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00:46:56

피닉스 머큐리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bordercolor=#F54820>
파일:WNBA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NBA 동부 컨퍼런스 로고 화이트.svg 동부
파일:애틀랜타 드림 로고.svg 파일:시카고 스카이 로고.svg 파일:코네티컷 선 로고.svg 파일:인디애나 피버 로고.svg 파일:838px-New_York_Liberty_logo.png 파일:워싱턴 미스틱스 로고.svg
파일:NBA 서부 컨퍼런스 로고 화이트.svg 서부
파일:로스앤젤레스 스팍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링스 로고.svg 파일:피닉스 머큐리 로고.svg 파일:라스베가스 에이시스 2024 로고.svg 파일:시애틀 스톰 로고.svg 파일:댈러스 윙스 심볼.svg 파일:골든스테이트 발키리스 심볼.svg
}}}}}}}}} ||
파일:피닉스 머큐리 로고.svg
피닉스 머큐리
Phoenix Mercury
창단 1997년([age(1997-01-01)]주년)
연고지 애리조나 주 피닉스
컨퍼런스 서부 컨퍼런스
연고지 변천 피닉스 (1997~)
구단명 변천 피닉스 머큐리 (1997~)
홈 경기장 풋프린트 센터
구단주 맷 이시비아(Mat Ishbia)
단장 닉 유렌 (Nick U'Ren)
감독 네이트 티베츠 (Nate Tibbetts)
약칭 PHO
홈페이지 파일:피닉스 머큐리 로고.svg
공식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파이널 우승
(3회)
2007, 2009, 2014
컨퍼런스 우승
(5회)
1998, 2007, 2009, 2014, 2021
WNBA 파이널 우승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7 WNBA 파이널 우승팀
2006
디트로이트 쇼크
<colbgcolor=#e56020><colcolor=#000000> 피닉스 머큐리 2008
디트로이트 쇼크
2009 WNBA 파이널 우승팀
2008
디트로이트 쇼크
피닉스 머큐리 2010
시애틀 스톰
2014 WNBA 파이널 우승팀
2013
미네소타 링스
피닉스 머큐리 2015
미네소타 링스
}}}}}}}}}}}} ||

1. 개요2. 역사
2.1. 창단과 성장기2.2. 다이애나 터라시의 시대2.3. 토마스 · 카퍼 · 사발리 BIG 3
2.3.1. 2025 시즌
3. 현재 로스터4. 영구결번5. 둘러보기

1. 개요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를 연고지로 하는 WNBA팀이다. 1997년 리그 출범 이전에 창단된 원년 8개 구단 중 하나로, 홈구장은 피닉스 아레나다.

28년 동안 WNBA 플레이오프에 18차례 진출했다. 2007, 2009년, 2014년 세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다이애나 터라시, 브리트니 그라이너의 팀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23년 2월, 피닉스 선즈와 함께 구단주 맷 이시비아가 피닉스 머큐리를 인수했다.

2. 역사

2.1. 창단과 성장기

명예의 전당 헌액자 낸시 리버먼, 미래 명예의 전당 헌액자 미셸 팀스(호주), 제니퍼 길롬, 현역 스타 브리짓 페티스, 그리고 열정적인 지도자 셰릴 밀러가 이끄는 머큐리는 빠르게 WNBA의 주요 프랜차이즈로 자리 잡았다. 첫 시즌에 머큐리는 16승 12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뉴욕 리버티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1998년, 머큐리는 19승 11패로 다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클리블랜드 로커스를 꺾고 처음으로 WNBA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디펜딩 챔피언 휴스턴 코메츠에게 2승 1패로 패했다.

1999년 머큐리는 15승 17패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00년에는 20승 12패로 정규시즌을 마쳤지만,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에게 스윕패를 당했다. 시즌 종료 후 밀러 감독이 사임하고, 주축 선수들이 은퇴하거나 트레이드되면서 팀은 급격히 약화되었고 플레이오프 경쟁에서 밀려났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 머큐리는 WNBA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여러 감독들이 거쳐 갔지만 팀의 방향성을 잡지 못했다. 이 시기 포워드 리사 해리슨은 매체의 주목을 받으며 화제가 되었지만, 그녀는 플레이보이 잡지 모델 제안을 거절했다.

2.2. 다이애나 터라시의 시대

2003년 머큐리는 8승 26패라는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그 결과, 2004년 WNBA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다이애나 터라시를 지명했다. 터라시는 그해 WNBA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했고, 팀은 17승 17패로 반등했다. 그러나 2005년에는 16승 18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전 NBA 감독 폴 웨스트헤드는 2006년 시즌을 앞두고 머큐리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특유의 빠른 템포의 경기 방식을 도입했으며, 머큐리는 WNBA 드래프트에서 캐피 폰덱스터를 전체 2순위로 지명했다. 이로 인해 터라시는 든든한 파트너를 얻게 되었고, 웨스트헤드의 공격 전술은 머큐리의 트레이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2006년 머큐리는 18승 16패로 시즌을 마쳤다. 그러나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7년 머큐리는 정규시즌 23승 11패로 프랜차이즈 사상 최고 성적을 거두고 서부 컨퍼런스 1위를 차지했다. 플레이오프에서 머큐리는 시애틀 스톰과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를 차례로 꺾고 WNBA 파이널에 진출했다. 디트로이트 쇼크와의 결승전에서 머큐리는 2승 2패로 시리즈를 원점으로 돌렸고, 5차전에서 108-92로 승리하며 첫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이는 원정팀이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최초의 사례였다. 폰덱스터는 파이널 MVP에 선정되었고, 평균 22.0점과 5.6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웨스트헤드의 후임으로 코리 게인스가 감독에 부임했다.

2008년 머큐리는 16승 18패로 시즌을 마쳤고, 디펜딩 챔피언임에도 불구하고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2009년, 머큐리는 서부 컨퍼런스 1위로 정규시즌을 마쳤고, 플레이오프에서 샌안토니오와 로스앤젤레스를 차례로 꺾으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인디애나 피버를 3승 2패로 제압하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터라시는 파이널 MVP에 선정되었다.

오프시즌 동안 폰덱스터는 뉴욕 리버티로 트레이드되었고, 대신 올스타 캔디스 듀프리가 팀에 합류했다. 2010년 머큐리는 15승 19패로 컨퍼런스 2위에 올랐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는 샌안토니오를 꺾었지만, 결승에서는 시애틀 스톰에게 패했다.

2011년 머큐리는 0승 3패로 시즌을 시작했지만 이후 반등에 성공해 3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라운드에서 시애틀을 꺾고 컨퍼런스 결승에 진출했지만, 미네소타 링스에게 2연패하며 탈락했다.

피닉스 머큐리는 2012년 WNBA 시즌을 7승 27패라는 리그 두 번째로 낮은 성적으로 마무리했다. 시즌 종료 후 머큐리는 2013년 WNBA 드래프트 복권에서 전체 1순위 지명권을 얻었다.

2.2.1. 다이애나 터라시 · 브리트니 그라이너 듀오

2013년 4월, 머큐리는 두 차례 우든 상을 수상한 브리트니 그라이너를 전체 1순위로 지명했다. 그러나 머큐리는 플레이오프 컨퍼런스 라운드에서 미네소타 링스에게 패했다.

다음 시즌, 머큐리는 새 감독 샌디 브론델로의 지도 아래 29승을 기록하며 WNBA 한 시즌 최다 승리 기록을 세웠다. 머큐리는 2014년 플레이오프를 압도적인 기세로 통과해 통산 세 번째 WNBA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2015년 2월 3일, 다이애나 터라시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팀인 UMMC 예카테린부르크의 요청으로 2015년 WNBA 시즌에 불참하겠다고 발표했다. UMMC는 터라시에게 WNBA 연봉보다 높은 금액을 제시하며 시즌 불참을 권유했다.

2014년 시즌 동안 터라시는 리그 최고 수준인 약 10만 7천 달러의 연봉을 받았지만, 해외에서는 약 150만 달러를 벌며 WNBA 연봉의 15배에 달하는 수입을 올렸다.

2016년부터 WNBA는 플레이오프 초반 두 라운드를 단판제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8번 시드였던 머큐리는 1라운드에서 인디애나 피버를, 2라운드에서 뉴욕 리버티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하지만 준결승에서 미네소타 링크스에게 패했다.

2017년, 머큐리는 플레이오프 1, 2라운드에서 각각 시애틀 스톰과 코네티컷 선을 꺾고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준결승에서 로스앤젤레스 스팍스에게 패했다.

2018년, 머큐리는 댈러스 윙스와 코네티컷 선을 상대로 싱글 엘리미네이션 경기에서 승리하며 3년 연속으로 플레이오프 1, 2라운드를 통과했다. 이로써 터라시는 승자독식 경기에서 13승 무패의 전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준결승에서 머큐리는 시애틀 스톰과의 5차전에서 패하며 터라시의 승자독식 경기 첫 패배를 기록했다.

2019년 시즌, 머큐리는 허리와 햄스트링 부상으로 장기 결장한 터라시 없이 시즌 대부분을 소화해야 했다. 머큐리는 15승 19패의 성적으로 8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시카고 스카이에게 105-76으로 대패하며 탈락했다.

2020 시즌을 앞두고 머큐리는 드와나 보너를 트레이드하고, 그 대가로 받은 드래프트 픽을 활용해 스카일러 디긴스-스미스를 영입했다. 시즌은 코로나19로 인해 ‘워블’ 환경에서 진행되었고, 브리트니 그라이너는 개인적인 사유로 12경기만 치른 뒤 팀을 떠났다. 그라이너가 빠진 가운데 머큐리는 13승 9패를 기록해 5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2라운드에서 미네소타 링크스에게 패했다.

2021년 시즌 동안 터라시는 부상으로 인해 단 16경기만 출전했다. 머큐리는 19승 13패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고, 플레이오프에서 뉴욕 리버티, 시애틀 스톰,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를 차례로 꺾으며 2014년 이후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전에서 시카고 스카이에게 1승 3패로 시리즈를 내주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시즌 종료 후 머큐리는 샌디 브론델로 감독과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2022년 1월, 바네사 나이가드가 머큐리의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머큐리는 2021시즌 득점왕이었던 티나 찰스를 자유계약으로 영입했다. 그러나 2월, 브리트니 그라이너가 러시아에서 구금되며 2022 시즌 전체를 결장하게 되었다.

머큐리는 시즌 초반 스카일러 디긴스-스미스와 다이애나 터라시의 경기 내 역할 충돌, 찰스의 시즌 중 이탈 등 여러 문제로 시즌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찰스는 18경기 출전 후 팀을 떠났다. 머큐리는 15승 21패의 기록으로 8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디긴스-스미스와 터라시가 모두 결장한 가운데 1라운드에서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에게 스윕당했다.

2023년, 그라이너는 복귀했지만 디긴스-스미스는 출산 휴가로 시즌을 건너뛰었다. 머큐리는 시즌을 2승 10패로 시작했고, 바네사 나이가드는 경질되었다. 니키 블루가 임시 감독으로 시즌을 마무리했으나, 머큐리는 9승 31패로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2012년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10월에는 네이트 티벳츠가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12월 머큐리는 2024년 WNBA 드래프트 복권에서 전체 3순위 지명권을 확보했다.

2024시즌을 앞두고 디긴스-스미스는 자유계약시장에서 팀을 떠났고, 머큐리는 칼리아 코퍼를 영입하기 위해 전체 3순위 지명권과 다른 자산들을 트레이드했다. 머큐리는 다시 한 번 부상 문제에 시달렸고, 예상된 주전 라인업은 단 11경기만 함께 출전했다. 머큐리는 19승 21패의 기록으로 시즌을 마무리하고 7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1라운드에서 미네소타 링크스에게 스윕당했다.

다이애나 터라시는 2024 시즌이 끝난 후 은퇴를 발표했고, 20년간의 터라시의 커리어는 여기서 막을 내린다. 브리트니 그라이너 또한 애틀랜타 드림으로 이적하며, 리빌딩을 선언하는가 했으나...

2.3. 토마스 · 카퍼 · 사발리 BIG 3

2.3.1. 2025 시즌

4개 팀과의 대규모 트레이드에서 최대어 알리사 토마스, 사투 사발리를 영입하며, 칼리아 카퍼와 함께 새로운 BIG 3를 구축했다.

부상으로 빠진 칼리아 카퍼가 복귀하면 새로운 BIG3 피닉스를 볼 수 있을 예정이다.

3. 현재 로스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2F8A><tablebgcolor=#702F8A> 파일:피닉스 머큐리 로고.svg피닉스 머큐리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
코칭스태프 <colbgcolor=#ffffff,#191919> '''
감독
''' 네이트 티베츠
가드 PG 헬드 · SG 칼리아 카퍼
포워드 SF 사투 사발리 · PF 알리샤 토마스
센터 C
벤치 C 브라운 · SF 락사 · SG 휘트콤 · G 키아나 윌리엄스
* 풀네임: 나무위키에 등재된 선수
다른 WNBA 팀 선수단 보기
}}}}}}}}}}}}}}} ||

4. 영구결번

피닉스 머큐리 영구결번
7. 미쉘 팀스 13. 페니 테일러 22. 제니퍼 길럼 32. 브리짓 페티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cf5c10><tablewidth=320><tablebgcolor=#cf5c10>
파일:애리조나 문장.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MLB NBA WNBA
파일:애리조나 카디널스 로고.svg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피닉스 선즈 로고.svg 파일:피닉스 머큐리 로고.svg
애리조나 카디널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피닉스 선즈 피닉스 머큐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