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9:17:43

필리아

1. ~philia2. 인명
2.1. 가상인물
3. 마비노기의 지역 필리아4. 일본 가수 카미키타 켄의 앨범

1. ~philia

필리아(φιλία)는 고대 그리스어로 우애(友愛)라는 의미다. 아가페, 에로스, 스토르게와 함께 고대 그리스에서 말하는 사랑의 네 가지 종류 중 하나.[1]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필리아는 상대방이 잘 되기를 바라는 순수한 마음으로, 그러한 바람이 쌍방적이면서도 그러한 상태를 쌍방이 인지하고 있는 품성 상태라고 말한다. 따라서 가장 좋은 유형의 필리아는 상대방 자체를 위한 그리고 상대방의 본래적 성품 때문에 상대방의 좋음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최선의 상태에서 상대방, 즉 친구는 ‘또 다른 나'가 될 수 있다. 쉽게 말하면 우리나라의 개념과 비슷하다.

이어령 교수는 본인의 책 <생명이 자본이다>에서 토포필리아(장소愛), 바이오필리아(생명愛), 네오필리아(창조愛) 등으로 사용했다.

부정적인 단어와 사용되기도 한다. 한자로는 성애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페도필리아, 네크로필리아, 페도파일, 네크로파일 하는 식. 한자로는 성애자라는 단어를 붙이면 된다. 그러니까 소아성애는 페도필리아, 소아성애자는 페도파일. 도착증 문서도 참조.

과학 [2]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3]

국제 관계에서 접두사 <친~>을 ~philic으로 쓸 수 있다. [4]


2015년 국립 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학생회 이름이기도 했다.

2. 인명

Fhillia

전형적인 여자 이름으로, 이 쪽은 위와 달리 철자가 F로 시작한다.

2.1. 가상인물

3. 마비노기의 지역 필리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필리아(마비노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일본 가수 카미키타 켄의 앨범

일본 가수 上北 健의 앨범 Philia

[1] 반대말은 공포를 뜻하는 포비아 (~phobia).[2] 특히 화학, 생물학[3] 예를 들어 친핵체와 친전자체가 영어로 Nucleophile, Electrophile이고, 친수성을 Hydrophilicity로 쓴다.[4] 예를 들어 친한을 Koreaphilic이라고 쓸 수 있다. 참고로 접두사 <반~>은 처음 말한 반의어인~phobic으로 번역한다. 예를 들어 반러는 Russophobic이라고 쓴다. 여기서 philic과 phobic은 단순한 친에서 숭배까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으므로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