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7 00:17:05

한창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한창화(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비전임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48년~1991년
초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박정휘
2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영민
3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유형
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화집
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용식
6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배종호
7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용식
8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주영광
9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성간
10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화집
11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규환
12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민병대
13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정남식
1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용식
1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민병대
16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주영광
17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용식
18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규환
19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민병대
20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규환
21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박규정
22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민병대
23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박일갑
2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규환
2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정남식
26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한창화
27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안종수
28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장경환
29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박일갑
30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용식
31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강준영
32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한홍기
33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홍덕영
3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박병석
3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함흥철
36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민병대
37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문정식
38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최영근
39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함흥철
40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문정식
41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최정민
42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정남
43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함흥철
4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장경환
4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정남
46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최은택
47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조윤옥
48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박종환
49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문정식
50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정남
51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박종환
52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회택
53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차만
5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박종환
5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고재욱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전임제) }}}}}}}}}
대한민국의 前 축구 감독
이름 한창화
韓昌華 | Han Chang-wha
출생 1922년 1월 3일
함경북도 청진부
사망 2006년 4월 18일 (향년 84세)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본관 청주 한씨 (淸州 韓氏)
직업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
축구 감독
축구 행정가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육군 특무대 축구단 (?~1954)[1]
조선방직 축구단 (1955~?)
감독 대한민국 대표팀 (1966)
대한민국 U-20 (1969)
한국자동차보험 축구단 (1970)
행정 실업축구연맹 사무국장 (1980~1981)
국가대표 1경기 (대한민국 / 1954)
가족관계 아내, 아들 한정수, 딸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축구인.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대회에 출전했던 원로 축구인이었고 국가대표 감독도 역임했다.
以北 출신의 실향민/대한민국이다. 함경북도 청진시이시다.

배우 한정수의 아버지로 알려진 인물이다.

2. 선수 경력

일제강점기 시절 선수 생활을 시작해 주로 하프백, 지금 개념으로는 수비형 미드필더에 가까운 역할을 맡았다. 조선방직 축구단과 육군 특무대 축구단에서 뛰었으나 20대에는 국가대표급 선수가 아니었다.

그러다가 1954년, 일본과의 월드컵 아시아 지역예선에 나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만 32세 25일의 나이로 승선한다. 주전급 멤버는 아니었으나, 한창화의 국가대표 발탁은 훗날 송정현[2]이 대표팀에 첫 발탁되며 깨지기 전까지 역대 최고령 국가대표팀 첫 발탁으로 오랫동안 기록되었다. 2022년 기준으로 해도 이 부문 2위의 기록. 대한민국은 일본을 적지에서 1승 1무로 누르고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대회 본선진출을 이뤄냈다.

한창화는 본선 엔트리에도 포함되었다. 대표팀 후보 멤버였던 한창화는 주전들이 뛰었던 1차전 헝가리와의 경기에선 결장했으나, 2차전 튀르키예와의 경기에 출전해 A매치 데뷔전이자 월드컵 데뷔전을 치렀다. 결과는 좋지 못했으나, 한국축구의 역사적 현장에 있으면서 족적을 남기게 되었다.

1955년 국가대표 선발전에도 참여하면서 여전한 노익장을 과시했고, 멜버른 올림픽 출전을 위해 뛰었으나, 일본과의 지역예선에서는 결장했고, 팀도 1승 1패 동률 속에 동전던지기 끝에 아깝게 지며 올림픽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이후 선수생활에서 은퇴했다.

3. 은퇴 이후

1957년 국군축구대회에서 선심을 본 기록이 있고, 1966년 아시아 청소년 축구대회에 나서는 청소년대표팀의 기술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또한 같은 시기 대한축구협회 경기분과 위원을 지내며 행정 일도 소화한 것으로 보인다.

1966년 7월 메르데카컵에 출전하는 대표팀의 코치로써 합류했고, 민병대 감독을 보좌했다. 이후 1966년 방콕 아시안게임에선 대표팀 사령탑에 올라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1968년부터 실업축구연맹으로 적을 옮겨 총무직을 지내다가 1969년 아시아 청소년 대회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에 선임되었다. 그러나 8강에서 이란에게 지며 탈락해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이후 1970년까지 대한축구협회에서 다방면의 행정직을 두루 맡았고 1970년 창단한 실업 구단 한국자동차보험 축구단의 초대 코치를 지냈다. 이 당시 실업 구단의 감독은 축구인이 아닌 회사 내부 임원이 맡는게 일반적이었고 한국자동차보험 또한 그러했다. 따라서 사실상의 감독직을 맡은 셈이다.[3]

1980년대 실업축구연맹의 사무국장을 맡으면서 본격적으로 행정가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실업축구연맹 사무국장 자리를 그만 둔 뒤로는 언론에 노출되지 않아 기록을 찾기 어렵다.

이후 2006년 봄,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4. 여담

  • 1981년 4월 11일, 현금을 노린 무장강도들에게 집앞에서 오후 10시에 둔기로 피습당한 뒤 현금을 갈취당한 사건을 겪었다. 당시 뉴스 보도에도 크게 실렸으며, 당시 존재했던 통금 시간이 지나도 집에 들어오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아내가 집앞에 쓰러진 한창화씨를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했다고 한다. #
  • 상술되어있듯, 아들 한정수는 연기자로 활약하고 있다. 한창화씨가 무려 50세에 본 늦둥이 아들로,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중학교 때까진 축구선수의 길을 갔으나, 적성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해 그만두었다고 한다. 이후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 꾸준히 아버지를 언급하곤 한다. 특히 2022년 1월 중순 방영된 SBS의 교양 프로그램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대회에 출전한 대한민국 대표팀의 이야기가 나왔을 때, 아버지에 대한 회고를 하러 증언자로 출연하기도 했다.


[1] 1954 스위스 월드컵 출전 당시 소속[2]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태로 인해 제명[3] 비슷한 경우로 조흥은행 축구단의 코치를 맡은 함흥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