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02:43:21

Forsaken(Roblox)/Jason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캐릭터의 모티브가 된 공포 영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제이슨 부히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제이슨 부히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제이슨 부히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캐릭터의 모티브가 된 공포 영화 캐릭터: }}}[[제이슨 부히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제이슨 부히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제이슨 부히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이걸 원했어!!.png'''[[Forsaken(Roblox)|{{{#!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
{{{#!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등장인물
생존자 (스킨) · 살인마 (스킨) · NPC · 대사 및 상호작용
게임 관련 정보
감정 표현 · 아이템 · · 미션 · 업적
업데이트 로그
· 세계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이걸 원했어!!.png'''[[Forsaken(Roblox)|{{{#!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Forsaken(Roblox)/살인마|{{{#!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
{{{#!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5px;"<tablebordercolor=#ffffff> {{{#!wiki style="margin: -10px -5px;"<tablebordercolor=#000000> [[Forsaken(Roblox)/Jason|
파일:Scaryjjason.png
]]
[[Forsaken(Roblox)/c00lkidd|
파일:아빠ㅏ바ㅏ바ㅏㅂ바ㅏ바바바바바바바바바바바바바바ㅏㅏㅏㅏㅏㅏㅏㅏ.webp
]]
[[Forsaken(Roblox)/John Doe|
파일:johndoedoedoedoedoe.png
]]
[[Forsaken(Roblox)/1x1x1x1|
파일:1x1x1x1x1x1x1x1.png
]]

}}}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color: #000"<tablebordercolor=#ffffff>{{{#!wiki style="margin: -10px -5px;"<tablebordercolor=#000000> 파일:Scaryjjason.png
<colbgcolor=#000000><nopad>
인게임 내 모습(펼치기ㆍ접기)
파일:제익슨.png
Jason
무료{{{#!wiki style="margin: 15px -5px"
<colcolor=#fff> 정보
난이도 <colbgcolor=#000000><colcolor=#fff> ★★☆☆☆
체력 1250
기본 속도 9
달리기 속도 28
최대 스태미나 110
초당 스태미나 손실 10
초당 스태미나 회복 20
테마곡 제이슨 추격 테마[1]
마일스톤 III,IV 제이슨 추격 테마[2]
Make them remember me, Jason(그들이 나를 기억하게 해주렴, 제이슨)[3]
}}}||}}}||


1. 개요2. 인게임 정보
2.1. 소개2.2. 능력2.3. 스킨2.4. 스토리
3. 평가
3.1. 팁3.2. 상대의 팁
4. 여담

1. 개요

Forsaken의 살인마 캐릭터인 Jason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인게임 정보

2.1. 소개

Jason
투박한 하키 마스크로 얼굴을 감춘 자.
고양이와 쥐를 쫓는 것에 대한 갈증과 함께 여러 가지 도구를 휘두르는 제이슨의 손과 도구는 항상 피로 물들어있습니다.
그는 오두막에서 발견한 악명 높은 마체테와 전기톱을 휘두르며 저주합니다.

사전 설명

2.2. 능력

패시브
무소음 Mute
"그들이 기억하게끔 만드렴!"- 어머니
제이슨의 추격 테마가 들리는 범위는 다른 살인마들보다 좁다.

평타
휘두르기 Slash
"그들이 기억하게끔 만드렴!"- 어머니
파일:Jasonlmb.png 쿨타임 : 1.9초[4]
20의 피해량을 주며 당한 생존자에게 출혈 1 디버프를 부여한다. 출혈 디버프는 중첩이 가능하다.[5]
Q
참수 Behead
"숨을 곳은 없단다."- 어머니
파일:Jasonq.png 쿨타임 : 18.5초[6]
마체테를 수평으로 휘둘러 20의 피해량을 주며[7] 적중 성공 시 적중한 생존자에게 14초 동안 무력함 1 디버프를 부여하고 제이슨에게 느림 1 디버프를 2초 동안 부여한다.[8]
E
깊어지는 상처 Gashing Wound
"그를 위했던 것보단 너에게 더 쉬울 거란다."- 어머니
파일:Jasone.png 쿨타임 : 40초[9]
마체테를 자신의 앞으로 휘둘러 범위 내 생존자가 있을 시 마체테를 2번 휘두르고, 전기톱으로 생존자를 갈아버린 후 발로 차며 총 50의 피해량을 준다.[10]

R
격노한 발걸음 Raging Pace
"저들을 죽여버리거라!"- 어머니
파일:Jasonr.png 쿨타임 : 30초
분노 상태로 진입한다. 사용 시 14초 동안 달리기가 제한되고 스태미나가 70으로 고정되는 대신[11] 기본 속도가 19.5로 증가하며 스턴에 면역이 되고 가장 가까운 1명의 생존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능력을 사용하면 능력이 강화되어, 쿨타임이 줄어들고 피해량이 늘어난다.

2.3. 스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참고 문서 설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Jason/스킨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Jason/스킨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Jason/스킨 목록#|]][[Forsaken(Roblox)/Jason/스킨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스토리

ARG 스토리에 따르면 타일러와 불리는 생존자와 수차례 ‘게임‘을 반복한 것으로 보이며, 이윽고 그를 찢고 죽이는 것에 질렸다는 언급 후로 스토리에 연관된 부분은 딱히 없다. 로블록스의 해커이거나 로블록스의 괴담과 관련된 다른 살인마들과 달리, 이쪽은 그저 한 로블록스 게임에 등장하는 영화 캐릭터인지라 스토리에 연관된 부분이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3. 평가

단순하고 직관적이지만 매우 강력한 살인마. 극딜러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평타를 맞추기 쉬운 편이다. 평타의 히트박스가 매우 크다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실제 평타의 히트박스 자체는 1x1x1x1, 존 도와 동일하다. 단, 선딜레이는 저 둘보다 0.2초 더 빠르기 때문에 맞추기 더 쉬운 것이다. 또한 Q스킬은 뛰어난 킬 캐치력과 더불어 생존자들의 특수능력을 14초 동안이나 봉인할 수 있으며, E스킬을 제외한 모든 스킬이 이동기와 스태미나 관리를 보완해주는 스킬이라 이런 이점으로 제이슨은 원거리 스킬의 공백을 숙련도에 따라 보완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살인마 중 유일하게 슬로우나 속박 등 생존자에게 접근을 도와주는 기술 및 원거리 기술이 없다. 즉, 순수 피지컬로 생존자들을 추격해야 하기에 스태미나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특히 원거리 기술의 부재는 소위 인성 구간이라고 불리우는, 장애물 혹은 고저차를 이용해 심리전을 요구하는 구간에서 크게 체감된다. 생존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도 R스킬 하나뿐이라 다소 아쉬운 편.

결론적으로, 강력한 살인마지만 성능을 뽑아내기 위해선 게임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운영능력이 필요하다. 아이러니하게도 초보가 가장 처음으로 접할 수 있는 살인마임에도 게임에 대한 기초 이상의 이해도를 요구한다.

3.1.

  • 언제나 침착하며, 자신의 스태미나만큼 생존자의 스태미나를 신경쓰자. 단순히 자신이 스태미나를 전부 소모하기 전 생존자를 죽인다는 것에 혈안이 되지 말고, 상대의 스태미나 소모를 유도하고 상대가 기진맥진할 때 공격하면 상대를 효율적으로 제압할 수 있다.
  • 맵을 잘 파악하자. 스태미나 관리가 중요한 제이슨인 만큼, 맵의 구조를 파악해 상대의 동선을 예측함으로 스태미나를 절약하고 이것이 제이슨의 무소음 패시브와 겹쳐 단순 뒷꽁무니만 쫓는 것이 아니라 생존자에게 불의의 습격을 안겨줄 수도 있다.
  • 제이슨의 패시브인 무소음은 기습을 더욱 편하게 해준다. 대표적으로 게임 시작 직후 발전기를 돌리는 생존자들이 보인다면 냅다 달려가서 E스킬로 생존자 한명의 피를 50 날려버린 채 시작할 수 있다.
  • Q스킬
    • Q스킬에는 무력함이라는 디버프가 있는데, 이것은 무력함에 걸린 대상의 모든 스킬을 봉인한다. 즉, 적중만 시키면 14초동안 센티널마저 그저 걸어다니는 샌드백으로 만들 수 있다. 맞추기 쉬운 만큼 성능도 압도적이기에, 필중시킨다는 마음가짐으로 사용해야 한다. 애초에 명중시키면 경험치도 덤으로 준다.
    • Q스킬은 뛰면서 사용할 경우 느림 디버프가 걸리기 전까지는 속도가 평소 뛰는 속도보다 더 빨라진다. 따라서 체력이 20 이하인 생존자를 처형하기 안성맞춤이다.[12] 물론 빨라지는 시간은 짧고 생존자가 무빙으로 피하기 쉬워 각을 잘 재야한다.
  • E스킬
    • 빌더맨의 센트리, 디스펜서 근처에서는 가급적이면 E스킬을 사용하지 말자. 잘못했다가 E스킬이 건축물에 맞아 스킬도 날리고 시간도 날릴 수 있다. [13]
    • 추적 도중 E스킬을 적중시키고 싶다면 상대를 앞질러서 사용하라. E스킬은 선딜이 존재하지만, 커버하는 범위가 꽤 넓어 생존자를 앞질러서 사용하면 추적 도중에도 맞출 수 있다. 단, 상대가 이를 간파해 방향을 꺾어 돌아가버린다면 오히려 골치아파진다.
    • 센티널의 스턴기 이후에는 꽤 긴 감속 디버프가 남는다. 즉, 센티널의 스턴을 어떻게든 파훼해낸다면 바로 진입해서 E스킬로 극딜을 넣을 수 있다. 단, 찬스는 제외. 찬스 특성상 거리가 존재하기에, 근거리에서 빗나간 게 아닌 이상 일반적인 추적으로 넘어가야 한다.
  • R스킬
    • R스킬로 강화된 평타는 돌진 능력이 추가되기에 장애물을 끼고 하는 추격전 도중 생존자와의 거리를 좁히거나 그대로 딜을 넣기에 좋다.
    • R스킬은 달리기가 제한되나 기본 속도를 상승시켜주기에 스태미나가 모두 닳았을때 쓰면 스태미나를 채우면서 생존자와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반면에, 스태미나가 높을 때는 스킬 강화의 용도가 아니면 아끼자. 스태미나가 70 이상일 경우 그 지속시간에 걸쳐 70까지 천천히 내려간다.
    • R스킬로 센티널 캐릭터를 카운터칠 수 있다.# 패링이라 불리는 잡기술로, 센티널이 스턴기를 사용하기 직전 R스킬을 사용해 스턴 면역이 된 뒤, 스턴기를 그대로 씹어버리고 센티널에게 강화된 E스킬로 폭딜을 먹이는 식. 물론 타이밍을 잘못 잡을 경우 R스킬 효과가 남은 상태로 스턴당해버리니 주의.[14]

3.2. 상대의 팁

  • 게임을 막 시작한 초보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살인마지만, 숙련자가 쥐는 순간 위험성이 배가 된다. 초보인 게 대놓고 드러나는 것이 아닌 이상 항상 후자를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행동하자.
  • 제이슨은 원거리 스킬이 전무한 대신 빠른 이동속도와 강력한 근거리 스킬을 다수 가졌기 때문에, 제이슨을 따돌리냐는 항상 순수한 추격전에 따라 결정된다.
    • 항상 제이슨과 일정한 거리를 두며, 스태미나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며 도망쳐야 한다. 정말 단순하지만 제이슨과의 추격전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 무빙으로 훼이크를 치면서 제이슨에게 혼선을 주는 것도 좋지만, 정말 필요할 때만 하자. 너무 과하게 훼이크를 시도할 경우 괜히 스태미나만 낭비하기 쉽다. 가급적 코너가 있거나, 제이슨의 스태미나가 적은 상황에 쓸 것.
  • 게스트 1337이고 제이슨이 E스킬을 시전 중이라면, 가까이 가서 방어를 쓰자. 공짜 펀치를 얻을 수 있다.

4. 여담

  • 도전과제 중에 13일의 금요일에 제이슨으로 플레이하기[15]가 있다.[16] 2025년의 13일의 금요일은 6월에 있으니 참고.
  • 유독 기절모션이 다른 살인마들에 비해 역동적이다. 다른 살인마들이 살짝 주춤하는 정도인데 제이슨 혼자 머리를 붙잡고 비명을 지르는 것이 꽤나 안쓰러워 보일 정도. 물론 쫓기는 입장이라면 통쾌할 뿐이다.
  • 원작 13일의 금요일에서의 제이슨은 전기톱을 사용한 적이 없다. 그나마 Combat Initiation제이슨에게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 기본 캐릭터답게 뉴비들이 픽하는 경우가 많지만, 장인층이 많기도 해서 절대로 만만히 보면 안될 살인마다.
  • 도전과제 중 원작 영화에서 따온 부분들이 많다.
  • 서술한 좋은 히트박스 때문에 유저들에게 히트박스 뚱땡이로 대차게 까인다. 오죽하면 포세이큰 히트박스 영상을 보면 절반 이상이 제이슨 히트박스에 당하는 영상이다.

[1] 추격 테마[2] 추격 테마(마일스톤 III,IV)[3] 추격 테마(구 버전)[4] 격노한 발걸음 도중 사용 시 0.8초[5] 격노한 발걸음 도중 사용시 25 피해량, 돌진 기능이 추가된다.[6] 격노한 발걸음 사용 시 12초[7] 이 피해로 생존자가 사망 시 그 생존자가 참수되며 모션 없이 처치된다.[8] 격노한 발걸음 사용시 35 피해량, 돌진 기능이 추가된다.[9] 격노한 발걸음 사용 시 32초[10] 격노한 발걸음 사용 시 70 피해량.[11] 스태미나가 적을 때 사용하면 스태미나가 90~100 언저리까지 찬 이후 서서히 70까지 줄어든다.[12] 이 경우 킬 애니메이션이 재생되지 않아 시간도 절약할 수 있으며 '참수로 처형' 보상으로 돈과 경험치를 따로 준다.[13] 빌더맨이 건축 중일 때도 건축물에 체력이 있기 때문에 E스킬이 맞을 수 있으므로 조심할 것.[14] 따라서 선입력이 매우 중요한 스킬인데, 문제는 핑이 일정 이상 오르면 더 빠르게 반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잡기술은 핑이 높다면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시피 하다.[15] 어머니의 부름[16] 이 특정한 날짜에 플레이하면, 제이슨은 스킬들이 강화되지만 동시에 쿨타임이 길어지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