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0 13:31:06

플라이트 플랜(영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본의 게임 제작회사}}}에 대한 내용은 [[플라이트 플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플라이트 플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플라이트 플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본의 게임 제작회사: }}}[[플라이트 플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플라이트 플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플라이트 플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플라이트 플랜 (2005)
Flightplan
파일:Flightplan.jpg
{{{#!wiki style="margin: -6px -10px"
장르 미스터리, 스릴러, 드라마
감독 로베르트 슈벤트케
각본 피터 A. 다울링
빌리 레이
제작 브라이언 그레이저
촬영 플로리안 발하우스
편집 톰 노블
특수효과 제이콥 듀윗
음악 제임스 호너
미술 알렉 해먼드
케빈 이시오카
캐시 루카스
출연 조디 포스터
피터 사스가드
에리카 크리스텐슨
케이트 비핸
마이클 어비
숀 빈
제작사 터치스톤 픽처스
이매진 엔터테인먼트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브에나 비스타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브에나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
수입사 브에나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
상영 시간 98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5년 9월 23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5년 10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11월 11일[1]
제작비 5500만 달러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71,544명
북미 박스오피스 $89,707,299
월드 박스오피스 $223,387,299
2차 시장 $79,270,000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2. 시놉시스3. 예고편4. 등장인물5. 줄거리6. 평가7. 흥행8. 기타

1. 개요

2005년 11월 11일 개봉한 디즈니계열 터치스톤픽쳐스의 조디 포스터 주연 스릴러 영화. 점보 여객기를 주 배경으로 비행 중에 딸이 실종되는 불가사의한 사건을 다룬다. 패닉 룸보다는 스케일이 크고 액션이 거의 없으나 심리적 긴장감은 더 크다.

5천 5백만 달러의 제작비로 만들어 월드와이드 2억 2천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에 성공했다.

2. 시놉시스

고도 37,000 피트, 실종된 딸을 찾기 위한 그녀의 사투가 시작됐다.

37,000피트 상공의 비행기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스릴러 영화로, 조디 포스터가 맡은 역은 항공 엔지니어인 카일 프랫. 남편의 장례식을 위해 딸과 함께 베를린에서 뉴욕으로 가는 비행기를 타고 가던 중 딸이 감쪽같이 사라지고, 사라진 딸을 찾기 위한 그녀의 사투가 시작되는데...

이제 곧 이륙한다. 폐쇄된 공간의 공포를 향해...
3만 7천 피트 창공을 날고 있는 최신형 점보 비행기. 그 안에서 어린아이가 실종된다면?
<플라이트 플랜>은 운행 중인 비행기 속에서 벌어지는 수수께끼의 실종 사건을 테마로 한 휴먼 미스테리 스릴러물이다. 딸을 찾아 헤메는 어머니 카일 프랫 역은 아카데미상을 두 번 수상한 지성파 여배우 조디 포스터가 맡았다. 겁에 질린 채, 그러나 침착함을 잃지 않고 대서양 상공에서 실종된 딸을 찾아 기내를 헤매는 엄마. 딸은 아무 흔적도 남기지 않았다. 아니, 어딘가 흔적이 있는 걸까?
승객과 승무원들이 느끼는 딜레마를 관객들은 스크린을 통해 똑같이 공유하게 된다.

과연 딸이 기내에서 실종됐다는 카일(조디 포스터 분)의 주장은 사실인가? 혹은 남편을 잃은 슬픔과 상실감에 그녀는 이성을 잃고 미친 것일까? 관객도 극중의 승객과 승무원도 진실을 알 수가 없다. 더 혼란스러운 사실은, 카일의 딸 이름이 탑승객 명단에 올라있지도 않다는 것. 게다가 승무원 중 어느 누구도 딸을 본 사람이 없다. 기장 리치(숀 빈 분)나 기내 보안관 진 카슨(피터 사스가드 분)는 카일의 주장을 믿어주려 하지만, 모든 정황은 그녀의 딸이 비행기에 탑승한 적이 없다는 쪽으로 기운다.
진실은 무엇인가? 누굴 믿어야 하는가? 이 미스테리를 풀기 위해 어디까지 비밀을 파고 들어가야 하는가? 아무의 도움도 못 받고, 되려 정신이상자라는 오해를 받으면서도 그녀는 딸을 구하기 위해 모정이 아니면 상상도 못할 위험 속에 몸을 던진다.

창공으로의 이륙, 차원 높은 스릴러와 휴먼 미스터리의 만남

네이버 영화 발췌.

3. 예고편

4. 등장인물

  • 카일 플랫 役 - 조디 포스터
  • 제이 카슨 役 - 피터 사스가드
  • 피오나 役 - 에리카 크리스틴슨
  • 스테파니 役 - 케이트 비헨
  • 심리치료사 役 - 그레다 스카치
  • 에스텔라 役 - 주디스 스콧
  • 리치 役 - 숀 빈

5. 줄거리

6.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메타스코어 53 / 100 점수 6.3 / 10 상세 내용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37% 관객 점수 48%

<nopad> 파일:IMDb 로고.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핍진성적인 면에서 범인인 카슨의 엉성한 계획이 지적받는다. 당시 카슨은 모든 승무원과 승객을 매수한게 아니라 기껏해야 공범 승무원 1명만 있었을 뿐인데, 작중에선 '애를 데려갈때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는 대사 하나로 넘어가지만, 승객 1명만 나서서 나도 애를 봤다고만 증언해도 카일을 그저 애를 잃은 슬픔에 미친 여자로 몰아가는 것은 실패하게 되는 계획이다. 애초에 계획을 세운 카슨 자체가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엉성한 계획이었음에도 영화상에선 이걸 성공시키기 위해 아무도 애를 본걸 기억하지 못한다는 지나치게 편의적 전개를 택한다. 탑승할때는 그렇다 치더라도 도중에 아무리 잠자고 있던 승객들이 많다 하더라도 건장한 남성이 의식이 없는 6살 짜리 애를 안고가는 누가봐도 납치가 의심되는 상황을 아무도 의아하게 여기지 않았으며, 실종된 애를 찾겠다고 대대적으로 수색을 벌이고 있는데도 아무도 애를 봤다는 승객이 단 한명도 나타나지 않는다는건 말이 안된다.

또 탑승권을 훔쳐가고, 탑승자 명단이나 기록이야 공범 승무원이 조작했다 치더라도, 딸의 경우 시신도 없는데 사망신고까지 위조하는건 불가능에 가까울 것 이다. 카슨에게 매수된 것인지 병원과 영안실 담당자가 기장에게 카일의 딸이 사망했다는 전언을 보냈지만 이 난리통에 당연히 사건 이후 경찰은 딸의 신원을 조사해본다면 생존 사실을 당연히 쉽게 알 수 있다. 물론 당시 카슨은 카일에게 누명을 씌운 상태기 때문에 '카일이 이 모든 자작극을 꾸미기 위해, 스스로 병원을 매수해서 딸의 죽음을 조작하는 전언을 기장에게 보냈고, 애초에 딸은 같이 탑승하지도 않았다'는 식으로 넘어갈 계획이었을 수도 있지만 당연하지만 딸을 데리고 비행기에 탑승한 수많은 CCTV 증거가 있을 것이며, 기내 CCTV야 폭발로 함께 날려버리려 했다 치더라도 공항에서 남아있는 CCTV 기록은 어찌할 수 없다. 그렇다면 당연히 실제 딸을 납치하고, 관련 모든걸 은폐한 진범이 따로 있다는건 언젠가 밝혀질 운명이었다. 즉 이 모든걸 그저 카슨과 공범 승무원 단 둘이서 꾸민다는건 애초부터 말도 안되는 스케일의 플랜인 셈이다. 이렇게 엉성한 계획이 영화 상에선 그나마 작위적으로 성공하는 것 까진 그렇다 쳐도 그 이후에 대한 대비는 전혀 안되어있는 셈. 그런데 작중 카슨은 카일이 누명을 쓴채 마무리 될것이라 장담한다.

여담으로 출발 전날 옆집에서 지켜보고 있던 수상한 남성 2명은 결국 공범이었는지는 미회수 떡밥으로 끝난다.

7. 흥행

2025년 8월 기준, 넷플릭스 전 세계 톱 10 안에 드는 역주행 흥행을 하고 있다.[2]

8. 기타

파일:e474.jpg
  • 영화에 등장한 항공기는 E-474라는 가상의 항공기로 A380과 비슷하게 생겼다.[3] 주인공 카일이 설계한 기체라서 카일은 딸을 찾기 위해 일반 승객이 출입하지 못하는 구역도 찾아서 들어가게 된다.


[1] 네이버 영화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서는 18일로 표기하고 있다.[2] 일부 국가에서는 1위를 기록 중이다.[3] 창문이 특이하게 사다리꼴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