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2 농구대잔치 우승팀: 상무 MVP: 현주엽 | → | 2002-03 농구대잔치 우승팀: 연세대학교 MVP: 김동우 | → | 2003 농구대잔치 우승팀: 연세대학교 MVP: |
1. 개요
2003년 1월 4일 개막된 당시 최고 권위의 아마추어 농구대회.명색이 2002-03 농구대잔치임에도 불구, 장충체육관 대관 문제로 2003년 1월에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
공식명칭은 "세원텔레콤배 2002-03 농구대잔치"이다.
우승팀 | 준우승팀 | MVP |
연세대 | 상무 | 김동우(연세대) |
- 4학년이 된 어린왕자 김동우와 대학생 국가대표
방성윤, 대학 최고의 1번 이정석에 슈퍼루키 김태술까지 가세한 호화군단 연세대가 이규섭, 강혁 등이 주축인 상무를 꺾고 사상 네번째 우승 트로피를 가져갔다. 이로써 연세대는 2002 시즌에 열린 모든 대회에서 우승하며 사상 최초의 전관왕에 오른다. - 하지만 2002년 한해 동안 월드컵 4강 신화와 아시안게임 농구 금메달 등 빅 이벤트들에 묻히며 대학농구 전관왕 따위는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다.
본격적인 대농 인기 몰락의 시작. - 지난 대회 결승전에서 중앙대학교의 4연패에 제동을 걸어버리면서 농구대잔치 사상 첫 우승을 차지한 상무는 기존 멤버인 신기성, 현주엽, 강혁, 정훈종이 건재하고 이규섭, 은희석, 윤훈원, 임재현, 조상현 등을 보강하면서 2년 연속 농구대잔치 우승을 노리고 있었으나, 연세대학교에게 패하면서 2연패가 무산되었다.
2. 참가팀
- 대학농구연맹 소속 10개팀과 상무까지 총 11개팀이 참가하였다.
참가팀 | 주요 선수 | ||
가드 | 포워드 | 센터 | |
건국대학교 | 이오석(4년,175) 안철호(4년,181) 백승필(2년,180) 정영삼(※,188) | 이현수(3년,194) 남호진(3년,192) 노경석(1년,187) | 김민철(4년,196) 백천웅(1년,203) |
경희대학교 | 한상민(3년,180) 정재호(2년,180) 이현민(1년,174) 천일환(3년,182) | 이동준(4년,186) 박종천(4년,193) 박진열(3년,189) 어수훈(3년,195) | 김도수(3년,195) 정세영(2년,197) |
고려대학교 | 임용석(4년,185) 김두현(4년,187) 김지훈(2년,181) 전원석(1년,189) | 오용준(4년,193) 김일두(2년,196) 김동욱(2년,195) 이현호(4년,191) | 백인선(3년,196) 주태수(1년,200) |
단국대학교 | 박상기(2년,185) 김정윤(1년,187) 금병성(1년,185) 박구영(※,185) | 서도용(3년,193) 석승호(4년,194) 우진욱(1년,193) | 김영재(2년,198) |
동국대학교 | 김현중(3년,181) 문종호(4년,183) 추철민(2년,179) 박범재(1년,185) | 심재혁(4년,184) 권정학(3년,194) 전규철(2년,189) 김봉후(4년,191) | 이승현(2년,195) |
명지대학교 | 이우정(4년,180)[1] 서병원(3년,186) 이원수[2](1년,180) | 윤지광(2년,188) 홍용철(3년,193) 김원(2년,192) 고승진(3년,197) | 강윤식(3년,198) 김봉수(※,197) |
상무 | 신기성(180) 강혁(187) 임재현(182) 은희석(189) 배길태(182) 오광택(185) | 조상현(189) 이규섭(198) 이병석(190) 조신영(190) 길도익(193) | 정훈종(205) 윤훈원(198) |
성균관대학교 | 옥범준(3년,176) 임효성(3년,180) 유효재(1년,193) | 김경범(3년,181) 임재원(1년,197) 홍의선(2년,192) 천대현(※,193) | 이정호(3년,201) 박상우(1년,200) |
연세대학교 | 이정석(2년,182) 전병석(4년,184) 김태술(※,180) 이상준(2년,192) 임정훈(3년,180) 이광재(※,188) | 방성윤(2년,195) 김동우(4년,195) 전정규(1년,187) 이정협(3년,193) | 박광재(4년,196) 김종완(2년,197) |
중앙대학교 | 윤병학(2년,180) 김상영(3년,190) 정병국(※,180) 임형석(3년,188) | 석명준(4년,190) 송유섭(4년,192) 박성욱(4년,191) 권철현(1년,197) | 함지훈(※,198) 김광원(2년,205) |
한양대학교 | 양동근(3년,181) 양동인(4년,183) 김학섭(1년,182) | 서동용(2년,186) 김성현(3년,190) 조성민(1년,189) 안종호(4년,192) | 강은식(2년,198) 박상현(※,204) |
3. 운영방식
- 조별리그: 2조로 나뉘어 조별 풀리그를 통해 각 조 3위까지 6강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부여했다.
- 6강 플레이오프: 각 조 1위는 준결승 직행, 각조 2,3위는 크로스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6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모두 단판.)
4. 대회결과
4.1. 조별 리그
순위 | A조 | B조 | ||
1위 | 상무 | 4 - 0 | 경희대※ | 3 - 1 |
2위 | 연세대 | 3 - 1 | 성균관대※ | 3 - 1 |
3위 | 한양대 | 2 - 2 | 중앙대 | 2 - 2 |
4위 | 고려대 | 1 - 3 | 단국대※ | 1 - 3 |
5위 | 동국대 | ? | 건국대※ | 1 - 3 |
6위 | 명지대 | ? |
4.2. 6강 플레이오프
6강전 | 4강전 | 결승전 |
- | 상무 (A조 1위) 86 : 70 한양대학교 | 상무 78 : 85영상 연세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B조 2위) 87 : 99 한양대학교 (A조 3위) | ||
- | 경희대학교 (B조 1위) 89 : 96 연세대학교 | |
연세대학교 (A조 2위) 106 : 85 중앙대학교 (B조 3위) |
4.3. 대회 결산
- 최종 순위
- 우승: 연세대 / 준우승: 상무 / 3위: 경희대, 한양대
- 개인부문 시상
[1] 김승현, 송영진, 전형수 등과 같은 97학번으로 명지대에 입학했다가 재학중 돌연 상무에 입대, 김병철, 박재일 등과 같이 복무했고, 제대 후 명지대에 재합류하였다. 보기 드물게 아시아청소년 선수권 대회를 2회 연속 출전했고(1995, 1996) 1995년 아시아청소년 대회 우승멤버이기도 하나, 2003 드래프트에선 낙방, 수련선수로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에 뽑혀 2시즌을 뛰었다.[2] 개명전[3] 부상으로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