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01:41:46

후쿠하라 미네오

후쿠하라 미네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1.svg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2.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2007 2008

SK 와이번스 등번호 87번
송태일
(2006)
후쿠하라
(2007~2009)
결번
결번 후쿠하라
(2011)
이양우
(2012)
한화 이글스 등번호 88번
데폴라
(2011)
후쿠하라
(2012)
정민철
(2013~2014)
SK 와이번스 등번호 84번
허일상
(2015)
후쿠하라
(2016)
예이츠
(2017~2018)
}}} ||
파일:external/www.sksports.net/20160215144803_1.jpg
후쿠하라 미네오
[ruby(福原, ruby=ふくはら)] [ruby(峰夫, ruby=みねお)] | Mineo Fukuhara
출생 1957년 9월 20일 ([age(1957-09-20)]세)
도쿄도 스미다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슈토쿠고교 - 호세이대학
포지션 2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1년 드래프트 번외 입단 (한큐)
소속팀 닛폰 통운 우라와 (1981)
한큐-오릭스 브레이브스-블루웨이브 (1982~1992)
지도자 오릭스 블루웨이브 2군 수비코치 (1993~1994)
오릭스 블루웨이브 1군 수비코치 (1995~1999)
주니치 드래곤즈 2군 수비코치 (2000~2001)
주니치 드래곤즈 1군 수비코치 (2002)
한신 타이거스 1군 수비코치 (2004~2006)
SK 와이번스 1군 수비코치 (2007~2009)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 수비코치 (2010)
SK 와이번스 1군 수비코치 (2011)
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2012)
SK 와이번스 1군 수비코치 (2016)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군 야수종합코치 (2017~2018)
1. 개요2. 지도자 경력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한큐 브레이브스·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 소속의 2루수.

2. 지도자 경력

은퇴 후 1993년부터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수비코치로 선임되어 1999년까지 코치로 일했다. 이후 주니치 드래곤즈, 한신 타이거스에서도 수비코치를 맡았다.

한국 팬들에게도 꽤나 익숙한 이름인데, 2007년부터 2009년까지 SK 와이번스 1군 수비코치로 일했기 때문. SK 수비코치 시절 선수들에게 지옥의 펑고를 날리며 수비력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했고, SK 내야진은 어떤 팀보다 훨씬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당시 수비코치가 후쿠하라다. 대표적인 예시로 데뷔 초 명확한 수비 포지션을 잡지 못하고 내야 이곳저곳을 떠돌던 최정을 국가대표급 3루수로, 송구가 좋지 않았던 정근우를 국가대표급 2루수로 키웠다. 내야 수비뿐만 아니라 외야 수비를 가르치는 데도 일가견이 있었는데, 송구거리가 짧았던 박재상, 강한 어깨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졌던 김강민 등 내야, 외야 가리지 않고 수비실력을 향상시켰다.

2010년에는 SK를 떠나 잠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코치로 있다가 1년만에 다시 SK 와이번스로 복귀했다. 그러나 2011년 8월 김성근 감독이 경질당했고, 시즌 후 가토 하지메, 계형철, 이철성 등 김성근계 코칭스태프들이 대거 팀을 떠날 때 후쿠하라도 팀을 떠났다.

2012년에는 한화 이글스에서 1년간 수비코치로 있었다. 한대화 감독이 직접 영입해달라고 부탁했다고. 그러나 여기서도 한대화 감독이 시즌 막판 물러나게 되면서 입지가 애매해졌고, 1년만에 팀을 떠났다.

이후 별 근황이 전해지지 않다가 2016년 다시 SK 와이번스의 수비코치로 합류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2군 야수종합코치를 맡았다.

3. 여담

  • 거듭된 훈련으로 손바닥이 다 까졌던 김성현에게 연고를 손수 발라준 따뜻한 면도 가지고 있다.
  • 2007년~2009년 SK의 전성기 때 수비코치를 역임했는데 도루 시 베이스 커버를 가지고 타팀에서 논란을 제기했다.관련기사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