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1 06:54:47

원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원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기업이 공산품을 생산할 때 비용 절감에 대해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내용은 [[원가 절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원가 절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원가 절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기업이 공산품을 생산할 때 비용 절감에 대해 사용하는 용어: }}}[[원가 절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원가 절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원가 절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향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colbgcolor=#87CEFA><colcolor=#000> 삼국유사 수록
4구체 향가 도솔가 · 서동요 · 풍요 · 헌화가
8구체 향가 모죽지랑가 · 처용가
10구체 향가 도천수관음가 · 안민가 · 우적가 · 원가 · 원왕생가 · 제망매가 · 찬기파랑가 · 혜성가
균여전 수록
10구체 향가 보현십원가(광수공양가 · 보개회향가 · 상수불학가 · 수희공덕가 · 예경제불가 · 참회업장가 · 청불주세가 · 청전법륜가 · 칭찬여래가 · 항순중생가 · 총결무진가)
장절공신선생실기 수록
8구체 향가 도이장가
}}}}}}}}} ||
1. 개요2. 배경3. 원문4. 해석
4.1. 양주동의 해석4.2. 김완진의 해석4.3. 유창균의 해석4.4. 박재민의 해석4.5. 남풍현의 해석

1. 개요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원통함을 풀어낸 노래이다. 신라시대 향찰로 쓰여진 향가이다. 《삼국유사제5권 피은 제8 - 신충이 벼슬을 버리다에 실려 있다. 본디 이 노래는 10수였으나 일연의 삼국유사 집필 당시 결사부 9-10행이 망실되어 전한다.

2. 배경

孝成王潛邸時, 與賢士信忠, 圍碁於宮庭栢樹下,嘗謂曰:
"他日若忘卿, 有如栢樹." 信忠與拜.
融數月, 王卽位, 賞功臣, 忘忠而不第之.
忠怨而作歌, 岾於栢樹, 樹忽黃悴.
王怪使審之, 得歌獻之, 大驚曰:
"萬機鞅掌, 幾忘乎角弓!"
乃召之賜爵祿, 栢樹乃蘇.
歌曰:
효성왕이 왕위에 오르기 전, 어진 선비 신충(信忠)과 더불어 대궐 뜰의 잣나무 밑에서 바둑을 두며 일찍이 이런 말을 하였다.
“뒷날에 만약 내 그대를 잊는다면 저 잣나무가 증거가 될 것이야.”
그러자 신충은 일어나서 절을 하였다. 그 후 몇 달 뒤 효성왕이 즉위하여 공신들에게 상을 주면서 신충을 깜빡 잊고 명단에 넣지 않았다. 그러자 신충이 원망하는 노래를 지어 이를 잣나무에 붙였더니 나무가 갑자기 말라 버렸다. 왕이 이상하게 여겨 사람을 보내어 살펴보게 했더니, 노래를 가져다 바쳤다. 왕은 크게 놀라며 말하였다.
“정무가 복잡하고 바빠 하마터면 가깝게 지내던 사람을 잊을 뻔했구나!”
곧바로 신충을 불러 벼슬[1]을 주었는데 잣나무도 그제야 살아났다.
삼국유사제5권 피은 제8 - 신충이 벼슬을 버리다

3. 원문

物叱好支栢史
秋察尸不冬爾屋攴墮米
汝於多攴行齊敎因隱
仰頓隱面矣改衣賜乎隱冬矣也
月羅理影攴古理因淵之叱
行尸浪阿叱沙矣以攴如攴
皃史沙叱望阿乃
世理都之叱逸烏隱第也

4. 해석

4.1. 양주동의 해석

ᄆᆞᆮᄒᆡ 자시
ᄀᆞᅀᆞᆯ 안ᄃᆞᆯ 이우리 디매
너 엇뎨 니저 이신
울월던 ᄂᆞ치 겨사온ᄃᆡ
ᄃᆞᆳ그림제 녯 모샛
녈 믌결 애와티ᄃᆞᆺ
즈ᇫᅀᅡ ᄇᆞ라나
누리도 아쳐론 뎨여

마당의 잣이
가을에 시들어 지지 않으니
너를 어찌 잊어 하신
우러르던 낯이 계신데
달 그림자 옛 蓮못에
지나가는 물결 애타듯
모습을 바라보나
世上도 싫은지고

4.2. 김완진의 해석

갓 됴히 자시
ᄀᆞᅀᆞᆯ 안ᄃᆞᆯ곰 ᄆᆞᄅᆞ디매
너를 하니져 ᄒᆞ시ᄆᆞ론
울월던 ᄂᆞᄎᆡ 가ᄉᆡ시온 겨ᅀᅳ레여
ᄃᆞ라리 그르메 ᄂᆞ린 못ᄀᆞᆺ
녈 믌겨랏 몰애로다
즈ᅀᅵᅀᅡᆺ ᄇᆞ라나
누리 모ᄃᆞᆫ갓 여ᄒᆡ온 ᄃᆡ여

質 좋은 잣이
가을에 말라 떨어지지 않으니
너를 重히 여기겠다 하신
우러르던 낯이 變하신 겨울이여
달이 그림자 내린 蓮못 가에
지나가는 물결의 모래로다
모습을 바라보나
世上 모든 것 떠난 處地여

4.3. 유창균의 해석

빗 고비기 자시
ᄀᆞᄉᆞᆯ 안ᄃᆞᆯ 이오기 디며
너 어다기 니져 ᄒᆞ시ᄂᆞᆫ
울월이ᄃᆞᆫ 낯ᄋᆡ 가시ᄉᆡ온 ᄃᆡ라
ᄃᆞ라리 그르머기 고린 못ᄋᆡᆺ
닐 믈결앗 몰ᄀᆡ 머믈기다기
즈시삿 ᄇᆞ라나
누리도 이저기ᄋᆡᆺ ᄇᆞ리온뎌라
(後句 잊음)

빛같이 사랑스럽게 생긴 잣은
가을에도 시들어지지 않거니와
'너는 어디로 가려고 하느냐'고 하신 말씀은
우러러 뵈온 얼굴이 벌써 변하는 것이로구나
달빛의 그림자가 괸 못에는
흐르는 물결에 모래가 머물음과 같이
님의 모습이야 멀리서 바라보기는 하나
세상도 이제는 나를 버렸는가 보다

4.4. 박재민의 해석

갓 됴히 자시
ᄀᆞᅀᆞᆯ 안ᄃᆞᆯ 이우리 디매
너 다히 녀져 ᄒᆞ신
울워러 조아린 ᄂᆞᄎᆡ 가ᄉᆡ시온 겨ᅀᅳ릐여
ᄃᆞ라리 그르메 녀린 모ᄉᆡᆺ
뮐 믌겨렛 몰애이다
즈ᅀᅵᅀᅡᆺ ᄇᆞ라나
누리 모도ᄋᆡᆺ 일혼 第여

質 좋은 잣이
가을에 시들어 지지 않으니
너와 같이 가겠다 하신
우러러 조아린 낯이 變하신 겨울이여
달빛 비치는 오랜 蓮못에
움직이는 물결의 모래로다
모습을 바라보나
世上 모두에 잊힌 等第여

4.5. 남풍현의 해석

갓 됴티 자시
ᄀᆞᄉᆞᆯ 안ᄃᆞᆯ 그모디 디매
너어 다디 녀져 기신 이는
울월던 ᄂᆞ츼 가ᄉᆡ시온 ᄃᆞ의여
ᄃᆞ라리 그르메디 고린 모싓
녈 믌겨랏 몰의로디 다디
즈시삿 ᄇᆞ라나
누리 모도읫 이론 뎨여

質 좋은 잣이
가을 끝나도 떨어지지 않으니
너와 같이 가련다 하신 것은
우러르던 낯이 變하신 것이구나
달이 그림자 고르게 편 蓮못에
지나가는 물결의 모래와 같이
모습을 바라보나
世上 모두 이루어진 다음이로다



[1] 삼국사기에 따르면 효성왕 3년 신충시중에 임명된다고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