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15:14:08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2012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5900><tablebgcolor=#ff5900> 파일:Fnatic-Logo-White-Transparent-RGB.pngFnatic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Fnatic의 역대 시즌
2011 시즌 2012 시즌 2013 시즌

1. 개요

Fnatic의 2012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Azubu LOL the Champions Spring 2012

파일:380px-Fnatic_orig_no_text.png
Fnatic
파일:FNC_LCK.jpg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폴란드 국기.svg [[마치에이 라투슈니아크|마치에이 라투슈니아크
Shushei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핀란드 국기.svg 라우리 하포넨
Cyanide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스페인 국기.svg [[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
xPek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독일 국기.svg 마뉴엘 밀덴버거
Lamia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독일 국기.svg 피터 레이스미렐
Mellisan
시즌 1 우승 이후 한국에서 열린 Champions 2012 Spring에 해외 시드를 배정받아 참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8강에서 Team OP에게 2:0으로 패하며 탈락하였다.

이후 쭉 하락세를 보이다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2 월드 챔피언십 이후 열린 드림핵 윈터 2012에서 CLG.EU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IPL 5에서도 시즌 2 롤드컵 우승팀인 TPA를 두 번이나 2:0으로 꺾으며 준우승을 차지해 다시 떠올랐다. 특히 패자 조 결승전의 두 세트는 완전히 TPA를 멘붕시켰다. 1경기는 서포터 레오나가 상대 정글보다 골드를 더 잘 벌며 란두인을 띄우지를 않나, 2경기는 퍼펙트 게임(단 하나의 포탑도 잃지 않은 게임)까지 나왔다. 초가스가 곡궁 들고, 서포터 자이라가 누구보다 빠르게 존야를 띄우고 마지막엔 베베와 스탠리가 멘붕해서 나가기까지 했다.

기복이 심한 편이지만 참신한 전략과 소아즈와 엑스페케의 개인 기량을 앞세워서 유럽에서 강팀으로 꾸준히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