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13:11:41

피베테아우사우루스

피베테아우사우루스
Piveteausaurus
파일:220px-Piveteausaurus_divesensis_skull_5.jpg
학명 Piveteausaurus divesensis
Taquet & Welles, 1977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계통군 메갈로사우루스류Megalosauria
메갈로사우루스과Megalosauridae
아과 †아프로베나토르아과Afrovenatorinae
피베테아우사우루스속Piveteausaurus
  • †피베테아우사우루스 디베센시스(P. divesensis)모식종
    Taquet & Welles, 1977
파일:피베테아우사우루스 복원도.png
복원도

1. 개요2. 특징3. 연구사4. 등장 매체5. 관련 문서

1. 개요

중생대 쥐라기 중기 프랑스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이다. 속명의 뜻은 '장 피베티의 도마뱀'이라는 뜻이다.

2. 특징

피베테아우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 옥스포드절에서 서식한, 몸길이 약 11m 크기의 대형 수각류 공룡이었으며 메갈로사우루스과 공룡 중에서 상당히 큰 메갈로사우루스과 공룡이다.

눈 위쪽에는 알로사우루스와 흡사하게 한 쌍의 뿔이 있었다.

3. 연구사

피베테아우사우루스의 첫 화석은 1923년고생물학자 제인 피베테아우(Jean Piveteau)에 의해 프랑스 마르네스 데 디베스(Marnes de Dives)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해당 표본(MNHN 1920-7)은 당시엔 에우스트렙토스폰딜루스의 새로운 종(E. divesensis)로 분류되었다.[1]
이후 54년 뒤인 1977년 Philippe Taquet와 Samuel Welles는 피베테아우사우루스를 에우스트렙토스폰딜루스의 한 종이 아닌 새로운 학명으로 명명하였다.
그레고리 S. 폴은 피베테아우사우루스를 프로케라토사우루스의 한 종으로 보자는 의견을 제시하였지만 학자들은 해당 가설을 기각하였다.[2]

4. 등장 매체

  • T-Rex에서 사용 가능한 공룡으로 등장한다.

5. 관련 문서


[1] Walker, Alick D. (1964). "Triassic reptiles from the Elgin area: Ornithosuchus and the origin of carnosaurs"[2] Holtz, Thomas R. Jr.; Molnar, Ralph E.; Currie, Philip J. (2004). Weishampel, David B.; Dodson, Peter; Osmólska, Halszka (eds.). The Dinosauria (2nd e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