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제도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졸업 요건을 안정적으로 충족하고 지역 산업 맞춤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협약형특성화고등학교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단순한 취업 연계뿐 아니라, 기초학력 보완과 실무 능력 함양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상세
지역 연합체 구성과 협력 강화지자체, 교육청, 지역 산업체, 특성화고가 협약을 맺고 연합체를 구성하여 지역 맞춤형 교육과 기초학력 보완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한다.
체계적인 기초학력 진단 및 보충학습
학생들의 기초학력 수준을 진단하고, 부족한 부분을 집중 보완할 수 있도록 맞춤형 보충학습과 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재정 지원과 컨설팅 강화
교육부는 10개 선정 협약형 특성화고에 5년간 최대 45억 원을 지원하며, 전문 컨설팅단이 학교별 맞춤 자문과 성과 관리도 병행한다.
현장실습과 기초학력 연계 강화
산업체 요구에 맞춘 교육과정과 실습을 운영하되, 실습 능력을 높이기 위한 기본 교과 학력 보완도 병행하여 학생의 현장 적응력을 높인다.
지역 정주 지원과 진로 성장 경로 마련
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지역에 머무르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연계한 청년 정책, 주거 지원,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3. 핵심 구성 요소
산업체 맞춤형 교육과정지역 기업의 요구를 반영해 실무 중심 커리큘럼 설계. 학생들이 졸업 후 바로 현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함.
현장실습과 자격증 연계
실습 수업과 현장 실습 기회를 확대하고, 관련 자격증 취득 지원과 취업 연결을 강화.
지역 협력 체계 구축
교육청, 지자체, 산업체가 긴밀히 협력해 재정 지원, 진로 상담, 청년 정책 등 학생 지원을 통합적으로 추진.
체계적 성과 관리 및 컨설팅
교육부가 전문 자문단을 통해 학교별 교육 서오가를 관리하며 지속적인 개선과 우수 사례 확산을 지원한다.
4.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 ||||
용산철도고등학교 | 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 | |||
| ||||
부산관광고등학교 | ||||
| ||||
영남공업고등학교 | ||||
| ||||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 인천반도체고등학교 |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 ||
| ||||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 |||
| ||||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 ||||
| ||||
강원생명과학고등학교 | ||||
| ||||
청주공업고등학교 | ||||
| ||||
서산공업고등학교 |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 |||
| ||||
수소에너지고등학교 |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 |||
| ||||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 포항흥해공업고등학교 | |||
| ||||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 ||||
| ||||
한림공업고등학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