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리스트 == null
{{{#!html 애니메이션 색채 설계자}}}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하시모토 사토시(색채설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하시모토 사토시(색채설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하시모토 사토시(색채설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애니메이션 색채 설계자: }}}{{{#!if 같은문서1 == null
[[하시모토 사토시(색채설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하시모토 사토시(색채설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하시모토 사토시(색채설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colbgcolor=#3e4c67><colcolor=#fff> 하시모토 사토시 [ruby(橋本, ruby=はしもと)]さとし|Satoshi Hashimoto | |
| |
본명 | [ruby(橋本, ruby=はしもと)][ruby(哲, ruby=あきら)] (하시모토 아키라, Akira Hashimoto) |
출생 | 1966년 4월 26일 ([age(1966-04-26)]세) |
오사카부 히라카타시 | |
국적 |
|
신체 | 184cm, O형 |
배우자 | 우츠노미야 아이(2009년 결혼 ~ 현재) |
자녀 | 아들(2009년생) |
학력 | 오사카 예술대학(무대예술학과 / 졸업) |
직업 | 배우, 가수, 성우 |
소속사 | 호리프로 |
링크 |
1. 개요
일본의 배우, 성우 및 가수. 호리프로 소속이다.2. 연혁
1989년, 극단☆신칸센(劇団☆新感線)의 공연으로 데뷔. 이후 많은 작품에 출연하여 주로 긴머리의 열혈+나르시스트+바보(..) 조연 캐릭터를 전담했으며, 1995년 『야쥬로 등장!(野獣郎見参!)』에서 주인공 모노노케 야쥬로 역으로 처음으로 주역을 맡았다. 이후 1997년 『직격! 드래곤락 ~고우텐~(直撃!ドラゴンロック〜轟天〜)』의 공연을 끝으로 극단을 나왔으며 그 후에도 다방면에서 활동, 레 미제라블, 미스 사이공등의 뮤지컬과 연극무대를 중심으로 뮤지션으로서의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신칸센을 탈퇴한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신칸센 무대에 출연하고 있다.같은 신칸센 소속이었던 배우 하시모토 쥰과는 형제 역할을 맡는 등 콤비로 자주 활동했다. 아랑전설 시리즈에서 하시모토 사토시가 테리 보가드 역을, 하시모토 쥰이 앤디 보가드 역을 담당하기도 했으며[1], 아랑: 마크 오브 더 울브스에서는 하시모토 쥰이 하시모토 사토시가 연기한 김갑환의 아들인 김동환의 성우로 출연하기도 했다.
트랜스포머 카로봇에서 주역 파이어 콘보이를 맡았을때 애니메이션 녹음을 힘들어했다는 경험이 있는데, 그때마다 파이어 콘보이의 입버릇인 "뜨거운 마음에 불가능은 없어!" 에서 용기를 얻었다고 한다. 그 열의 덕에 앙코르 갓 파이어 콘보이의 음성기믹에 수록되는 17년만의 신규 음성 녹음에 참여했을 정도다.
서구적인 날카로운 선이 두드러지는 카리스마 넘치는 외모 덕분에 TV나 영화 쪽에서는 악역을 맡는 일이 많다. 2005년 『웃어도 좋아요!(笑っていいとも!)』에 등장했을 때도 "요즘은 드라마에 악역으로밖에 나오지 못했다"고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악역 이외의 역할도 많다. 특히 성우로서는 기본적으로 선역이 많다.[2]
2012년 사극 다이라노 기요모리에서 미나모토노 타메토모 역을 맡았다.
2018년 애니메이션 클래시컬로이드 제2 시리즈에서 베토벤의 무지크 중 하나인 '운명, 내려앉다. ~교향곡 제 5번~'를 불렸다.
영어 발음이 상당히 유창해서 대전 이벤트나 기술 대사에 영어가 많이 들어가는 테리 보가드의 목소리에 딱 어울린다.
2023년 8월말을 끝으로 26년 동안 재적한 큐브를 떠나 2024년부터 호리프로로 이적했다.
3. 출연작
- 아랑전설 2, 아랑전설 스페셜, 아랑전설 3, 리얼 바웃 아랑전설, 리얼 바웃 아랑전설 스페셜, 리얼 바웃 아랑전설 2, 아랑: 마크 오브 더 울브스, KOF 시리즈 - 테리 보가드(KOF는 XIII까지), 김갑환(아랑전설 3, 가로우 마크 오브 더 울브스는 불참[3], KOF는 XI까지.)
-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 - 아나운서
- 코코 - 에르네스토 델라크루즈
- 트랜스포머 카로봇 - 파이어 콘보이
- 트릭 - 카츠라기 히로아키
- 가면라이더 세이버 심죄의 트리오 - 시노자키 신지로
- 신해석·삼국지 - 관우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라이브 온 스테이지 - 가마 할아범
- 뮤지컬 물랑루즈! - 해롤드 지들러 (2023년 6월 일본 초연)
- 어떡할래 이에야스 - 야마가타 마사카게
- 극장판 TOKYO MER ~달리는 긴급 구명실~ - 코마바 스구루
- 블랙 페앙 시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