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7:36:25

프랑키 페르카우테런

프랑키 페르카우테런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6대
클럽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

102대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34대
}}} ||
Équipe de Belgique de football
파일:18776451.jpg
<colbgcolor=#E52B2E> 이름 프랑키 페르카우테런
Franky Vercauteren
본명 프랑수아 페르카우테런
François Vercauteren
출생 1956년 10월 28일 ([age(1956-10-28)]세)
벨기에 브뤼셀 신트얀스몰렌베이크
국적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74cm
직업 축구 선수(윙어 / 은퇴)
축구 감독
축구 행정가
소속 <colbgcolor=#E52B2E> 선수 RSC 안데를레흐트 (1975~1987)
FC 낭트 (1987~1990)
낭트 B (1987~1990)
RWD 몰렌베이크 (1990~1993)
감독 CS 브헨느 (1993~1994 / 유스)
KV 메헬렌 (1994~1997 / 유스)
KV 메헬렌 (1997~1998)
RSC 안데를레흐트 (1998 / 수석 코치)
RSC 안데를레흐트 (1998~1999 / 임시 감독)
RSC 안데를레흐트 (1999~2005 / 수석 코치)
RSC 안데를레흐트 (2005~2007)
벨기에 대표팀 (2009 / 감독 대행)
KRC 헹크 (2009~2011)
알 자지라 FC (2011~2012)
스포르팅 CP (2012~2013)
KV 메헬렌 (2014)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14~2016)
세르클러 브뤼허 KSV (2017~2018)
알 바틴 FC (2018)
OH 뢰번 (2019 / 고문)
RSC 안데를레흐트 (2019~2020)
로열 앤트워프 FC (2021)
기타 벨기에 대표팀 (2023~ / 단장)
국가대표 63경기 9골 (1977~1988 / 벨기에)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지도자 경력5. 수상 내역
5.1. 선수
5.1.1. 클럽5.1.2. 대표팀5.1.3. 개인 수상
5.2. 감독
5.2.1. 클럽5.2.2. 개인 수상
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벨기에의 前 축구 선수. '어린 왕자'라는 별명을 지녔던 선수로 80년대 초중반을 호령한 벨기에산 특급 윙어였다.

2. 클럽 경력

파일:F.Vercauteren_Anderlect_1.jpg

1975년, 페르카우테런은 안데를레흐트 소속으로 KRC 메헬렌과의 경기를 통해 프로에 데뷔했다. 이후 12년간 팀에서 활약하면서 5개의 유럽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번의 벨기에 컵 우승, 4번의 벨기에 리그 우승, 벨기에 슈퍼컵 우승을 2번을 거머쥐며 팀의 최전성기를 함께 했다.[1]

1987년에 그는 프랑스의 낭트에 합류했고, 리그 앙에서 두 시즌은 가장 많은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핵심 윙어로 활약했다. 그리고 1990년에 벨기에로 돌아와 몰렌베르크에 입단했고 1993년까지 뛰었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F.Vercauteren_National_1.jpg

1977년 10월 16일, 북아일랜드전을 통해 국가대표 데뷔를 했다. 이후 벨기에 대표팀 소속으로 2차례 월드컵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여했다. 1982 FIFA 월드컵에서는 개막전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후반 17분에 좌측면에서 기가막힌 롱패스로 판던베르흐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며 디펜딩챔피언을 격침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고, 1986 FIFA 월드컵에서는 4위를 달성하는데 기여했다.

4. 지도자 경력

파일:F.Vercauteren_Antwerp.jpg

은퇴 후, 페르카우테런은 브라방-왈롱 주 연고의 CS 브렌 유스 팀 감독이 되었다. 1년 후, 그는 메헬렌과 계약하며 유스 팀을 지도하다가 1997-98 시즌부터 1군 감독이 되었다. 시즌 종료 후, 그는 친정 구단 안데를레흐트의 수석 코치가 되었다. 그는 전 감독인 장 도크스를 1998-99 시즌에 보좌했고, 그가 성적 부진으로 물러나자(안데를레흐트는 시즌 초에 리그 최하위인 18위까지 뒤쳐졌었다) 이후에 아리 한 감독을 보좌했다.

이후 안데를레흐트는 에메 앙튀앙니 감독을 선임했고, 페르카우테런은 또다시 다른 감독을 보좌했다. 앙튀앙니의 후임인 휴고 브로스가 2005년 2월에 해임된 후, 페르카우테런이 후임 감독으로 취임해 벨기에 1부 리그를 2회 우승했다. 2007년 11월 12일, 성적 부진과 형편 없는 활약으로 페르카우테런은 안데를레흐트와 결별했고, 수석 코치였던 아리엘 야콥스가 시즌 말까지 사령탑을 맡았다.

2009년 4월 9일부터 페르카우테런은 벨기에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대행했고, 2009년 9월 9일에 벨기에가 아르메니아에게 패하자 사퇴했다. 그의 후임으로 네덜란드 출신 감독인 딕 아드보카트가 취임했다.

2009년 12월 3일, 페르카우테런은 헹크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1년 5월 17일, 그는 스탕다르 리에주와 원정 경기에서 1-1로 비기며 2010-11 시즌 리그 우승을 자축했다. 그는 같은 해 벨기에 슈퍼컵을 우승했고, 예선 플레이오프전을 거쳐 2011-12 시즌 챔피언스 리그 본선행에 성공했다.

2011년 8월 8일, 페르카우테런은 아랍에미리트의 알 자지라와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부진한 성적과 선수와의 불화로 인해 2012년 3월 11일, 알 자지라는 페르카우테런과 결별을 발표했다.

페르카우테런은 2012년 11월에 스포르팅 리스본의 감독이 되었지만, 2달 만에 단 2승에 그치면서 해임되었다.

페르카우테런은 2014년 여름에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강등된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의 감독이 되었다. 크릴리야 소베토프는 페르카우테런 감독의 지휘 하에 러시아 축구 전국 리그를 우승하고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다.

2018년, 페르카우테런은 세르클러 브뤼허의 벨기에 1부 리그 A 승격을 이룩했다. 그는 이후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바틴과 계약했다.

2019년 10월 3일, 페르카우테런은 안데를레흐트에 복귀했다. 그러다 2020년 8월 17일, 페르카우테런은 뱅상 콩파니가 현역에서 은퇴하고 지도자의 길을 걷기로 결정하면서 구단을 떠났다.

2021년까지 프로팀[2]에서 감독직을 수행하였던 페르카우테런은 2023년 2월 8일, 벨기에 왕립 축구 협회에서 스포츠 디렉터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며 현재까지도 협회에서 대표팀에 대한 업무를 수행 하고 있다.

여담으로 도메니코 테데스코 감독이 취임할 당시, 가장 적극적으로 반겨준 인물이 바로 페르카우테런이었다.

5. 수상 내역

5.1. 선수

5.1.1. 클럽

  • RSC 안데를레흐트 (1975~1987)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 1980–81, 1984–85, 1985–86, 1986–87
    • 벨기에 컵: 1975–76
    • 벨기에 슈퍼컵: 1985, 1987
    • UEFA 컵 위너스컵: 1975–76 (우승), 1976–77 (준우승), 1977–78 (우승)
    • 유러피언 슈퍼컵: 1976, 1978
    • 암스테르담 토너먼트: 1976
    • 파리 토너먼트: 1977
    • 쥘 파파 컵: 1977, 1983, 1985
    • 벨기에 국민 스포츠 공로상: 1978
    • 브뤼허 마틴스[3]: 1985

5.1.2. 대표팀

5.1.3. 개인 수상

  • 벨기에 골든 슈: 1983
  • 발롱도르 노미네이트: 1983

5.2. 감독

5.2.1. 클럽

5.2.2. 개인 수상

  • 벨기에 올해의 감독: 2010-11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064893,#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42년 ~ 현재
미상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1대
노비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대
아브라모프
파일:소련 국기.svg
3대
부르미스트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4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5대
아브라모프
파일:소련 국기.svg
6대
카르포프
파일:소련 국기.svg
7대
글레보프
파일:소련 국기.svg
8대
블린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9대
키르시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굴렙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키르시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표도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자먀틴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스트렐초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사리체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대행)
판필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루카셴코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안티호비치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19대
보그다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0대(대행)
키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21대
아베리야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2대
타르하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3대
가지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4대
오보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25대
타르하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6대
슬루츠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27대
가자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8대
타르하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9대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0대(대행)
치간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1대
가지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2대
치간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3대(대행)
쿠흘렙스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34대
페르카우테런
파일:벨기에 국기.svg
35대
스크립첸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36대
티호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대행)
쿠흘렙스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38대
보조비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39대(대행)
찰로브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40대
탈랄라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1대
오신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 ||

[1] 하지만, 1978-79 시즌은 선수 본인에게는 조금(?) 웃픈 시즌이었다. 이유는 이 시절 팀을 지휘하고 있었던 감독인 레몽 후탈스가 꾸준히 그를 기용하며 그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었는데, 문제는 그가 부진한 상황에서도 감독이 계속해서 그를 주전으로 내보내었고 이를 지켜본 나머지 선수들이 감독에게 반기를 들며 팀 분위기를 어수선하게 만들었다는 것 이었다. 이로 인해 페르카우테런은 "후탈스의 아들" '후'병철의 양아들 이라는 불명예스런 별명을 얻었고, 감독도 역시 이 해에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며 감독직에서 물러났다.[2] 로열 앤트워프 FC[3] 클뤼프 브뤼허가 주최하는 친선 토너먼트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