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28 16:41:09

풍요

향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colbgcolor=#87CEFA><colcolor=#000> 삼국유사 수록
4구체 향가 도솔가 · 서동요 · 풍요 · 헌화가
8구체 향가 모죽지랑가 · 처용가
10구체 향가 도천수관음가 · 안민가 · 우적가 · 원가 · 원왕생가 · 제망매가 · 찬기파랑가 · 혜성가
균여전 수록
10구체 향가 보현십원가(광수공양가 · 보개회향가 · 상수불학가 · 수희공덕가 · 예경제불가 · 참회업장가 · 청불주세가 · 청전법륜가 · 칭찬여래가 · 항순중생가 · 총결무진가)
장절공신선생실기 수록
8구체 향가 도이장가
}}}}}}}}} ||


1. 개요2. 원문
2.1. 양주동의 해석2.2. 김완진의 해석

1. 개요

풍요()는 신라시대의 대표적인 4구체 향가 중 하나로, 삼국유사에 수록되어 지금까지 전해진다.

선덕여왕때 영묘사라는 사찰불상을 만들 때 그 일을 도와주려고 모인 사람들이 일을 하면서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이를 삼국유사에 기록한 일연에 의하면, 신라 때로부터 수백 년이 지나 일연이 살았던 고려 후기에도 그 지방 사람들은 힘든 일 할 때 이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고 한다.

남아있는 향가 중 민요적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어 한국 민요의 원형으로 평가받는다. 그 중에서도 노동요의 원조에 가깝다.

2. 원문

來如來如來如
來如哀反多羅
哀反多矣徒良
功德修叱如良來如

2.1. 양주동의 해석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셔럽다라
셔럽다 의내여
功德 닷ᄀᆞ라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더라
서럽다 우리들이여
공덕 닦으러 오다

2.2. 김완진의 해석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셜ᄫᅥᆫ 해라
셜ᄫᅥᆫ 하ᄂᆡ 무라
功德 닷ᄀᆞ라 오다

온다 온다 온다
온다 서러운 이 많구나
서러움 많은 무리여
공덕 닦으러 온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