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5-09 13:38:04

흥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라의 군인에 대한 내용은 김흥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기도기념물48호흥선대원군묘.jpg

1. 개요2. 상세3. 여담4. 외부 링크5. 경기도 기념물 제48호

1. 개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에 있는 조선 26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1대 황제인 고종의 부친 흥선대원군이 안장된 묘소. 흥선대원군묘라고도 하지만 '원'과 '묘'의 격 차이를 고려하면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1978년 10월 10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48호로 지정됐다.

2018년 10월 20일에 경기도와 문화재청은 흥선대원군묘를 본래명칭인 "흥원"으로 회복시키기로 하고 부기명으로는 흥선대원군의 책봉명인 흥선대원왕을 붙여서 "흥선대원왕 흥원"으로 표기를 회복시켰다

2. 상세

말년에 정치일선에서 물러나게 된 흥선대원군이 한성 운현궁을 떠나 도성 밖에 있는 경기도 고양군 공덕리(現 서울 마포구 공덕동)[1]에 사저를 짓고 기거하였다가 1898년 흥선대원군이 병으로 죽게 되면서 공덕리 근처 야산에 안장되면서 있었던 곳이었다가 1906년 고종의 황명(皇命)에 따라 경기도 파주군 대덕리로 이장되었고 1966년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現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현재의 묘자리로 이장되었다.

공식적인 국왕 지위는 아니었지만 대한제국 수립 후 '흥선헌의대원왕'으로 추존되었기 때문에 왕릉급의 수준으로 조성되었으며 양석과 마석이 세워졌지만 특이하게도 묘비 등은 보이지 않는다.

같은 남양주에 아들인 고종과 며느리 명성황후의 왕릉인 홍릉과 손자인 순종의 왕릉인 유릉이 있는데 이 곳에서 멀리 떨어진 금곡동에 있다. 을미사변 이후 부자관계가 소원해진 영향 때문이었는지 부자의 묘소거리도 상당히 떨어져있고 고종도 부친상에 참석하지 않았던 점과 부자지간임에도 불구하고 홍유릉에 포함되지 못하였던 차이도 있다.

2018년 운현궁 사손 이청씨와 후손들이 묘소 및 그 주변 토지를 경기도측에 기증하였다. 대원군묘로 가는 길목에 철문이 길을 막고 있는데 옆으로 통행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 철문은 대원군묘가 있는 야산이 사유지였던 흔적이다.

최근 경기도 주도의 역사공원화 정비사업이 진행중이다

3. 여담

대한제국 황족 일가 사이에 6.25 당시 대원군의 묘소에 관한 전설이 내려온다 한다.
6.25 당시 인민군이 공격을 해 왔을 때의 일이다. 인민군들은 무차별하게 양민을 학살하는 등 갖가지 만행을 일삼았다. 따라서 그들의 존재가 사람들에게는 두려움 그 자체였다. 그렇게 무서울 것 없는 것 같은 인민군들이었지만 대원군의 묘소가 있는 사당(祠堂) 근처에만 가면 그런 기세가 싹 가시고 오히려 두려워하는 기색이 역력하였다. 웬일인가 하여 사람들이 그 곳을 가보니 알 수 없는 섬뜩함을 느껴졌다. 그리고 그것은 몇 몇 사람의 특별한 느낌이 아니라, 거기를 지나는 모든 사람이 똑같이 이상한 기운을 느낀 것이다. 그래서 밤에는 물론, 낮에도 혼자서는 도저히 그 곳을 지날 수가 없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인민군은 거기에 대원군의 혼령이 나타나 있는 것이라고 여기며 무서워 도망갔고, 사당에서 느껴지는 섬뜩한 기운도 이내 가셨다고 한다. #

4. 외부 링크

5. 경기도 기념물 제48호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1898)의 묘이다.

그는 철종이 후계자 없이 죽은 후 당시 실권을 쥐고 있던 조대비와 힘을 합하여 자신의 둘째 아들인 명복(뒤의 고종)을 왕위에 올리고 대원군이 되어 직접 정치에 관여하기 시작하였다.

흥선대원군은 안으로 세도정치 근절, 서원철폐, 세제개혁, 법전정비 등을 통해 왕권을 강화했으며, 밖으로는 외세에 대적할 실력을 키워 조선을 중흥할 과감한 혁신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서양세력의 접근에 대해서는 강력한 쇄국정책을 통해 통상요청을 거부하고 병인양요, 신미양요 때는 그들의 침략을 무력으로 저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리하게 경복궁을 중건하여 백성들의 생활고가 가중되고 쇄국정책을 고집하여 근대 문명의 수용이 늦어졌으며, 집권 후반기에는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한 반대파와 대립하게 되어 정치에서 실권을 잃게 되었다.

흥선대원군의 묘는 고양군 공덕리에 모셨다가 1906년 파주군 대덕리로 옮겼으며 1966년 4월에 현재의 위치로 다시 옮겼다. 묘 주위에는 돌담이 둘러져 있고, 묘역은 2단으로 나누어 만들었다. 상단에는 둘레석을 두른 봉분과 제물을 올려 제사를 지내기 위한 상석이 있고, 하단에는 멀리서도 무덤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망주석(望柱石)과 문인석 등의 석물이 갖추어져 있다.


[1] 그 당시 이 지역은 경기도 고양군 일대에 속했다가 1936년 경성부로 편입되어서 1947년 서울특별시 지역으로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