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33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대한 내용은 갤럭시 점프2 문서 참고하십시오.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 M18 | M19 | M20 |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
M61 | M62 | M63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4 | M65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6 | M67 | M68 | M69 | M70 |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colcolor=#373a3c> M78 | M79 | M80 | |
<rowcolor=#373a3c>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
<colbgcolor=#87cefa,#44677d> M91 | M92 | M93 | M94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5 | M96 | M97 | <colbgcolor=#87cefa,#44677d> M98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9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100 |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 M107 | M108 | M109 | M110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
메시에 천체 | ||||
M32 메시에 32 안드로메다 은하의 위성은하 | ← | M33 삼각형자리 은하 삼각형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 M34 메시에 34 페르세우스자리의 산개성단 |
NGC 천체 | ||||
NGC 597 조각가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 NGC 598 삼각형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 NGC 599 고래자리의 타원은하[1] |
M33 삼각형자리 은하 Triangulum Galaxy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1h 33m 50.02s |
적위 | +30° 39' 36.7" | |
별자리 | 삼각형자리 | |
겉보기 등급 | +5.72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SA(s)cd형 정상나선은하 | |
거리 | 970 킬로파섹 320만 광년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70.8' × 41.7' | |
지름 | 50,000 광년 18,740 파섹 | |
명칭 | ||
M 33, NGC 598, MCG+05-04-069, UGC 1117, PGC 5818 |
1. 개요
M33 / NGC598삼각형자리 은하는 삼각형자리에 있는 정상 나선 은하로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와 함께 국부 은하군에 속해 있다. 종종 바람개비 은하라고도 불리지만 이 명칭은 M101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2. 역사
1654년 이전에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지오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가 관측했다는 기록이 있다. 삼각형자리 부근에 있는 구름같은 모습이라 비유했다 한다. 다만 당시에는 그의 기록을 천문학계에서 별 관심을 가지지 않아 잘 알려지지 않았다.[2]1764년 8월 25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독자적으로 발견하여 자신의 목록에 추가하게 된다. 1784년 9월 11일 윌리엄 허셜이 자신의 천체 목록에 추가하였다. 또 삼각형자리 은하 내부의 H II영역인 NGC604를 따로 추가하였다. 1850년 윌리엄 로스 백작에 의해 최초로 발견된 나선 성운[3]이다.
1926년에 에드윈 허블이 이 은하에서 발견된 25개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분석하여 거리를 계산하였고, 그에 따라 우리 은하내부의 성운이 아닌 독립적으로 있는 외부 은하임이 밝혀졌다.
3. 특징
삼각형자리 은하는 국부 은하군에서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 다음으로 크고 무거운 은하다. 지름은 약 60,000광년, 질량은 태양의 500억배로 추정된다. 은하 내에 약 400억개의 별들이 은하 중심을 따라 공전한다. 겉보기 등급은 약 5.7등급으로 조건이 매우 좋은 밤하늘에서 간신히 볼 수 있으며 맨눈으로 관측 가능한 가장 먼 천체이다. 시선크기가 보름달 4개 정도의 영역인데다 광도가 거의 균일해서 표면의 휘도가 매우 낮다. 때문에 쌍안경이나 낮은 배율의 망원경으로는 관측이 힘들고, 최소 6인치 이상의 망원경에 중배율 이상에서 은하 핵 주변의 빛구름을 관측할 수 있다. 구경이 40cm가 넘는 대형망원경으로는 은하 내부의 구상성단까지 관측이 가능하다.정상나선은하로 뚜렷한 나선팔에 NGC 604를 비롯한 수 많은 H II영역과 젊은 별들이 내는 푸른 빛을 띤 가스와 구름들이 있다. 현재 초신성이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여러개의 초신성 잔해가 있고 강한 전파원과 X선 근원이 이 은하 내부에 존재한다. 은하 내에는 4개의 신성과 25개의 세페이드변광성을 포함 최소 112개의 변광성이 존재한다.
우주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평균적인 은하지만 국부 은하군에는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라는 원투펀치가 있기에 콩라인에도 속하지 못한 3인자 신세다.[4] 거기다 관측자료에 따르면 750,000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에 중력적으로 묶여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여러모로 독립적인 3인자 조차도 못 된 불쌍한 은하이다. 현재, 약 180km/s의 속도로 우리와 가까워지고 있다.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가 서로 충돌하며 병합 할 때 이 은하 역시 영향을 완전히 피하진 못 할 것이다.
4. 내부 천체
삼각형자리 은하의 내부 천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GC 천체 | |||||
NGC 587 삼각형자리의 중간나선은하 | ← | NGC 588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NGC 589 고래자리의 렌즈형은하 |
NGC 천체 | |||||
NGC 591 안드로메다자리의 렌즈형은하 | ← | NGC 592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NGC 593 고래자리의 렌즈형은하 |
NGC 천체 | |||||
NGC 594 고래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 NGC 595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NGC 596 고래자리의 타원은하 |
NGC 천체 | |||||
NGC 603 Unknown[5] | ← | NGC 604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NGC 605 안드로메다자리의 렌즈형은하 |
IC 천체 | |||||
IC 130 고래자리의 렌즈형은하 | ← | IC 131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32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IC 천체 | |||||
IC 131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32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33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IC 천체 | |||||
IC 132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33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34 삼각형자리의 항성 |
IC 천체 | |||||
IC 134 삼각형자리의 항성 | ← | IC 135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36 삼각형자리의 성군 |
IC 천체 | |||||
IC 141 고래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 IC 142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43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IC 천체 | |||||
IC 142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43 삼각형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IC 144 고래자리의 타원은하 | }}} |
4.1. NGC 604
M33내에서 NGC 604의 위치
M33의 내부에는 NGC 604 혹은 별들의 대요람이라는 명칭의 발광성운이 있다. 이 성운은 현재까지 알려진 발광성운 중 가장 큰 영역을 갖고 있는 성운 중에 하나이다. 직경이 성운에 범위에 따라 다르지만 대충 1,500광년 정도이며[6] 스펙트럼은 M42 오리온 대성운과 매우 비슷하다.
5. 위치 및 찾는 방법
삼각형자리 은하는 +5.72등성이다 보니 눈으로 볼 수 있기는 하지만 매우 찾기 어렵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찾을 수 있다.
- 먼저 페가수스 사각형을 찾는다.
- 페가수스 사각형에서 북서쪽 모서리에 있는 별은 안드로메다자리의 알페라츠 별(알파)이다. 이 별과 안드로메다자리 베타 별을 잇는 직선에 수직하는 직선 위에 안드로메다 은하가 있다. 이를 먼저 찾는다.
- 안드로메다자리 베타별을 중심으로 안드로메다 은하의 정반대편에 삼각형자리 은하가 있다.
6. 각종 미디어에서의 모습
진 로덴베리의 안드로메다의 무대가 되는 3개 은하계 중 하나. 나머지 둘은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계이다.크라이시스 세계관의 세프는 이 은하 전체를 통틀어서 지배[7]하고, 공간의 제약없이 워프를 해서 지구 앞까지 나타난다.
7.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 M18 | M19 | M20 |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
M61 | M62 | M63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4 | M65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6 | M67 | M68 | M69 | M70 |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colcolor=#373a3c> M78 | M79 | M80 | |
<rowcolor=#373a3c>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
<colbgcolor=#87cefa,#44677d> M91 | M92 | M93 | M94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5 | M96 | M97 | <colbgcolor=#87cefa,#44677d> M98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9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100 |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 M107 | M108 | M109 | M110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