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42:21

히폴리토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3E22, #B25530 20%, #B25530 80%, #803E22);"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정통

제피리노
정통

갈리스토 1세
정통

우르바노 1세
정통

폰시아노
vs.
vs.
대립

나탈리오
대립

히폴리토
정통

고르넬리오
정통

루치오 1세
정통

스테파노 1세
정통

식스토 2세
vs.
대립

노바시아노
정통

에우세비오
정통

리베리오
정통

다마소 1세
정통

보니파시오 1세
vs.
vs.
vs.
vs.
대립

헤라클리오
대립

펠릭스 2세
대립

우르시노
대립

에울랄리오
정통

심마코
정통

보니파시오 2세
정통

세르지오 1세
정통

스테파노 3세
vs.
vs.
vs.
vs.
대립

테오도로
대립

라우렌시오
대립

디오스코로
vs.
대립

콘스탄티노 2세
대립

파스칼
정통

스테파노 3세
정통

세르지오 2세
정통

베네딕토 3세
vs.
vs.
vs.
대립

콘스탄티노 2세
대립

요한 8세
대립

아나스타시오
vs.
대립

필립보
정통

레오 5세
정통

세르지오 3세
정통

베네딕토 6세
정통

베네딕토 7세
vs.
vs.
대립

크리스토포로
대립

보니파시오 7세
정통

요한 14세
정통

그레고리오 5세
정통

베네딕토 8세
정통

니콜라오 2세
vs.
vs.
vs.
vs.
대립

보니파시오 7세
대립

요한 16세
대립

그레고리오 6세
대립

베네딕토 10세
정통

알렉산데르 2세
정통

그레고리오 7세
정통

빅토르 3세
정통

우르바노 2세
vs.
vs.
대립

호노리오 2세
대립

클레멘스 3세
정통

파스칼 2세
vs.
vs.
vs.
vs.
대립

클레멘스 3세
대립

테오도리코
대립

아달베르토
대립

실베스테르 4세
정통

젤라시오 2세
정통

갈리스토 2세
정통

호노리오 2세
정통

인노첸시오 2세
vs.
vs.
vs.
대립

그레고리오 8세
대립

첼레스티노 2세
대립

아나클레토 2세
정통

인노첸시오 2세
정통

알렉산데르 3세
vs.
vs.
vs.
vs.
대립

선대 빅토르 4세
대립

후대 빅토르 4세
대립

파스칼 3세
대립

갈리스토 3세
정통

알렉산데르 3세
정통

요한 22세
정통

우르바노 6세
정통

보니파시오 9세
vs.
vs.
vs.

(서방교회 대분열)
대립

인노첸시오 3세
대립

니콜라오 5세
대립(아비뇽)

클레멘스 7세
정통

보니파시오 9세
정통

인노첸시오 7세
정통

그레고리오 12세
vs.

(서방교회 대분열)
대립(아비뇽)

베네딕토 13세
vs.

(서방교회 대분열)
대립(피사)

알렉산데르 5세
정통

그레고리오 12세
정통

마르티노 5세
vs.

(서방교회 대분열)
vs.
대립(아비뇽)

베네딕토 13세
대립(아비뇽)

클레멘스 8세
vs.

(서방교회 대분열)
vs.
대립(피사)

요한 23세
대립(아비뇽)

선대 베네딕토 14세
정통

마르티노 5세
정통

에우제니오 4세
정통

니콜라오 5세
vs.
vs.
대립(아비뇽)

클레멘스 8세
vs.
대립(아비뇽)

후대 베네딕토 14세
대립

펠릭스 5세
}}}}}}}}}}}}
파일:히폴리토.jpg
교황 히폴리토(Hippolytus)
세속명 없음
출생 미상
소아시아 출신 추정
사망 미상
재위기간 217년 ~ 235년

1. 개요2. 행적3. 저서

[clearfix]

1. 개요

서기 3세기 로마에서 활동한 그리스도교 신학자. 교황 갈리스토 1세, 우르바노 1세, 폰시아노에 대항한 대립교황이라고 전해지지만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 방대한 신학 서적을 집필하고 순교했기 때문에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2. 행적

히폴리토의 출생지, 출신 성분, 로마에서 장로로 활동하기 전까지의 행적은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 학자들은 히폴리토가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소아시아 또는 시리아 등 지중해 동부 일대에서 유래했을 거라 추정한다. 후대의 여러 학자들은 히폴리토의 저서를 광범위하게 인용하면서도 그에 대해 상충되는 진술을 남겼다. 에우세비우스는 히폴리토가 '어딘가에 있는 교회의 주교'였다고 밝혔고, 히에로니무스 역시 히폴리토가 알려지지 않은 교구의 주교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리스도교 교부사에서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유명한 오리게네스가 그의 강론을 들었다고 덧붙였다. 포티오스는 그가 로마와 리옹에서 활동한 성 이레나이오스의 제자였다고 설명했다.

에우세비우스의 <교회사>에 따르면, 히폴리토는 테오도티온이 다니엘서를 그릇되게 번역해 이단의 길에 들어섰다며 비판했고, 요한복음요한 묵시록의 저자는 사도 요한이 아니며 예수에게 신성이 없었다고 주장한 알로기(Alogi)파를 이단으로 정죄했으며, 이외에도 노에투스(Noetus), 에피고누스(Epigonus), 클레오메네스(Clomenes), 사벨리우스(Sabellius) 등이 펼치는 교리를 이단이라고 규탄했다. 이중 히폴리토가 가장 강하게 규탄한 인물은 사벨리우스였다. 사벨리우스는 하느님의 단일성을 강조하며, 성부와 성자라는 두 개념은 같은 신을 다르게 부르는 것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른바 양태론 또는 사벨리아주의로 일컬어지는 이 주장에 대해, 히폴리토는 성자(로고스)와 성부 사이의 실제적 차이를 강조한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교리를 전폭적으로 지지하면서, 사벨리우스가 예수를 진정한 구세주로 여기지 않는 유대인들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교황 제피리노가 사벨리우스를 이단으로 정죄하기를 주저하자, 히폴리토는 그를 무능하고 교마 교회를 다스릴 자격도 없는 사람, 그리고 갈리스토 부제의 손아귀에 있는 도구라고 비난했다. 이후 제피리노가 사망하고 부제 갈리스토가 교황으로 등극하자, 히폴리토는 로마 교회를 즉시 떠난 뒤 추종자들과 함께 교파를 형성했다. 그는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을 '갈리스토 학교의 학생들'이라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갈리스토가 처음에는 테오도토스, 그 다음에는 사벨리우스의 이단성 교리에 빠졌으며, 탐욕으로 인해 타락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갈리스토 역시 사벨리우스를 이단으로 규탄했기 때문에, 히폴리토의 주장을 무조건 받아들이기 어렵다. 한편, 히폴리토 본인은 엄격주의를 옹호했고, 이에 부응하지 못한 교인들에게 견디기 힘든 징계를 내리곤 했다고 전해진다.

갈리스토 1세 사후 우르바노 1세폰시아노가 잇따라 교황에 등극했지만, 히폴리토는 여전히 로마 교황을 인정하지 않았다. 19세기 독일의 가톨릭 신학자이자 교회 역사가인 요한 요제프 이그나츠 되링거(Johann Joseph Ignaz Döllinger, 1799 ~ 1890)는 히폴리토가 아예 추종자들로부터 대립교황에 선출되어 로마 교황에 대적했다고 추정했다. 이 주장은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일각에서는 히폴리토가 교황을 자처했다는 기록은 고대 사료에서 등장하지 않는다며 부정한다.

235년 막시미누스 트락스 황제가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박해했을 때 폰시아노 교황과 함께 사르데냐로 유배되어 광산 노역에 처해졌다. 이때 두 사람은 완전히 화해했다고 전해진다. 다마소 1세가 세운 히폴리토의 비문에 따르면, 그는 장로 시절 교회를 분열시킨 노바시아노의 추종자였지만 죽기 전에 추종자들에게 정통 교회와 화해할 것을 권고했다고 한다. 교회 전승에 따르면, 폰시아노와 히폴리토는 사르데냐 섬에서 함께 순교했으며, 두 사람의 장례식은 236년 8월 13일에 거행되었다고 한다. 가톨릭에서는 매년 8월 13일에 폰시아노와 히폴리토를 순교 성인으로서 기리고 있다. 그러나 그가 폰시아노와 함께 사르데냐로 유배된 게 사실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3. 저서

생전에 그리스어로 방대한 신학 서적을 썼다고 전해지나, 대부분은 소실되거나 후대의 여러 작가가 인용한 부분만 전해졌고, 일부 저서가 슬라브어로 번역된 판본으로 전해졌다. 유명한 저서로는 3세기 초의 로마교회 전례 문헌집인 《사도전승》이 있다.[1] 여기에 다니엘에 대한 주석아가에 대한 주석이 조지아어 번역본으로서 전해진다. 후대 신학자들에게 가장 많이 인용된 저서는 <kata pason aireseon elegchos (모든 이단에 대한 반박)>으로, 이후 신학자들은 이단에 대한 논박을 전개할 때 그의 논리를 상당 부분 인용했다.


[1] 로마 교회가 아니라 알렉산드리아 교회 전례 문헌집으로 보는 대안가설도 있다. 저자 히폴리토부터가 알렉산드리아에서 교육을 받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물론 로마 교회 것으로 보든 알렉산드리아 교회 것으로 보든, 가장 오래된 전례 문헌집임은 사실이다. 또한 《사도전승》에 실린 감사기도 양식을 다듬어서 오늘날의 로마미사 감사기도 제2양식으로 사용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