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15:40:55

달의 여사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도타 올스타즈(도타 2)의 영웅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에 대한 내용은 [[미라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라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라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도타 올스타즈(도타 2)의 영웅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 }}}[[미라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라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라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color:#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87ceeb,#062134> 인간 휴먼 <colbgcolor=#ff8d8d,#330000> 오크 <colbgcolor=#9966cc,#2a153e> 언데드 <colbgcolor=#44d7a8,#104b38> 나이트 엘프
[[대마법사(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BTNHeroArchMage-Reforged.png

대마법사
아크메이지
]]
[[검귀(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BTNHeroBlademaster-Reforged.png

검귀
블레이드 마스터
]]
[[죽음의 기사(워크래프트 3)|
파일:BTNHeroDeathKnight-Reforged.png

죽음의 기사
데스 나이트
]]
[[악마사냥꾼(워크래프트 시리즈)|
악마사냥꾼
데몬 헌터
]]
[[산왕(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BTNHeroMountainKing-Reforged.png

산왕
마운틴 킹
]]
[[선견자|
파일:BTNHeroFarseer-Reforged.png

선견자
파시어
]]
[[공포의 군주|
파일:BTNHeroDreadLord-Reforged.png

공포의 군주
드레드로드
]]
[[숲의 수호자|
파일:BTNKeeperOfTheGrove-Reforged.png

숲의 수호자
키퍼 오브 그로브
]]
[[성기사(워크래프트 3)|
파일:BTNHeroPaladin-Reforged.png

성기사
팔라딘
]]
[[타우렌 족장|
파일:BTNHeroTaurenChieftain-Reforged.png

타우렌 족장
타우렌 칩튼
]]
[[리치(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BTNHeroLich-Reforged.png

리치
]]
[[달의 여사제|
파일:BTNHeroMoonPriestess-Reforged.png

달의 여사제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
]]
[[혈법사|
파일:WC3FT_로고.png

혈법사
블러드 메이지
]]
[[어둠사냥꾼|
파일:BTNShadowHunter-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어둠사냥꾼
쉐도우 헌터
]]
[[지하군주|
파일:BTNHeroCryptLord-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지하군주
크립트 로드
]]
[[감시관|
파일:BTNHeroWarden-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감시관
워든
]]
중립
[[나가 바다 마녀|
파일:BTNNagaSeaWitch-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나가 바다 마녀
나가 씨 위치
]]
[[어둠 순찰자|
파일:BTNBansheeRanger-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어둠 순찰자
다크 레인저
]]
[[판다렌 양조사|
파일:BTNPandarenBrewmaster-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판다렌 양조사
판다렌 브루마스터
]]
[[불의 군주|
파일:BTNHeroAvatarOfFlame-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불의 군주
파이어 로드
]]
[[지옥의 군주|
파일:BTNPitLord-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지옥의 군주
핏 로드
]]
[[야수조련사|
파일:BTNBeastMaster-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야수조련사
비스트 마스터
]]
[[고블린 땜장이|
파일:BTNHeroTinker-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고블린 땜장이
고블린 팅커
]]
[[고블린 연금술사|
파일:BTNHeroAlchemist-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고블린 연금술사
고블린 알케미스트
]]
캠페인
[[멀록 마술사|
멀록 마술사
멀록 소서러
]]
[[자르지라#워크래프트 3|
파일:BTNWraith.png

바다 마녀
씨 위치
]]
[[엘프 순찰자#워크래프트 3|
파일:BTNSylvanusWindRunner-Reforged.png

순찰자
레인저
]]
[[실바나스 윈드러너/작중 행적#혼돈의 지배|
파일:BTNSylvanasGhost.png
파일:WC3R_로고.png

밴시
]]
[[아나스테리안 선스트라이더#워크래프트 3: 리포지드|
파일:i13228801316.jpg
파일:WC3R_로고.png

제왕
하이 킹
]]
[[쿠엘델라#워크래프트 3: 리포지드|
파일:BTNThalorienDawnseeker.png
파일:WC3R_로고.png

검술의 달인
마스터 소드맨
]]
[[세나리우스#워크래프트 3: 반신의 죽음과 부활|
반신
데미갓
]]
[[아키몬드#워크래프트 3|
파일:BTNArchimonde-Reforged.png

흑마법사
워록
]]
[[굴단#워크래프트 3|
파일:BTNGuldan-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흑마법사
워록
]]
[[오스마르 가리토스#워크래프트 3|
파일:BTNGarithos-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어둠의 기사
다크 나이트
]]
[[아카마(워크래프트 시리즈)#워크래프트 3|
파일:BTNDranaiAkama-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원로 현자
엘더 세이지
]]
[[댈린 프라우드무어#워크래프트 3|
파일:BTNProudMoore-Reforged.png
파일:WC3FT_로고.png

성기사
팔라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font-size:.9em; letter-spacing:-0.05em"
<colcolor=#197557,#197557><colbgcolor=#44d7a8,#44d7a8>장로의 제단
알터 오브 엘더
[[악마사냥꾼(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demonhunter.gif
악마사냥꾼
데몬 헌터
]]
[[숲의 수호자|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keepergrove.gif
숲의 수호자
키퍼 오브 그로브
]]
[[달의 여사제|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priestess.gif
달의 여사제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
]]
[[감시관|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warden.gif
감시관
워든
]]
전쟁의 고대정령
에인션트 오브 워
지식의 고대정령
에인션트 오브 로어
바람의 고대정령
에인션트 오브 윈드
키메라 둥지
키메라 루스트
생명의 나무
트리 오브 라이프
[[위습(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wisp.gif
위습
]]
[[궁수(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archer.gif
궁수
아처
]]
[[여사냥꾼|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huntress.gif
여사냥꾼
헌트리스
]]
[[수리검 투척기|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glaivethrower.gif
글레이브 투척기
글레이브 스로워
]]
시대의 나무
트리 오브 에이지
[[드리아드(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dryad-small.gif
드리아드
드라이어드
]]
[[발톱의 드루이드|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druidclaw-small.gif
발톱의 드루이드
드루이드 오브 클러
]]
[[산악거인|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mountaingiant-small.gif
산악거인
마운틴 자이언트
]]
[[히포그리프(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hippogryph.gif
히포그리프
]]
[[갈퀴발톱의 드루이드|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druidtalon.gif
갈퀴발톱의 드루이드
드루이드 오브 탈론
]]
[[요정용|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faeriedragon.gif
요정용
페어리 드래곤
]]
[[히포그리프 기수|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mounthippogryph.gif
히포그리프 기수
히포그리프 라이더
]]
영원의 나무
트리 오브 이터니티
[[키메라(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chimaera.gif
키메라
]]
소환 유닛들[[달의 여사제#스카웃/정찰|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scout.gif
정찰 올빼미
아울 스카우트
]]
[[나무정령|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forceofnature.gif
나무정령
트렌트
]]
[[감시관#아바타 오브 벤전스/복수의 화신|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spiritofvengeance.gif
복수의 화신
아바타 오브 벤전스
]]
[[감시관#스피릿 오브 벤전스/복수의 영혼|
파일:BTNAvengingWatcher.png
복수의 영혼
스피릿 오브 벤전스
]]
기타 건물들{{{#!wiki style="margin:-15px -11px"뿌리 내린 금광
인탱글드 골드 마인
달샘
문웰
사냥꾼의 전당
헌터스 홀
고대 수호정령
에인션트 프로텍터
경이의 고대정령
에인션트 오브 원더
}}}}}}}}}}}}

1. 개요2. 기본 정보3. 대사4. 상세5. 스킬
5.1. 하이드/그림자 숨기5.2. 스카웃/정찰5.3. 시어링 애로우/이글거리는 화살5.4. 트루샷 오라/정조준 오라5.5. 스타폴/별똥별
6. 장점7. 단점8. 수집품, 캠페인 스킨9. 기타10.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11.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1. 개요

<nopad> 파일:external/b5c8f9fe0bd9417bfd7185407c9c51162c4072c5cae2df02e8a7995eeddd0582.gif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priestess.gif
달의 여사제
Priestess of the Moon
<nopad> 파일:attachment/priestess_(1).gif
파수대의 용기 있는 지휘자들인 달의 여사제들은 고대의 달의 여신인 엘룬의 힘과 은총의 상징입니다. 달의 여사제는 빛을 발하는 은 갑옷을 입고, 여명의 설원의 눈 호랑이들을 타고 전쟁터로 뛰어듭니다. 나이트 엘프의 영토를 지키는 임무를 지닌 달의 여사제는 마법의 활을 들고 악의 존재를 없애기 위해 무엇이든 합니다.
워크래프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인물들로, 나이트 엘프 종족이 숭배하는 달의 여신인 엘룬을 섬기는 달의 여사제들이다. 워크래프트 3에서는 나이트 엘프 진영의 영웅 유닛으로 등장하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NPC나 플레이어 나이트 엘프 사제로서 등장한다.

2. 기본 정보

||<table width=60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44d7a8><table bgcolor=#b4efdc,#104b38><colbgcolor=#44d7a8><colcolor=#197557><width=16%> 생산비용 ||<width=16%> 파일:warcraft3_icon_gold.gif425
파일:warcraft3_icon_lumber.gif100
파일:warcraft3_icon_supply.gif5 ||<colbgcolor=#44d7a8><colcolor=#197557><width=16%> 기본속성 ||<width=16%> 민첩 ||<colbgcolor=#44d7a8><colcolor=#197557><width=16%> 주간시야 ||<width=16%> 1800 ||
공격유형 영웅 레벨당
힘 상승치
1.9 야간시야 800-1800[1]
무기유형 미사일 레벨당
민첩성 상승치
1.5 이동속도 빠름 (320)
방어유형 영웅 레벨당
지능 상승치
2.6 생산시간 55
공격속도 2.33 체력회복 항상[2] 수송 칸 1
사정거리 600 마나회복 0.01 생산 단축키 P
||<table width=60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44d7a8><rowbgcolor=#44d7a8><rowcolor=#197557><width=10> 레벨 ||<width=70> 공격력 ||<width=12%> 방어력 ||<width=12%> 힘 ||<width=12%> 민첩 ||<width=12%> 지능 ||<width=12%> 체력 ||<width=12%> 마나 ||
<colbgcolor=#b4efdc,#104b38> 1 21-31 4 18 19 15 550 225
2 22-32 4 19 20 17 575 255
3 24-34 5 21 22 20 625 300
4 25-35 5 23 23 22 675 330
5 27-37 6 25 25 25 725 375
6 28-38 6 27 26 28 775 420
7 30-40 6 29 28 30 825 450
8 31-41 7 31 29 33 875 495
9 33-43 7 33 31 35 925 525
10 34-44 8 35 32 38 975 570
||<table width=60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44d7a8><rowbgcolor=#44d7a8><rowcolor=#197557> 영웅 이름 ||
* 카스리스 스타송(Kathris Starsong)
  • 아도라 나이트쉐이드(Adora Nightshade)
  • 모라 문싱어(Mora Moonsinger)
  • 펠로 문레이(Felore Moonray)[3]
  • 아나라 칠윈드(Anara Chillwind)
  • 케라 스타드래곤(Kera Stardragon)
  • 메이브 위스퍼윈드(Mave Whisperwind)
* 델라스 문팽(Delas Moonfang)
  • 미라 화이트메인(Mira Whitemane)
  • 테타 세이버팽(Theta Saberfang)
  • 타이그라 스노우스카(Tygra Snowscar)
  • 에리얼 다크문(Ariel Darkmoon)
  • 다이아나 윈드우드(Diana Windwood)

3. 대사

유닛 대사
클래식 (제시카 스트라우스) 리포지드 (임윤선)
준비
Warriors of the night, assemble!밤의 전사들이여, 집결하라!
선택
We are poised to strike!공격 준비 완료!
We must act!행동할 때다!
I am vigilant!경계를 늦추지 않는다!
Trust in my command!나를 믿어라!
이동
Leading the way!인도하지!
Onward!진격!
As I thought.생각한 대로군.
The goddess agrees!여신께서도 동의하신다!
공격
Strike!공격!
For the goddess!여신님을 위하여!
Prepare to be moonstruck![4]달의 공격을 받아라!
영웅 공격
By the goddess!여신의 이름으로!
반복 선택
We always land on our feet.[5]착지할 땐 두 발로 날렵하게.
My tiger's trained for war. He's grrrrrreat![6]내 호랑이는 전쟁를 위해 훈련받았지. 아주 최~고양!
Curiosity killed my last ride.호기심이 과하면 죽어, 내 예전 탈것처럼.
I got my tiger used from Siegfried and Roy.[7]내 호랑이는 예전에 영화에 출현해서, 포수와 싸운 적도 있다고 하던데.
Crouch, Tiger! I sense a Hidden Dragon.호랑이야, 엎드려라. 용이 숨어있다.
When a treant falls in the forest, does it make a sound?[8]숲에서 나무정령이 쓰러졌는데 듣는 이가 없었다면, 그건 소리가 난 걸까?

4. 상세

원거리 공격에 특화된 민첩 영웅.
시어링 애로우와 트루샷 오라라는 시너지 좋은 스킬이 붙어 있고 이동속도도 빠르며(320) 사거리도 긴 편이라(600) 이론상으로는 막강한 공격력을 자랑해야 하지만, 말 그대로 이론상이다.

실제로는 기본 공격 속도가 원거리 지능 영웅보다 낮고[9] 민첩 영웅 치고 스탯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10]
프문뿐만이 아니라 밸런스 문제로[11] 민첩 기본 증가량에 상당 부분 너프를 준 탓이긴 한데[12] 다른 용처가 있는 타 영웅과는 달리 프문은 스킬 두개가 원거리 공격력 증가에 할당되어 있는 탓에 구린 스탯에 대한 역체감이 훨씬 심한 편이다.

궁극기가 나름대로 인상 깊기는 하지만 트루샷 오라를 제외하고는 제값을 못하는 스킬들이 포진되어 있기 때문에 데몬헌터, 키퍼에게 밀리는 편이며 후반 포텐셜도 메타몽 데몬헌터에 밀린다.

확팩 초기에는 나나전이 2워 헌트→헌트+글쓰 싸움이었기에 많이 볼 수 있었지만 유저들의 컨트롤이 좋아지고 대세가 3티어 싸움으로 넘어가면서 그조차도 보기 힘들어졌다. 하지만 요즘 다시 나나전에서 헌트리스 싸움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종종 보이는 편이며 팀전의 경우에는 선영웅으로도 많이 나온다. 특히 1:1에서는 약해보이지만 함부로 버프를 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언나 투워헌트 + 핀데드 조합이 너무 막강하다는 점에 있다. 이 조합에서 나엘은 헌트를 이용해 고기벽만 세우고 프문이 그렇잖아도 막강한 핀드에게 오라를 주며, 거기에 나엘이 테크를 포기하고 언데드에게 돈을 퍼주며 언데드가 빠르게 추가되는 다수 고테크 유닛까지 섞어 상대를 쓸어버리는데 매우 막강하다. 언데가 테크 완료되면 가끔씩 나엘도 3티어 올려서 곰 한두기 뽑아서 리쥬로어셔틀로 가거나 헌트리스 관련 업그레이드 해주기도 한다. 아주 가끔씩 타종족전의 1:1 경기에서도 선프문 나와서 헌트리스와 함께 압박하는 경우가 있다.

키퍼는 1.30 패치 이후로 선영웅으로도 자주 보일 정도로 좋아졌지만 프문은 여전히 오라빨만보고 밀어넣는 영웅이라 공짜배낭 들고다니는 코도 비스트 취급을 받는다. 1.29 패치로 공격 속도가 2.46에서 2.33으로 빨라지긴 했지만 그래봤자 전체 영웅 중 뒤에서 세번째인지라 체감은 적은 편.[13] 그래도 대 오크전에서는 헌트리스가 상향을 먹은 것을 보고 두 번째 영웅으로 뽑기도 하고, 블레이드 마스터를 견제하기 위해 뽑자마자 스카우트를 찍기도 하며, 상술했듯 최근 나나전에서 초반에 강한 헌트끼리의 개싸움 양상이 다시 보이게 되면서 동족전 한정으로는 선영웅으로 나오는 빈도 역시 압도적인 1순위로 늘어나게 되었다. 트루샷 오라와 헌트의 시너지가 우수하고, 첫 번째로 찍는 시어링이 마나를 사냥에 잡아먹어 데몬의 마나번에 상성이 좋고, 키퍼의 1-2스킬이 위습에 디스펠되기 쉬운 종족 특성상 초반 동족전 귀신이 된 것.

그래도 전체적으로 선 영웅보다는 땡아처 빌드에서 서드 영웅으로 많이 쓰인다. 트루샷 오라는 여전히 무시 못할 수준이며, 가끔 올인 전략에서 선 영웅으로 나오기도 한다. 글레이브 스로워도 적용되며 여태까지 글레이브 스로워 공격력을 파괴전차 수준으로 상향을 못하는 이유가 프문의 오라 때문이다.

2025년 기준으로 1:1 래더 및 대회에서 휴먼이나 언데드를 상대할 때 서드 영웅으로 기용하는 경우가 꽤 늘어났다.

5. 스킬

5.1. 하이드/그림자 숨기

나이트 엘프 종족 여성 유닛이라면 전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스킬로 밤 중에 일반적인 시야로 관측되지 않는 은신 상태가 된다. 공격, 이동 등 다른 행동을 취하게 되면 은신 상태가 취소 되며 밤이 되면 자동으로 시전되는 패시브 스킬이지만, 아이콘이나 단축키(i)를 눌러서 현재 행동을 중단하고 강제로 시전 할 수 있다. 투명화되는데 1.5초의 시간이 걸린다.

티란데의 하이드 능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캠페인도 있지만, 하이드 중에는 트루샷 오라의 효과가 비활성화 되고 프문은 워든처럼 견제를 주로 하는 영웅이 아니고 영웅의 체력이 낮으면 하이드 보다는 보존을 써서 본진으로 보내거나 포탈을 타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하이드를 가진 나이트 엘프의 유닛 중 사용 빈도가 가장 적었다. 최근에는 동족전 때문에 좀 늘긴 했지만.

5.2. 스카웃/정찰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scout.gif 레벨 효과
1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정찰용 올빼미인 아울 스카우트를 1마리 소환합니다.
마나 소비량: 50 / 지속 시간: 60초 / 이동 속도: 300
2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정찰용 올빼미인 아울 스카우트를 1마리 소환합니다.
마나 소비량: 50 / 지속 시간: 90초 / 이동 속도: 350
3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정찰용 올빼미인 아울 스카우트를 1마리 소환합니다.
마나 소비량: 50 / 지속 시간: 120초 / 이동 속도: 400
쿨타임 20초
특징 1. 아울 스카우트는 투명 유닛을 볼 수 있다.
2. 아울 스카우트는 여러마리를 소환할 수 있다.
3. 아울 스카우트는 그 어떤 공격과 마법도 통하지 않는다.
설명 정찰 올빼미는 정찰 목적으로 지도의 특정 부분으로 보내는 투명 유닛도 탐지할 수 있는 올빼미입니다. 올빼미는 특정한 시간 동안만 해당 지역을 보여주게 됩니다.

무적 상태의 정찰용 유닛인 "정찰 올빼미"를 소환하는 스킬. 올빼미답게 날아다니는 데다 모든 공격과 마법에 면역이라 제거당하지도 않으므로 상대 병력을 스토킹하는데는 뛰어나지만 아무런 공격 기능이 없다는 게 문제. 특히 나이트 엘프는 위습을 나무에 걸어두면 나무를 채취하면서 정찰도 가능하므로 더더욱 쓸 이유가 없다. 대신 나오전에서 블마 상대할때 올빼미를 주기적으로 보내주면 아이템, 몹 스틸도 못하고 기습도 못하게 해줄 수 있다.

비슷한 스킬인 파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레벨이 오를수록 올빼미의 시야가 증가하며 각 레벨의 올빼미는 1000/1500/2200의 시야를 가진다.

하지만 아울 스카우트 역시 2레벨,3레벨이 되어도 지속 시간과 정찰 범위만 늘어날 뿐 교전때 아군의 화력을 증가시키는데 1도 보탬이 안되고 1:1에서 에코 아일 같이 좁은 맵을 플레이한다면 아울 스카웃 1레벨로도 충분히 정찰이 가능하다. 아니면 위습, 헌트리스의 센티넬 등으로 충분히 대체가 가능해서 2레벨 이상 스킬을 올리는 것, 아니면 스카웃을 찍는 것 자체가 낭비라고 볼 수 있을 수 있고 프문이 2레벨에 아울 스카우트를 찍었다 하더라도 4레벨엔 시어링을 찍어버리게 나을 수도 있다. 평타가 별 볼일 없는 프문이라지만 결국 화력 증가값이 0인 아울 스카우트를 또 찍는 것보다는 상황에 따라 시어링을 찍는게 나을 수 도 있다는 것.

이 스킬 역시 프문의 다른 일반 스킬과 마찬가지로 다른 기술과 비교 당하곤 하는데, 비스트 마스터의 호크 소환과 비교를 자주 당하는 스킬이다. 비스트 마스터의 호크 소환 역시 날아다니는 독수리를 소환하여 투명 유닛을 감지 할 수 있는데 무적 상태는 아니다. 1레벨 호크는 공격 능력도 없으면서 적에게 공격 당할 수 있는 관계로 1레벨 스카웃이 1레벨 호크보다는 우월하다 볼 수 있지만, 호크는 2레벨 부터 공격이 가능하며, 3레벨 부터는 아예 쉐이드 처럼 투명 효과까지 있어서 안전하게 정찰이 가능하다. 프문이 5레벨에 3레벨 스카웃을 찍었다면 스킬 포인트 낭비라고 취급받는 반면 비마는 5레벨이 되는 순간 호크를 찍는 경우가 자주 있기 때문에 대우가 천지차이다. 파 시어의 파 사이트와도 비교되는데 패치 이후 마나 소비조차 없고 즉발로 무한대의 사거리로 해당 지역을 밝히기에 마나도 쓰고 쉐이드랑 달리 내가 보고 있음을 상대에게 공개하면서 즉시 해당 지역을 볼 수도 없는 스카웃이 당연히 밀린다. 물론 체라와 늑대가 다방면으로 좋아서 파 사이트를 안 찍는 거고[14]프문은 시어링이 구려서 스카웃을 찍을 수밖에 없다.

이전에는 마나 소모가 극심해서 찍지 않았으나 1.29패치로 마나 소모량이 100, 75, 50에서 전 레벨 50으로 내려가고 1레벨 아울 스카우트의 이동속도가 270에서 300으로 올라갔다. 1레벨 기준으로도 지속 시간 60초나 되고 올빼의 소환 지속 시간이 다 될때쯤이면 프문의 마나 50이 다 차서 소환 시간이 끝날때마다 뽑아서 날릴 수 있다. 쿨다운도 20초로 짧은 편이여서 마나가 널널하다면 중복 소환해서 여러 지점을 동시에 정찰하는게 가능하다.

2025년 기준으로 서드 프문이 휴먼전과 언데드전에 기용되는 경우가 늘어났는데 인비지 마킹이나 버로우 핀드 등의 은신 효과를 장시간 무력화시킬 수 있어서 가치가 있다 보니 현재는 1레벨에 트루샷 오라보다 먼저 배우는 상황도 종종 나온다.

5.3. 시어링 애로우/이글거리는 화살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searingarrows.gif 레벨 효과
1 화살에 불의 기운을 담아 평타 공격 시 10의 물리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2 화살에 불의 기운을 담아 평타 공격 시 24의 물리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3 화살에 불의 기운을 담아 평타 공격 시 48의 물리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쿨타임 0초(없음) 마나 소모량 8
특징 1. 자동시전 가능.
2. 오브 아이템과 중첩되지 않는다.
3. 스킬 추가 데미지라 트루샷 오라의 효과를 받지 못한다.
4. 2~3레벨 시어링 애로우는 수동 시전 시 사거리가 100만큼 더 늘어난다.
5. 다른 애로우 스킬과는 달리 기계와 건물에게도 사용 가능.
설명 이글거리는 화살은 달의 여신 엘룬의 힘을 빌려, 달의 여사제가 치명적인 타격을 주는 마법의 불화살을 쏘는 능력입니다.

평타에 데미지를 추가해주는 스킬. 같은 애로우 스킬인 나가 씨 위치의 프로스트 애로우는 추가 공격력에다 공이속이 느려지는 효과도 있고, 다크 레인저의 블랙 애로우는 추가 공격력에다 적중한 생명체 유닛이 사망하면 해골을 일으키는 기능이 있는데 비해 시어링 애로우는 이들보다 그저 약간 더 높은 추가 공격력이 끝.

초반에 공격력 상승치가 10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데미지가 별로 안들어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애로우 계열의 추가 피해는 카붐과 마찬가지로 물리 피해면서 동시에 스펠 피해 취급이라 영웅 아머에게 데미지가 30% 감소한다. 즉, 호기롭게 영웅에게 불화살을 발사해도 실제로는 -30% 효율에 방어력에 또 깍여서 결과적으로 한심한 화력을 보여준다.[15] 아처도 엘룬의 축복 스펠 피해 감소가 있기 때문에 체력 낮은 아처를 노려도 생각보다 잘 못 죽이는 걸 볼 수 있다. 당연하지만 이로 인해 트루샷 오라와 별개로 적용되기에 시어링을 찍는다고 트루샷에 따라 대미지가 오르지도 않는다.

다른 공격 스킬과 비교해봐도 데스 코일이나 프로스트 노바, 스톰볼트 등은 회복, 범위 공격, 기절 같은 특수 효과도 있으면서 데미지가 인스턴트로 들어가고 마나 소모도 더 적다. 다른 애로우 스킬과는 다르게 아무런 부가 효과도 없으면서 추가 공격력이 높은 것도 아니라 효율은 좋지 않은데다가 한 번에 큰 피해를 주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마나를 적게 먹는 것도 아닌데 심지어 오브 기반이라 오브 아이템과 중첩도 안 돼서 베놈 오브와 함께 쓸 수도 없다. 예를 들어, 데스코일은 75마나 소모로 한 번에 데미지를 넣고 아군에게는 2배의 치료효과까지 있지만, 시어링은 80마나를 소모하여 10대를 때려야 데스코일의 데미지가 나오고 아무런 부가 효과도 없다.

그나마 활용도가 있다면 초반 사냥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는 정도가 있는데, 1레벨부터 기본적으로 주는 피해량이 10이라는 것만 해도 맵상 대다수의 크립들에게 꽤나 대미지가 박히기 때문에 초반 아처+프문으로 돌면서 꾸준히 트루샷 오라와 병용하면 꽤나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기는 하다. 무엇보다도 아이템으로나 얻을 수 있는 공격력 증가를, 그것도 1레벨 때 10씩이나 기본 스킬로 얻을 수 있다는 점은 꽤나 메리트가 높은 점이기도 하다. 더불어 프문은 초반에 다른 영웅들에 비해 마나를 사용할 일이 그리 많지 않은 영웅이기도 한지라 소소히 화력에 보탬이 되니 그야말로 초반 사냥 스킬로서는 최적인 편이다. 물론, 중후반에 들어서면 트루샷 오라와 더불어 꾸준히 스카웃으로 정찰하면서 상대를 견제하다가 한타 시 들어가는 스타폴의 존재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활용빈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은 피할 수가 없다.

1.29 패치 이후 1레벨 스카웃의 마나 소모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상향을 받음에 따라 책을 많이 먹고 레벨이 높고 초반 사냥과 찌르기에서 화력 발휘를 최대한 해야하는 선프문이라면 모를까 세컨이나 서드로 뽑힌 프문이 2레벨을 찍었다면, 데미지 증가 옵션 밖에 없는 시어링을 찍느니 스카웃을 찍어서 시야 확보를 하고 모자란 평타 데미지는 베놈 오브로 대체하는 경우가 나을 수 있다. 시어링은 프문이 공속이 느려 터진 관계로 베놈 오브 보다 딜링 상승 기대치가 낮다. 이동하지 않고 공격만 한다고 가정할 때 2레벨부터는 베놈 오브와 비슷한 화력을 내고 3레벨은 확실히 강하지만, 공격 속도가 빠르지도 않은 영웅의 공격력을 끌어올리는 것보다는 주변 원거리 유닛들의 공격력을 올리는 편이 낫다. 예외적으로 선프문일때 선데몬 상대로는 꽤 쓸만하다. 어차피 마나를 열심히 써대니 처음부터 마나번의 효과가 떨어지고 그 후에는 교전에서 트루샷 오라로 화력 우위를 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 시전 대신 수동으로 사용하면 더 멀리 발사해서 도망치는 적을 공격할 때 단축키 + 클릭으로 잡아내는 경우도 있다.

1.36.2 패치에서 시어링 애로우의 추가 피해량이 2스킬의 경우 20에서 24로 3스킬 시어링 애로우는 무려 30에서 48으로 대폭 버프가 되었다. 하지만 5레벨에 트루샷 오라가 고정인 프문의 특성상 2스킬이라면 모를까 3스킬은 정말 볼일이 없기 때문에 리포지드 발매 전후로 자주 보이는 블리자드의 패치 동향인 '의미 없는 버프 해놓고서 일 열심히 한 것처럼 보이려고 하는 생색내기 버프'라는 것이 중론이다. 선프문의 2레벨 시어링부터는 영웅 상대로도 꽤나 강력한 지속딜 화력을 보여주지만 프문 자체가 말뚝딜을 하는 환경이 자주 나오는 것도 아니고, 무엇보다도 마나만 있다면 광역딜을 반무한정 퍼붓는 판다와 나가 바다 마녀에 비할 바가 못 된다. 이외의 상황은 주로 서드로 나오는데 이때는 트루샷과 스카우트를 찍고 맹독의 오브를 끼기에 이 스킬을 찍을 이유 자체가 없다.

5.4. 트루샷 오라/정조준 오라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trueshot.gif 레벨 효과
1 주변 아군 유닛의 원거리 공격력을 10%만큼 증가시켜 줍니다.
2 주변 아군 유닛의 원거리 공격력을 20%만큼 증가시켜 줍니다.
3 주변 아군 유닛의 원거리 공격력을 30%만큼 증가시켜 줍니다.
효과 범위 900
특징 1. 아군 원거리 공격 유닛에게만 공격력 증가 효과가 적용된다.
2. 오브를 장착한 근접 영웅의 경우엔 공중 공격을 할 때만 공격력 증가 효과가 적용된다.[16]
설명 달의 여사제의 존재만으로도 주변 아군의 명중률과 타격 피해가 큰 폭으로 오릅니다.

프문의 알파이자 오메가. 프문의 존재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스킬로 범위 내의 원거리 유닛들에게 전부 적용되어 원거리 유닛 개체 수가 많아지고 고테크 원거리 유닛의 등장 빈도도 높아지는 팀전에서 굉장한 효과를 발휘하며, 1:1에서도 휴먼전과 언데드전에서 서드 영웅으로 기용되는 이유 중 하나다. 원거리 조합인 아처헌트에겐 필수나 다름없는 스킬이며 퍼센트값으로 올려주는 만큼 업그레이드의 효율도 잘 받는다. 그리고 오라류가 다 그렇듯 마법 면역이나 기계 속성에도 적용되므로 드리아드와 글쓰도 공격력 증가를 받을 수 있다.

같은 종족에 있는 곰탱이가 주변 아군 유닛의 공격력을 25% 올려주는 로어 스킬을 사용하기에 다소 평가가 박해지는 경우도 있으나 정작 실전에서 로어는 생각보다 단점이 많은 함부로 쓸 수 없는 스킬이라 일장일단이 있다. 일단 마법 면역에겐 효과가 들어가지 않아서 드리아드에겐 무쓸모이며, 어느 종족이든 로어를 보자마자 바로 디스펠해버리는 데다, 휴먼전이면 스펠브레이커에게 뺏겨서 휴먼 병력을 강화시키고, 언데드전이면 디스트로이어의 디바우어 매직에 먹혀서 체력과 마나를 회복시켜준 뒤 광역딜로 보답받는 등, 사실상 디스펠이 부실한 오크전을 제외하면 오히려 역이용 당하는 상황이 더 많아서 실전에선 곰드라 체제여도 아예 로어를 쓰지 않고 교전하는 경우가 대회에서도 흔하게 나올 정도다. 이와 달리 트루샷 오라는 원거리 유닛에게만 적용되는 대신 역이용 당할 위험이 없는 상시 효과라 언제나 이득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로어와 트루샷 오라는 중첩이 돼서 공격력 55% 증가라는 엄청난 공격력 증가량을 자랑하므로 가능하면 같이 쓰는 게 좋다.[17]

트루샷은 오직 원거리 유닛한테만 적용되는데 비해[18][19] 워 드럼 오라는 근거리 원거리 상관없이 모두 적용되므로 코도 비스트의 하위호환이라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물론 최대 수치만 따지면 트루샷 오라가 10% 더 높긴 하지만 프문이 5레벨을 찍는 경우는 선프문이 아닌 이상 거의 안 나오며, 오크가 2티어가 되면 비스티어리를 짓고 약탈병코도를 뽑는 것은 언데드가 슬래터하우스를 짓고 옵시를 뽑는 것 처럼 당연한 일이기 때문에 영웅 소환권 1개를 날리고 경험치까지 축내는 써드 프문과는 기회비용 측면에서 상대가 안된다. 여기에 코도는 디바우어까지 있고 유닛이라 여러 기 뽑을 수 있으니 더더욱 비교될 수밖에 없다. 애초에 써드 프문은 필수가 아니지만 코도는 오크 화력의 핵심이기 때문에[20] 그 위상은 비교가 불가능하다. 물론 그렇다 하더라도 영웅이 보유한 오라 스킬 중에선 타우렌 치프틴의 인듀어런스 오라와 함께 유닛의 화력을 직접적으로 강화시키는 유이한 오라고, 단순 화력 강화치는 가장 높아 원거리 유닛이 주로 쓰이는 나나전에서는 사실상 필수 스킬이나 다름없고, 곰드라 체제에서도 프문(본인), 나가 씨 위치(세컨), 드리아드 등 일부 원거리 유닛들의 공격력을 올려줘서 화력에 보탬이 되는 만큼 타 종족전에서도 프문이 서드로 기용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는 스킬이다.

팀전이며 언데드와 같은 팀이면 무조건 선스킬로 찍는다. 핀드, 가고일, 디스(옵시도 포함), 템플유닛, 고기차, 프웜이 원거리 유닛이라 적용되며 언데드는 3티어 가서 세컨을 리치를 기용하며 커옵끼고 핀헌 체제로 밀어붙이는 그림이 나오고 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사격 사냥꾼의 기술로 등장하고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도 티란데의 1레벨 특성으로 등장한다. 원거리 공격력만 올려주던 원작과 달리 근접 공격력 또한 올려주기에 대우가 훨씬 좋은편.

5.5. 스타폴/별똥별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starfall.gif 레벨 효과
1 하늘에서 유성을 떨어뜨려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 주위의 모든 적에게 1.5초마다 60의 피해를 지속적으로 입힙니다.
쿨타임 120초 마나 소모량 200
효과 범위 1000 지속 시간 30초
특징 1. 건물 상대로는 피해량이 35%으로 감소한다.
2. 시전 중에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이 움직이거나 기절, 변이 등의 상태이상에 걸릴 경우 스킬 자체가 취소된다.
설명 달의 여사제가 축적한 경험의 정점인 이 능력은 적들을 대량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엄청난 별들의 소나기를 부를 수 있습니다. 엘룬이 달의 여사제에게 부여한 이 재앙과도 같은 능력은 마법이 행해지는 지역 주변에 달의 여사제가 계속 머무르면 지속적으로 효과를 냅니다.

사용 시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을 중심으로 범위 내의 모든 적에게 유성이 떨어지는데 30초 동안 60의 피해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므로 빠르게 범위 밖으로 나가거나 스킬을 취소시키지 못하면 병력이 증발하는 걸 볼 수 있을 정도로 막강한 위력을 발휘한다. 물론 이때 프문은 완전히 무방비 상태가 되므로 잘 지켜줘야한다. 끝까지 명중하면 유닛 숫자에 관계없이 주변 모든 유닛에게 약 1200의 대미지를 준다. 즉, 적 유닛이 많으면 많을수록 DPS도 압도적으로 급상승한다는 얘기. 따라서 모든 대미지를 우겨넣을 수만 있다면 이론상 최고의 사기 스킬이 된다. 하지만 채널링 스킬이라 취소당하기 쉽고 건물 상대로는 피해량이 35%으로 감소하여 테러용으로는 효율이 떨어진다. 물론 건물에게 데미지 감소폭이 크지 않았다면 테러용으로 순식간에 본진 건물들, 최소한 밥집은 죄다 날려버리는 기술이 되었겠지만..[21]

위력은 좋은 궁극기지만 궁극기도 더 좋으면서 다른 기술들도 더 좋은 영웅이 있는 관계로 이걸 노리고 선영웅을 프문으로 뽑지는 않는다. 3:3 팀플과 같은 경우에는 스타일에 따라 선프문이 나오는 때가 은근히 있는데 게임이 후반까지 가는 경우 등장하는 경우가 잦다. 이런 경우 상기했듯이 유닛의 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효과가 증폭되는 궁극기라 위치만 잘 잡으면... 뭐... 대신 상대가 마킹, 키퍼, 쉐헌, 탈론의 사이클론 등으로 취소시켜 버리면 그런거 없다. 아이템이긴 하지만 좋은 예시

이 기술의 위대함을 보고 싶다면 장재호와 장용석의 경기를 찾아볼 것. 3번씩이나 펼쳐지는 동시 스타폴이 예술이다. 이 경기는 원사운드만화로도 그렸다.# 참고로 결과는 3번째 스타폴이 끝난 후 서로가 프문을 집중 공격하던 중 장용석이 무적포션 빨고 닥돌해 장재호의 프리를 눕히고 승리. 워3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유명한 나나전 중 하나다. #1#2#3#4

1.36.2 패치에서 데미지가 50에서 60으로 버프를 먹은 대신 지속시간이 45초에서 30초로 1/3가량 줄었다. 총 피해량은 1500에서 1200으로 대폭 너프가 되었지만 이걸 45초동안 다 맞아줄리 없고, 채널링을 끝까지 유지한다 해도 남은 15초간은 프문이 다른 행동을 할 수 있어 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베타 시절에는 지정 범위 기술이었지만 정식 발매 후에는 프문 근처의 적들에게 모조리 퍼붓는 형태로 변경됐다. 12년 가량 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티란데의 지정 범위 기술로 다시금 선보이게 됐다.

이펙트가 매우 화려하다. 워크래프트 3 특유의 3D 그래픽으로 인해 화면 앞에서 나오는 듯한 커다란 유성이 수없이 떨어지는 광경을 보면 정말 궁극기다운 이펙트라는 생각이 든다. 다른 영웅도 궁극기는 대체로 괜찮은 이펙트를 넣어주는 편이지만[22] 스타폴은 유난히 이펙트가 예쁜 편이다. 별똥별이 달샘에 낙하하는 순간도 꽤 예쁘다.

6. 장점

  • 초반 올인성 압박에 강함(선영웅)
    나엘의 1티어 유닛들은 모두 트루샷 오라의 적용을 받는 이점을 가진다. 아처는 인구수 대비 화력이 매우 높은데, 여기에 트루샷 오라까지 더해지면 게임 시작부터 공1업을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헌트리스와도 궁합이 좋은데, 투워 헌트리스 전략 시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의 트루샷 오라가 헌트리스의 낮은 공격력을 커버해주는데다가 프문 본인도 기동성이 빠른 덕에 초반에 찌를 타이밍을 잡기가 수월하다. 원거리 영웅인데다가 시어링이 크립에는 화력이 강력해서 운이 좋으면 경험치 스틸도 노려볼 수 있다. 1티어부터 글레이브 쓰로워라는 공성 병기가 나올 수 있다는 것도 나엘이 할 수 있는 날빌의 장점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초반 프로텍터 올인 전략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인다.
  • 대부분의 상황에서 무난한 서드 영웅(휴먼전 및 언데드전)
    서드 영웅은 선영웅이나 세컨영웅에 비하면 레벨이 낮을 수밖에 없어서 성장성보다는 주로 유틸성과 생존력을 보고 뽑게 되는데 이런 면에서 프문은 쓸만한 성능을 보여준다. 우선 원거리 영웅치고는 괜찮은 맷집에[23] 맹독 오브를 껴주면 원거리 공격으로 누적딜도 나쁘지 않게 해주면서 후방에 위치하는 만큼 관리하기도 편하고, 주요 조합인 곰드라 체제에선 트루샷 오라로 일부 원거리 유닛들[24]의 공격력을 올려줘서 화력에도 보탬이 되는 데다, 스카웃으로 은신 효과[25]를 무력화하거나 보존 스태프로 가장 중요한 선영웅이나 세컨영웅을 살려내기도 하는 등 전투에서 1인분은 충분히 해줄 수 있으며, 성장력이 낮다는 단점도 3레벨을 찍을까말까한 서드 영웅의 특성상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2025년 기준으로 1:1 래더 및 대회에서 휴먼이나 언데드를 상대할 때 서드 영웅으로 기용되는 경우가 꽤 늘어났다.
  • 다대다 최강의 궁극기
    스타폴은 DPS 자체는 초당 40으로 높다고 볼 수 없지만 지속시간이 30초로 길고 반경이 공성 병기의 최대 사거리(1150)보다 조금 짧은 수준인 1000으로 매우 넓은데다, 쿨다운도 120초로 짧은 편이다. 여기에 워크래프트 3의 광역 스킬에 으레 달려있는 피해량 제한같은 것도 없어서 채널링 스킬이라 취소당하기 쉽다는 단점은 있어도 아군이 프문을 잘 보호해주거나 상대의 병력 구성이 채널링을 끊을 수 없거나 그럴 수단이 쿨타임이 있는 영웅의 스킬에만 의존하는 구성이라면 다대다 싸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상대 유닛이 많을수록 총 피해량이 증가하는 구조라 상대 병력 구성이 체력 낮은 저티어 유닛이 대량으로 편성되어있을 때 특히 효과적이다.

7. 단점

  • 원거리 유닛이 강제됨
    프문의 핵심 스킬인 트루샷 오라는 원거리 유닛에게만 적용되므로 투워 헌트리스, 땡아처 같은 전략을 사용할 때나 큰 효과를 본다. 물론 주력 딜러가 근접 유닛인 곰드라 체제에서도 세컨이 나가 씨 위치(원거리 영웅)일 땐 서드 프문이 꽤 나오지만 아무래도 원거리 조합인 투워 헌트리스나 땡아처와 함께 다닐 때에 비하면 효과가 떨어지는 건 사실이다. 특히 종족 내에 상대적으로 튼튼한 헌트리스를 제외하면 트루샷 오라를 제대로 활용할만한 유닛이 없다는 것도 문제인데 1티어 유닛인 아처와 글레이브 스로워는 앞에서 버텨줄 탱커가 필요해서 쓰기 어렵고, 2티어 유닛인 드라이어드, 드루이드 오브 탈론, 페어리 드래곤은 패시브 스킬이나 특수 능력이 유용한 대신 공격력 자체는 애매하고, 그나마 강력한 키메라는 3티어에서 키메라 루스트까지 만들어야 나온다. 당장에 유닛인 코도 비스트의 워 드럼 오라(10~20%)나, 같은 종족 유닛인 드루이드 오브 클러의 로어(25%)가 근거리 원거리 상관없이 공격력을 올려준다는 걸 생각해보자. 그래서 워 유닛이 주력이 되는 빌드에서도 프문이 선으로 나오는 것은 나나전에서나 그렇고 타 종족전에선 대부분 서드로 나오게 된다.
  •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스킬 구조와 능력치
    궁극기 이외의 기술 셋 가운데 전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소환수를 불러낼 수 있는 것도 없고, 적 다수를 약화시키거나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것도 없고, 적 유닛 하나에게 강력한 피해를 즉시 입히는 것도 없다. 더군다나 능력치도 좋은 편이 아니라, 맷집이 튼튼한 것도 아니고 공격력이 높은 것도 아니다. 이 말인즉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 혼자서는 적 견제, 사냥, 유닛 잘라먹기, 지어지고 있거나 지어진 건물 파괴 등을 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일반 기술 셋이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처럼 이런저런 제약이 많은 건 데몬 헌터나 블레이드마스터도 비슷하지만, 이 둘은 능력치가 뛰어나서 혼자 던져 놓아도 영웅이라는 이름 값을 한다. 그나마 6레벨이 되어 궁극기를 찍으면 스타폴 견제가 상당히 강력하지만[26], 매 게임마다 6레벨을 찍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는 게 문제다. 거기다 스텟 총합도 전 영웅 중에 낮은 편이면서도 민첩영웅 주제에 지능 상승폭이 가장 높은데, 정작 민첩영웅 치고 높은 편인 지능은 마나를 사용하는 일반 스킬들이 구려서 시너지 효과도 안 난다. 프문은 구린 스킬로 평타 화력 밖에 지원해 줄게 없는 영웅인데, 원거리 민첩영웅이라 데몬, 블마, 워든 처럼 데미지 보너스도 받지 못했고, 공속도 느리며 민첩 상승폭도 낮아 스텟상으로는 평타 화력 성장성도 볼게 없다.
  • 아이템 빨을 가장 못 받는 영웅
    민첩 영웅인 만큼 힘을 올려주는 아이템은 당연히 효율이 낮고, 몸빵을 하는 근거리 영웅이 아니므로 체력/방어력을 올려주는 아이템도 효율이 나쁘다. 마나/지능에 관련 된 아이템도 다른 영웅과 달리 스킬을 쿨마다 시전할 이유가 전혀 없으므로 마찬가지로 효율이 나쁘다. 더군다나, 이 게임에서 소비 마스크나 마기 로브 같은 마나/지능 관련 아이템의 효과를 크게 못 보는 영웅은 블마, 데몬, 프문 딱 셋밖에 없다. 셋 다 민첩 영웅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워든, 섀도 헌터, 파이어 로드 같은 다른 민첩 영웅들은 지능이 붙은 아이템이 무척 유용하기 때문에 민첩 영웅이라 지능템과 궁합이 나쁘다는 것은 변명거리가 못 된다. 또한 프문을 제외한 나머지 두 민첩 영웅은 공격력/공속/민첩 관련 아이템을 먹게 되면 효율이 미쳐 날뛰는데, 그렇다고 프문에게 민첩 관련 아이템을 몰아줘도 기본 공속이 느리고 크리티컬 같은 패시브도 없는지라 큰 활약은 기대하지 못한다. 민첩성은 방어력에도 관여를 하므로 차라리 민첩템을 잘 가지고 있다가 데몬에게 양도하는 게 공방 양면에서 몇 배는 효율이 좋다. 오죽하면 반쯤 농담으로 프문은 어택 클러나 민첩템보다 체력을 올려주는 힘템이나 바이탈이 더 낫다는 소리가 있는데, 사실 아주 틀린 말이 아닌 게 한타에서 단 몇 초라도 트루샷 효과를 더 지속시킬 수 있게 해주는 방템이 프문의 별볼일 없는 평타를 강화시켜주는 딜템보다 나을 수 있기 때문. 선영웅이라면 모를까 확실히 서드 프문에겐 그 쪽이 낫다. 물론 시어링을 3렙까지 찍으면 프문의 평타도 매우 아프게 변하지만 시어링을 찍게 된다면 나엘의 자랑인 베놈 오브와의 궁합이 최악이 되므로 여러 아이템군에 걸쳐 두루두루 친숙하지 않은 영웅이라고 볼 수 있다. 유저들이 프문을 인벤칸이 기본적으로 달린 코도로 취급하는 만큼 오라 관련 템을 먹게 된다면 대부분 프문이 들고다니게 된다.
  • 트루샷 오라를 제외하고 애매한 성능을 가진 일반 기술들로 인한 낮은 성장력
    다른 영웅들은 스킬 선택에 있어서 어떤게 더 좋은 스킬일지 최선의 선택지를 찍는다고 한다면 프문은 차악의 선택지를 뽑는 수준인데, 이런 모순이 생기는 이유는 사실 프문의 일반 스킬들 중 프문이 1/3/5레벨에 반드시 찍도록 고정돼있는 트루샷 오라를 제외하고 나머지 두 일반 스킬 중 2레벨 이상 투자를 해서 큰 기대값을 볼 수 있는 괜찮은 성능의 스킬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영웅들도 물론 잉여 스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 스킬이 2개씩이나 잉여취급 받는 영웅은 달리 없으며, 당장 같은 종족인 데몬 헌터의 마나 번이나 워든의 블링크가 스킬 레벨이 오르면 오를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성능이 좋아지는 것과 비교해보면 초라하기 그지없다.
    • 스카웃 : 모든 레벨에서 마나 소모량이 50으로 고정되는 상향을 받은 후로는 서드 프문에게 트루샷 오라 다음으로 유용한 스킬이 되었으나 문제는 2레벨 이상 찍을 이유가 없다는 것. 1레벨만 찍어도 60초 동안 지속되므로 은신 효과를 무력화하거나 상대를 스토킹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보니 더 찍을만한 가치가 없다. 그럼에도 서드 프문이 4레벨을 찍었을 때 2레벨 스카웃을 배우는 이유는 시어링 애로우는 아예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 시어링 애로우 : 유사한 토글형 스킬(프로스트 애로우, 블랙 애로우, 인시너레이트)들 중 가장 성능이 나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다른 부가 기능이 달린 다른 기술들과 달리 공격력이 높아지는 데에서 그치기 때문이다. 아무런 부가 효과도 없는 대신 공격력 증가량 자체는 가장 높지만 적을 느리게 만들거나 소환수를 일으키거나 하는 쪽이 이득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다른 영웅의 기술 중에도 큰 피해를 즉시 꽂아넣는 것도 얼마든지 많다. 더군다나 프문은 주로 맹독 오브를 끼고 평타를 날리는데 평타 토글형 스킬은 오브 효과와 중첩이 되지 않다 보니 사실상 찍는 것 자체가 손해다. 같은 평타 토글형 스킬을 가졌지만 프로스트 애로우의 성능이 너무 좋아서 오브를 끼지 않는 나가 씨 위치와는 정 반대의 상황인 것. 심지어 주문 피해 판정이면서 물리 피해 판정이라 방어력에 피해가 감소하고 영웅 방어 유형의 주문 피해 감소에 또 피해가 감소하기까지 하는데 그러면서 트루샷 오라 등의 피해량 증가 버프는 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구조를 가져서 표기상 피해량이 암만 높아봐야 다른 공격 스킬에 비하면 위력이 한참 처진다.[27] 이 점은 전술한 토글형 스킬들도 공유하는 단점이지만 시어링 애로우는 오직 딜밖에 없어서 더 부각되는 단점이다.
  • 초반 올인성 전략 외에는 쓸모가 없음(선영웅)
    위에서 장점이었지만 단점이기도 한 부분으로 선프문은 영웅 특성상 올인성 전략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는 명확한 한계가 있다. 성장력이 낮아서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스럽게 약해지다 보니 초반에 게임을 끝내지 못하면 패배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설령 상대방에게 큰 피해를 줬어도 끝내지 못했다면 역전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프문은 상대방의 유닛이나 영웅을 제어할 수단 자체가 없어서 데몬, 블마, 데나 같은 영웅들의 레벨이 올라가면 유리한 상황에서도 어이없게 밀릴 수 있기 때문. 그리고 선프문이라는 걸 확인한 순간 올인이라는 걸 당연히 눈치챌 수 있기에 그냥 막을 준비해놓으면 그만이라 초반에 정찰만 하면 막기도 어렵지 않다. 심지어 똑같이 초반 올인을 할 거면 디스펠 수단이 부족하거나 없는 초반에는 일반 유닛에겐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인탱글 덕분에 끊어먹기가 강력하고 트렌트 덕분에 초반 사냥도 안정적인 키퍼가 더 효과적으로 주도권을 쥘 수 있다. 어차피 선프문은 올인을 하지 않으면 알아서 썩어버리는 유통기한 전략이라 급한 건 선프문을 뽑은 나엘 쪽이다. 이런 이유로 2025년 기준 대회에서 선프문 올인은 나나전에서조차 잘 나오지 않으며 나오더라도 대부분 데몬의 체급에 밀려서 패배하는 경우가 더 많다.

8. 수집품, 캠페인 스킨

9. 기타

파일:external/www.scrollsoflore.com/102.jpg
  • 베타 때는 비행 영웅이었다. 이때는 파시어도 비행 영웅이었다.
  • 소설 《스톰레이지》에 의하면, 최초의 달의 여사제는 어렸을 때 엘룬의 목소리를 들었다던 대여사제 하이덴이라고 한다. 다르나서스 달의 신전 연못에 있는 접시를 든 석상의 정체도 하이덴이다. 캠페인에 등장하는 네임드로는 모든 달의 여사제들의 수장인 대여사제 티란데 위스퍼윈드가 있다.
  • 처음 워크래프트 3가 개발중이었을 때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의 궁극기는 Twilight(황혼)이라는 기술이었는데 효과가 낮과 밤을 서로 바꾸는 것이었다. 다행이다.
  • 유닛 아이콘이 호랑이 얼굴인 데다 유닛 초상화도 호랑이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지라, 사실 프리스티스 오브 더 문은 호랑이고 위에 탄 나이트 엘프는 그냥 아처(또는 장식물)이라는 농담이 있다. 실제로 위에 탄 나이트 엘프는 모델링도 심히 볼품없다. 이는 이후 AOS에서 비슷한 생김새의 캐릭터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널리 쓰이는 드립이 되었는데, 연원을 생각해보면 프문이 원조랄 수 있겠다. 처음 보고 "호랑이 아줌마"인줄 알았었던 사람도 있었다. 18년이라는 시간이 지나 리포지드에서는 개선이 돼서 초상화가 호랑이가 아닌 나이트 엘프에 초점을 맞춰져있다. 하지만 여전히 아이콘은 호랑이. 단, 네임드 프문인 티란데는 주인공 답게 아이콘 또한 본인의 얼굴이여서 사뭇 다른 대우를 받고 있다.
  • 여성임에도 목소리가 어지간한 남성들보다 우렁차고 씩씩하고 보이시하다. 저음이기까지 해서 얼핏 들으면 이게 여성의 목소리인가 싶기도. 켐페인 영웅 티란데는 차분하고 허스키한 저음이다.
  • 2000년대 중반, 트루샷(Trueshot)은 뚫흙샷이라 불렸다.
  • 나나전에서 선프문은 선데몬의 하드카운터였다.

10.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다르나서스 소속의 사제에 해당한다. 그런데 본디 달의 여사제들이 무예와 전투에도 능한 여전사들이라는 설정인 반면, WoW 사제의 콘셉트와 역할은 힐러 및 캐스터라 워크래프트 3의 프문과는 닮은 점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며, 사용하는 기술 상으로도 그다지 관련이 없다. 과거 '별 조각'이라는 나이트 엘프 사제의 고유 기술이 있긴 했지만 이마저도 종족별 평준화를 위해 삭제되었다.

결국 프문의 스킬은 사제가 가지지 못하고 다른 직업이 가져가게 되었는데, 정조준 오라(트루샷 오라)는 사격 사냥꾼의 특성이 되었고 별똥별은 조화 드루이드의 스킬이 되었다.
파일:external/wow.zamimg.com/462469-moon-priestess-amara.jpg
돌라나르의 달의 여사제 아마라
NPC로도 구현되었다. 나이트 엘프의 수장인 티란데 위스퍼윈드가 대표적이며[28] 그 외 텔드랏실 퀘스트 도중 돌라나르와 다르나서스를 잇는 길에서 호랑이를 탄 달의 여사제를 볼 수 있다. 대격변 이전에는 이 길 사이로 순찰을 다녔고 적대적 NPC가 근처로 오면 워 3의 대사를 그대로 옮겨온 "밤의 전사들이여, 집결하라!(Warriors of the night, Assemble!)"라는 음성과 함께 공격한다. 그런데 기마 전투가 구현되어 있지 않았던 와우의 한계 때문에 탈것에서 내려서 공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스트라솔름 후문 최종보스인 남작 리븐데어낙스라마스 군사 지구 네임드인 4인 기사단이 말을 탄 모습 그대로를 하나의 3D 모델로 구현하여 마상 전투를 벌이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 드레노어의 전쟁군주에서도 드레노어에 소수의 달의 여사제 NPC가 등장한다.

설정집 어둠땅과 그 너머의 고서에 따르면 나이트 엘프족의 장의사 역할을 이들이 맡고 있다.

11.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호랑이에서 내린 티란데가 참전한다. 포지션은 원거리 지원가지만 기본 공격속도가 빠르고 사거리가 길어 서브 원거리 딜러 역할까지 겸한다. 선택하는 특성에 따라서 메인 딜러만큼 높은 데미지 딜링을 기여할 수도 있다. 프문의 특징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제라고 하지만 아군을 치유해주는 기술이라곤 눈꼽만큼도 없던 원작과 달리 엘룬의 빛(Q)이라는 스킬로 아군을 치유하며, 원작에서 올빼미를 날려서 시야를 확보하던 스카웃이 파수(W)로 구현되었으며, 트루샷 오라는 4레벨 특성으로 정조준 오라로 구현 되었고, 궁극기인 스타폴 역시 두번째 궁극기 별똥별(R2)로 구현되었다. 시어링 애로우도 4레벨 특성 불타는 화살로 존재했었으나 삭제 되었다.

후에 탈 것으로 호랑이가 추가되어 원본과 같은 하얀 호랑이를 타고 다닐 수 있게 되었다.

[1] 울트라 비전 업그레이드 시.[2] 모든 나이트 엘프의 유닛, 영웅과 에인션트는 밤에만 체력을 회복하는데, 나이트 엘프 영웅은 힘 능력치가 체력 회복력을 추가해주므로 밤이 아니라도 체력이 회복된다. 밤이 되면 나이트 엘프 영웅은 힘 능력치로 인한 체력 회복 + 밤으로 인한 체력 회복이 합쳐져 더 빠른 속도로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기계 유닛인 수리검 투척기는 제외.)[3] WOW 클래식 디스커버리 시즌에서 NPC로 추가됐다. 잿빛골짜기 전투에서 얼라이언스측 수장으로 등장.[4] 달에 얻어맞는다는 뜻도 되지만, 사랑에 빠진다는 뜻도 있는 단어이다.[5] 고양이는 공중에 내던져져도 항상 네 발로 안착한다는 것에서 유래한 대사.[6] 콘푸로스트호랑이 마스코트 캐릭터 토니의 대사와, 고양이과 짐승의 골골송(Grrr)을 이용한 말장난이다.[7] "내 호랑이는 지그프리드 앤 로이 쇼에 쓰인 적이 있지". 백호와 백사자를 대동하고 다닌 것으로 유명한 마술사 듀오 'Siegfried & Roy'에서 따 왔다. 이 팀의 로이 혼은 2003년 '만티코어'라는 이름의 백호에 물려 큰 부상을 당하는 사고를 겪었다.[8] '나무가 숲 속에서 쓰러지면 (그리고 아무도 그 소릴 못 들으면), 그게 소리가 난 건가?'라는 철학적 화두를 살짝 비튼 것.[9] 파시어가 2.28, 아크메이지가 2.13, 리치가 1.9인데 반해 달의 여사제는 2.33이다. 워3에서 기본 공격 속도는 몇초에 한번 공격하냐를 의미하기 때문에 숫자가 낮을 수록 좋고 결과는 보다시피….[10] 레벨업당 힘 1.9/민첩 1.5/지능 2.6 상승[11] 민첩에 방어력 상승을 붙여줬기 때문에 민첩 증가만으로 공격 속도 증가와 방어력 증가 두마리의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어서 그렇다.[12] 레벨업당 민첩 상승량이 제일 높은 블레이드 마스터인데 이놈이 레벨당 1.75씩 상승한다.[13] 제일 느린 영웅은 알캐미스트, 그 다음은 다크 레인저다. 원래 프문이 다크 레인저 보다 공속이 미세하게(0.04초) 느려서 1.29패치 이전에는 알캐미스트 다음이 프문이였다.[14] 늑대는 기본적으로 이속이 빠른 편이라 정찰이 수월한데다 3레벨 늑대부터는 아예 은신이다. 파 시어가 없는 오크는 그럼 어쩌냐고 할 수도 있지만 파 시어를 안 쓰는 오크의 선영웅은 최강의 기동성을 가진 블마고, 설령 그 모든 카드가 봉쇄되었다 한들 기동성 좋은 레이더 하나 빼서 보내거나 연구소에서 돈 조금 내고 리빌로 정찰하면 그만이다. 예를 들어 파 시어와 프문이 고렙이 되었을 때를 가정하면 파 사이트는 후반에도 쓸 수 있지만 프문은 7레벨이 되어도 스카웃을 찍을 수밖에 없고 8레벨에 시어링을 찍어봤자 독오브에 밀린다.[15] 반대로 워든의 팬 오브 나이프와 쉐도우 스트라이크의 첫 타격은 스킬이에도 물리 판정과 물리 피해로 들어간다.[16] 근접 영웅이 오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공중 공격을 하게 되면 투사체를 날리기 때문에 원거리 공격 판정을 받는다.[17] 특히 공성병기인 글레이브 스로워도 적용되며 드라이어드를 저격하기 위해 나온 적이 있었다. 단 영웅은 키퍼도 있어야 하므로 논외.[18] 나엘에서 트루샷 오라 효과를 받지 않는 유닛은 데몬 헌터, 워든, 클러, 히포그리프, 마운틴 자이언트가 있다.[19] 메타몰포시스 상태의 데몬 헌터는 원거리 공격을 하기 때문에 트루샷 오라 효과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시너지를 보려고 데몬과 프문을 조합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20] 블마의 공격력을 올리는게 얼마나 중요한 지는 말 할 필요도 없고 선파시어를 쓰더라도 트롤 버서커에게도 코도는 핵심 유닛이기 때문에 오크가 포트업 할 경우 반드시 워 드럼 강화는 찍는다.[21] 비마의 스탬피드나 파이어로드의 볼케이노 등 이러한 기술들은 대개 채널링이다.[22] 팔라딘 레저렉션의 경우 거대한 천사가 허공에 솟아나는 식이다.[23] 1레벨 체력이 550으로 원거리 영웅 중에선 혈법사, 어둠 순찰자와 체력이 공동 1위이며 10레벨 체력은 어둠 순찰자와 공동 2위다. 명색이 민첩 영웅이라 방어력도 혈법사보다 높은 건 덤이다.[24] 프문(본인), 나가 씨 위치(세컨), 드리아드 등[25] 소서리스의 인비저빌리티, 크립트 핀드의 버로우 등[26] 건물 대상 피해량은 35%로 감소해 풀딜을 넣어도 밥집 하나 못 부수지만 일꾼 학살에 제격이다. 특히 일꾼 보호 수단이 빈약한 휴먼이나 언데드는 대처를 잘못 하면 해당 자원 지대가 한동안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27] 3레벨 시어링의 피해량이 48이고 3레벨 홀리 라이트/데스 코일의 피해량이 300인데, 프문의 느려터진 공속으로 평타 6번을 쳐도 표기상 피해량이 쿨 5.5초~6초짜리 홀리 라이트/데스 코일보다 낮은데 이게 방어력에 또 깎인다. 심지어 홀리 라이트/데스 코일은 피해량의 2배만큼 아군을 회복시킬 수도 있다.[28] 호랑이는 타고 있지 않지만 적대 진영이 공격하면 워3 시절처럼 별똥별을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