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000>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 ||||
플렉스티비 | |||||
| |||||
<rowcolor=#000> 해외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 |||||
문서가 존재하는 플랫폼만 서술 A : 대한민국에서 사업 철수 | }}}}}}}}} |
<colbgcolor=#000><colcolor=#52fc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 | 킥 Kick | }}} | |
국가 |
| |||
업종 |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 |||
운영 | 킥스트리밍 비공개주식유한책임회사 (Kick Streaming Pty Ltd.)[1] | |||
모기업 | 이지고엔터테인먼트 비공개주식유한책임회사 (Easygo Entertainment Pty Ltd.) | |||
소유주 | 애쉬우드 홀딩스(33%) 비잔 테흐라니(66%) | |||
설립일 | 2022년 10월 | |||
서비스 개시 | 2023년 1월 (베타 서비스) | |||
링크 |
1. 개요
호주의 인터넷 방송 플랫폼. Kick Streaming Pty Ltd.이 개발, 운영하고 있다.2. 역사
2022년 트위치는 구독권 수수료를 30%에서 50%로 인상하고 도박을 주제로 하는 방송의 송출을 완전히 금지시키는 새 약관을 발표했다. 이에 많은 스트리머들, 특히 도박 방송을 전문으로 하던 이들이 크게 반발하였고 북미 네티즌을 중심으로 논란이 일었다. 이후 Trainwreckstv라는 계정으로 도박 방송을 진행하던 이란계 미국인 스트리머이자 프로 갬블러인 타일러 패러즈 니크남(Tyler Faraz Niknam)이 인터넷 카지노 플랫폼인 스테이크닷컴(stake.com)의 창립자 비잔 테흐라니(Bijan Tehrani)와 에드워드 크래븐(Edward Craven)과 함께 새로운 스트리밍 플랫폼인 킥(Kick)을 설립하였다. 스트리머의 수입을 보장하고 트위치에서는 방송 불가능한 콘텐츠도 방송할 수 있도록 표현의 자유를 널리 보장한다는 취지였다.#위와 같은 설립 이유 때문에 설립 당시 기준으로 '95-5 정책'을 펼쳤는데, 수익의 95%를 스트리머가 가져가고 구독 수수료는 5%, 파트너 스트리머의 경우 3%만 지불하면 된다는 파격적인 수익 정산 조건이었다. 도박 및 성인 방송도 성인 방송임을 알리는 18+ 태그만 붙인다면 문제되지 않는다. 물론, 완전한 신체 노출은 정도에 따라서 제재를 당할 수 있다.
3. 특징
킥의 모기업인 이지고(Easygo)는 마찬가지로 공동창립자 비잔 테흐라니와 에드워드 크래븐이 설립한 기업으로, 대규모 인터넷 카지노 플랫폼인 스테이크닷컴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킥 역시 에드워드 크래븐이 소유하는 애쉬우드 홀딩스(Ashwood Holdings)와 비잔 테흐라니가 지분의 대부분을 갖고 있어, 사실상 스테이크닷컴과 운영주체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탄생 배경이 그렇듯 트위치가 2022년 10월 18일 자로 송출을 금지했던 슬롯 앤 카지노(Slots & Casino)라는 항목이 있을 정도로 온라인 도박의 중계가 자유롭게 허용된다. 그 외에도 트위치, 유튜브 등 다른 스트리밍 플랫폼보다 자유로운 부분이 많다. 다만 다른 플랫폼에 비교해 자유로운 것이지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닌데 예시로 다른 사용자와 함께 도박 방송을 하는 것과 고어물, 포르노는 엄격히 금지된다.[2]
2023년 8월 23일 앱이 업데이트되어 모바일 앱에서 드디어 한글을 지원한다. 다만 프로필 옵션 버튼이 어떠한 이유로 사라져있다. 또한 채팅을 입력했을 때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지연이 조금 있으며, 심한 경우 채팅 입력이 가끔 누락되기도 한다. 그 외의 일부 버그들도 존재한다. 이에 킥 측에서는 앱의 대규모 업데이트를 준비하고 있다고 공고했다.
태그는 달 수 있으나 관련 기능은 구현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트위치의 경우는 한국어 태그를 누르면 현재 한국어 태그를 단 방송 목록이 뜨는데 킥은 눌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
3.1.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영문)2024년 2월 27일 킥 가이드라인은 아래와 같고, 해당 관련 규칙들은 제재당할 수 있다.
- 방송이 금지된 콘텐츠
- 음란물을 제작하거나 공유하는 행위
- 성적 서비스 요청
- 성행위 또는 서비스 장려
- 성행위를 한 대가로 선물을 통해 보상이나 서비스를 약속
- 성기를 애무하는 묘사
- 지속적인 성행위 묘사
- 구강, 항문 또는 질 성교와 관련된 과도하고 암시적인 콘텐츠
- 성적인 체액의 배출을 그래픽으로 묘사
- 현실이든 애니메이션 영역이든 모든 신체적 성행위 또는 침투 행위
- 증오심 표현, 욕설, 인종차별
- 상표권 위반
- 브랜드 또는 조직 사칭
- 다른 크리에이터를 따돌림, 사칭 또는 조롱하는 행위.
- 다른 크리에이터를 스트리밍하거나 개인정보를 노출하거나 명예훼손시키는 경우 사생활 침해
- 유해, 기만적, 공격적, 불법인 경우 저작권
- 영화 또는 스포츠 경기 등의 저작권 위반
- TV 프로그램 또는 TV 채널 저작권 위반
- 다른 사이트의 다른 크리에이터 콘텐츠의 저작권 위반
- 사용자가 소유하지 않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음악 저작권 위반
- 클로즈 알파/베타 및 출시 전 게임의 저작권 위반
- 제한적인 방송이 가능한 콘텐츠
방송 자체는 가능하나, 반드시 18+ 태그를 달아야 함
3.2. 한국에서의 킥
2023년 12월 트위치가 2024년 2월에 한국 서비스를 종료하겠다는 발표를 하면서, 킥의 공식 X 계정에서 직접 한국 스트리머들을 환영한다는 글을 올리고 구글 광고에 한국어 광고를 내걸면서 노를 저은 적이 있었지만 네이버가 치지직이라는 방주를 가지고 더 큰 노를 저은 바람에 한국의 대부분 방송인들은 킥으로 이주하기는 커녕 서브채널로도 쓰지 않는다.그래서 주로 과거 트위치에서 했던 일본 애니 본방송을 중계하는(당연히 불법) 채팅방으로 쓰인다. 하지만 Kick이 있는 호주는 가아청이 불법이기 때문에 누키타시 4화 같이 아주 수위 높은 아청 애니를 틀었다간 천년금지행에 처해질 수 있고 일본 애니메이션 회사가 중계방을 알고 DMCA를 걸면 바로 썰리니 음지 플랫폼이라고 착각하고 막 나가면 안 된다.
4. 스트리머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Kick 스트리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Kick 스트리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여담
- 2023년 6월 6일, 여러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이 플랫폼에서 동시 송출을 하고 도박 광고 방송을 하는 것이 논란이 되자 트위치에서 동시 송출을 금지[5]하고 광고에 극도로 제한을 거는 등[6] 초강수를 두면서 MrBeast를 비롯한 초대형 인터넷 방송인들이 트위치의 발표를 비판했다. # 이로 인해서 한국에서도 이 플랫폼이 화두가 되어 서서히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유입 또한 이뤄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 트위치와 접점이 많기에 킥수, 도네이션, 구독권, 스트리머등 사용하는 용어들이 비슷하다.
- 2023년 6월 17일에는 펠릭스 랑젤(xQc)[7]을 2년간의 비독점 계약[8]으로 계약금 1억 달러[9]로 영입을 발표하며 환영의 메시지를 보냈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평소의 50배가 넘는 엄청난 트래픽이 몰리면서 수시간 동안 502 BadGateway 오류의 서버 장애가 발생했다. 일부 사람들은 DDoS 공격을 의심했을 정도였다. # 또한 불과 24시간 사이에 100만명이 넘는 인원이 가입했다고 언급하며 전세계에서 킥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알렸다.# 다음날인 19일에는 일련의 사태를 8K meme으로 셀프디스하기도 했다. #
- 2023년 6월 24일, 약 1000만 계정 생성 달성을 하는데 채 7개월 밖에 걸리지 않았다.[10]
- 트위치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만들어진 만큼 인터페이스가 트위치와 상당히 흡사하다.
- 2023년부터 알파 로메오 F1 팀을 후원 중으로, 7월 벨기에 GP를 앞두고 특별 리버리를 적용해 공개하였다.
이후 2024년 부터는 F1 팀 킥으로 후원하고 있다.[11]
- 스트리머를 팔로우 해도 메일로만 생방송 알람이 오고 모바일 알람이 잘 오지 않는다.
[1] 2022년 10월~, 약관 참조.[2] 그러나 실제로는 가이드라인에서 금지되는 성적인 행동을 암시하는 행동 등이 암묵적으로 성행하고 있다.[3] 18+ 콘텐츠의 정확한 기준이 없어, 눈치껏 행동해야된다.[4] 단 성행위, 중요 부위 노출 시에는 경우에 따라 영구 정지를 당한다.[5] 사실 기존 규정으로도 제휴 및 파트너 스트리머는 원칙적으로 동시송출이 불가능했다. 다만 이번에는 이용약관으로 금지한 것이라 제휴조차 하지 않은 스트리머를 포함해 모든 스트리머에게 해당되고 이는 다시보기와 클립이 막힌 한국도 예외는 아니라서 외부 송출을 통한 다시보기 저장조차도 비허용하는 것이냐는 비판이 나왔다.[6] 이후 반발이 거세지자 곧바로 사과문을 게재했지만 동시 송출 문제에 관한 언급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7] 트위치 기준 약 1,200만명의 팔로워를 거느린 대형 스트리머이다.[8] 비독점 계약으로 xQc가 다른 플랫폼과 병행하여 방송해도 괜찮다.[9] 한화 약 1270억원[10] 이전 트위치가 1000만 계정 달성하는데 5년이나 걸린거에 비하면 엄청 빠르게 달성하였다.[11] 도박 광고가 금지되는 국가에서 해당 이름으로 출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