Animals.jpg

1971

1972

1973

1975

1977
파일:The Wall.jpg
파일:The Final Cut.jpg
파일:A Momentary Lapse of Reason.jpg
파일:The Division Bell.jpg
파일:The Endless River.jpg

1979

1983

1987

1994

2014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Ps ]
{{{#!folding [ Non-album Singles ]
{{{#!folding [ 관련 문서 ]
}}} ||

핑크 플로이드의 벽 (1982)
Pink Floyd - The Wall
<nopad> 파일:external/img.csfd.cz/159117590_e0eb8d.jpg
<colbgcolor=#3B6A95><colcolor=#000000> 장르 록 오페라, 뮤지컬
감독 앨런 파커
애니메이션 제럴드 스카프
출연 밥 겔도프
러닝 타임 95분
각본 로저 워터스
음악 핑크 플로이드, 밥 에즈린, 마이클 케이먼
개봉일 1982년 7월 14일 (영국)
1999년 5월 22일 (한국)
제작 및 배급 MGM/UA
제작비 약 1,000만 달러
박스 오피스 약 2,200만 달러
관람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2. 특징3. 주요 등장인물4. 줄거리5. 평가
5.1. 평론가 평
6. 여담

1. 개요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The Wall》을 기반으로 하는 1979년작 영화. 살면서 여러 가지 절망을 연이어 겪어온 주인공 '핑크 핑커튼(Pink Pinkerton)'이 을 만들어 주위의 세계와 감정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몸부림을 보여준다.

1982년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초청받았다.

2. 특징

원작 《The Wall》과 같이 비유적이고 상징적인 묘사들이 영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영화의 대부분은 《The Wall》의 수록곡으로 진행이 되어 대사가 거의 없다. 중간중간에는 영국의 일러스트레이터 제럴드 스카프가 그린 애니메이션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이 영화는 돌비 스테레오를 지원하는 일곱 번째 만화영화가 되었다.

영화의 묘사와 제럴드 스카프 특유의 혐오스러운 스타일 덕분에 현재까지도 록 오페라뮤지컬 장르에서 가장 기괴하고 초현실적인 영화 중 하나로 남아있다.

3. 주요 등장인물

  • 주인공 핑크 핑커튼과 주인공의 아버지 J. A. 핑커튼을 제외한 등장인물은 이름이 없다.
배역 담당배우
핑크 핑커튼 케빈 매키언, 밥 겔도프
J. A. 핑커튼 제임스 로렌슨
엄마 크리스틴 하그리브스
선생 알렉스 매커보이
매니저 밥 호스킨스
부인 엘리너 데이비드
그루피 조앤 웰리

4. 줄거리

기본적인 줄거리는 《The Wall》과 동일하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선 앨범 문서를 참조하자.

영화는 주인공 핑크가 방에 정신이 나간 듯이 앉아있는 모습으로 시작한다. 그후 앨범의 첫 곡인 〈In the Flesh?〉가 시작되며 핑크가 무대에 서 있는 모습과 핑크의 아버지가 전쟁터에서 싸우는 장면이 교차되며 나타나는데, 핑크의 아버지 앞으로 비행기가 폭격하는 장면과 함께 〈In the Flesh?〉가 끝이 난다.

이후 핑크의 어린 시절의 모습이 회상의 형식으로 묘사되며, 그가 '벽'을 쌓게 되는 이유와 과정을 보여준다.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1]

회상이 끝나면 핑크의 현재 모습이 나타난다. 락스타로서 성공을 거두지만 마치 상품처럼 다루어지게 되며, 이는 '벽'을 만드는 데에 일조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핑크는 마약과 성적 쾌락을 위안으로 삼아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그러는 동안 부인이 다른 남자와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핑크의 타인에 대한 불신은 더 강해진다. 이러한 불신은 결국 〈One of My Turns〉에서 폭발한다.
One of My Turns

이를 계기로 핑크는 결국 벽을 완성하고, 정신은 완벽히 고립된 상태에 놓인다. 한편 현실의 핑크는 폐인이 된 상태였는데, 그의 매니저는 이에 아랑곳 않고 핑크를 어떻게든 무대에 올리고자 한다.
Comfortably Numb[2]

결국 핑크는 미쳐버리고, 자신을 광기에 물들게 했던 것들을 없애고자 하지만, 이는 전체주의적 광기가 되어 표출되며, 자신이 혐오했던 것을 되려 강요하게 되는 모순적인 상황이 된다.
Run Like Hell〉, 〈Waiting for the Worms

이를 진행하던 도중, 핑크는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느끼고, 자신의 마음 속에서 재판을 벌이게 된다.
The Trial

재판 후 핑크의 벽은 무너지지만, 어디선가 또다른 벽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불길한 암시와 함께 영화는 끝난다.

5.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0084503, IMDb_user=8.0,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pink_floyd_the_wall, 로튼토마토_tomato=73, 로튼토마토_popcorn=89,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pink-floyd-the-wall, 메타크리틱_critic=47, 메타크리틱_user=8.4,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pink-floyd-the-wall, 레터박스_user=4.1,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72, 알로시네_presse=5.0, 알로시네_spectateurs=4.1,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MYmoviesit=1982/pink-floyd-the-wall, MYmoviesit_MYMOVIES=2.00, MYmoviesit_CRITICA=2.99, MYmoviesit_PUBBLICO=3.99,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23712, 키노포이스크_user=8.1,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Filmarks=34829, Filmarks_user=3.9,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1296157, 도우반_user=8.7,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P5mXBd, 왓챠_user=3.8,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47285, 키노라이츠_light=85.19, 키노라이츠_star=3.6,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핑크 플로이드의 더 월, 네이버영화_audience=8.67,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MRQE=pink-floyd-the-wall-m100046138, MRQE_user=81, ## MRQE_highlight=display,
TMDB=12104-pink-floyd-the-wall, TMDB_user=80,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the-wall-2--3, 무비파일럿_user=7.6,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great-movie-pink-floyd-the-wall-1982, RogerEbertcom_user=4,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GooglePlay무비=UT8zhIykGMs, GooglePlay무비_user=4.7,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JustWatch=pink-floyd-the-wall, JustWatch_user=93, ## JustWatch_highlight=display,
맥스무비=M000000111, 맥스무비_user=64,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씨네21=3365, 씨네21_expert=8.00, 씨네21_user=8.47, ## 씨네21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pink-floyd-wall-review, 엠파이어_user=2,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5.1. 평론가 평

Pink Floyd's expression of generational angst is given striking visual form The Wall, although this ambitious feature's narrative struggles to marry its provocative images and psychedelic soundtrack into a compelling whole.
핑크 플로이드의 세대적인 분노의 표현은 'The Wall'이라는 인상적인 시각적 형식을 띠고 있지만, 이 야심찬 장편의 서사는 도발적인 이미지와 사이키델릭한 사운드트랙을 매력적인 전체로 결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집요하게 파고든 의식의 내면. 언제봐도 신선한 영화
- 박평식 (씨네21) (★★★★)
금기의 영화, 숨어서 볼 때가 더 재미있다
- 심영섭 (씨네21) (★★★★)
세월이 가면 시간도, 잣대도 변한다는 증거물
- 유지나 (씨네21) (★★★★)
음악과 시, 현실과 무의식의 벽을 무너뜨린 기념비
- 김영진 (씨네21) (★★★★)
- 이동진 (왓챠피디아) (★★★★)

6. 여담

파일:TFV005653.jpg 파일:pinkfloydthewall.jpg
비디오판 자켓 사진 개봉 당시 주간지에 실린 광고
  • 한국에서는 개봉 금지되었다가 1990년에서야 대우비디오에서 비디오로나마 출시되었다. 이후 9년이 지난 1999년 5월 22일 극장에서 개봉되었다. 비디오로 먼저 출시되고 극장에서 지각 개봉한 대표적인 예.

[1] 영상에 나오는 핑크의 시는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수록곡 Money의 가사 중 일부이다.[2] 보는 사람에 따라 혐오를 느낄 수 있으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