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03:25:58

풀크 당굴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80015, #da001a 20%, #da001a 80%, #b80015);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동서대분열 이전 추촌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예루살렘 주교
제2대 예루살렘 주교
제3대 예루살렘 주교
제4대 예루살렘 주교
제5대 예루살렘 주교
시메온
유스토 1세
자캐오
토비아
<rowcolor=#b80015,#b80015>
제6대 예루살렘 주교
제7대 예루살렘 주교
제8대 예루살렘 주교
제9대 예루살렘 주교
제10대 예루살렘 주교
베냐민
요한 1세
마티아
필립보
세네카
<rowcolor=#b80015,#b80015>
제11대 예루살렘 주교
제12대 예루살렘 주교
제13대 예루살렘 주교
제14대 예루살렘 주교
제15대 예루살렘 주교
유스토 2세
레위
에프렘
요셉
유다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제15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제19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제22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제16대 예루살렘 주교
마르코
나르치소
알렉산데르
자무다
마카리오
<rowcolor=#b80015,#b80015>
제17대 예루살렘 주교
제18대 예루살렘 주교
제19대 예루살렘 주교
제20대 예루살렘 주교
초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막시모
요한 2세
프라울리오
유베날리오
<rowcolor=#b80015,#b80015>
제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제14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제1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엘리야
모데스토
소프로니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초기 라틴 총대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제2대 임시직 제3대 복위
다고베르토 다 피사
<rowcolor=#b80015,#b80015> 제4대 재임 제5대 제6대 제7대
아르눌 드 쇼크
<rowcolor=#b80015,#b80015>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아모리 드 네슬레
에라클레스 도베르뉴
미셸 드 코르베유
아이마로 모나코 데이 코르비치
<rowcolor=#b80015,#b80015>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소프레도 에리코 가에타니
알베르토 다 베르첼리
라울 드 메렝쿠르
제라르 드 로잔
로베르 드 낭트
<rowcolor=#b80015,#b80015>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기욤 다쟁
톰마소 아니 다 코센차
조반니 다 베르첼리
엘리 드 페리게
<rowcolor=#b80015,#b80015>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니콜라 드 아나프
란돌포
앤서니 벡
피에르 플레느카사뉴
피에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로마 주재 명의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레몽 베캥
피에르 드 팔뤼드
에리 드 나비날
피에르 드 카사
에마누엘레 드 나비날
<rowcolor=#b80015,#b80015>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기욤 아미치
필리프 드 카바솔르
굴리엘모 밀리티스
기예르메 오디베르 드 라 가르드
필리프 달랑송 드 발루아
<rowcolor=#b80015,#b80015>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굴리엘모 다 우르비노
슈테판 즈 오스트로바
페르난두스
우고 로베르티
프란시스코 클레멘테 페레스 카페라
<rowcolor=#b80015,#b80015> 제43대 제44대 교구장 서리 교구장 서리 제45대
레오나르도 델피노
비아조 몰리노
크리스토포로 가라토니
조반니 베사리오네
로렌초 잔니
<rowcolor=#b80015,#b80015>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루이 드 아리퀴리아
바르톨로메오 델라 로베레
조반니 안토니오 산조르조
베르나르디노 로페스 데 카르바할 이 산데
로드리고 데 카르바할
<rowcolor=#b80015,#b80015>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크리스토포로 스피리티
안토니오 엘리오
시피오네 곤차가
<rowcolor=#b80015,#b80015>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파비오 비온디 다 몬탈토
프란체스코 첸니니 데 살라만드리
디오페보 파르네세
알폰소 만사네도 데 키뇨네스
도메니코 데 마리니
<rowcolor=#b80015,#b80015>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조반니 바티스타 콜론나
테그리무스 테그리미
아이기디우스 우르시누스 데 비베레
카밀로 마시모
에지디오 콜론나
<rowcolor=#b80015,#b80015>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반디노 판차티키
니콜로 피에트로 바르젤리니
프란체스코 마르텔리
무치오 가에타
빈첸초 루도비코 고티
<rowcolor=#b80015,#b80015>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폼페오 알드로반디
톰마소 체르비니
톰마소 몬카다 라 록카
조르조 마리아 라스카리스
미켈레 디 피에트로
<rowcolor=#b80015,#b80015> 제76대 제77대
프란체스코 마리아 펜치
파올로 아우구스토 포스콜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예루살렘 복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b80015,#b80015> 제78대 제79대 제80대 제81대 제82대
조세프 발레르가
조반니 빈첸초 브라코
루이지 피아비
필리포 카마세이
루이지 바를라시나
<rowcolor=#b80015,#b80015>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제87대
알베르토 고리
자코모 주세페 벨트리티
미셸 사바흐
푸아드 트왈
}}}}}}}}}}}}}}}


1. 개요2. 생애

1. 개요

풀크 당굴렘(Foulques d'Angoulême : ? ~ 1157년 11월 20일)[1]은 1146년부터 1157년까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였다. 앙굴렘 백작 풀크와는 다른 인물이다.

2. 생애

풀크는 앙굴렘(Angoulême) 출신이다. 기욤 드 티레에 따르면, 그는 "종교적이고 신을 두려워하며, 천박한 학문에 매료되었지만 신의있는 사람이자 규율을 사랑하는 자"였다고 한다. 프랑스에서 풀크가 셀르프루앙(Cellefrouin)의 대 수도원장에 있을 때와 예루살렘으로 갈 때까지, 성좌는 교황 인노첸시오 2세와 대립 교황 아나클레토 2세(Anacletus II)로 분열했다. 1131년 앙굴렘의 주교는 아나클레토 2세의 편에 섰고 풀크는 인노첸시오 2세에 섰다. 예루살렘에서 그는 성묘 교회의 의전 사제로 일했고, 그리고 1134년에는 티레의 대주교이자 성묘 교회 수도원장이었던 기욤 1세(William I)의 후임이 되었다.

그는 예루살렘 총대주교인 기욤 드 말린(Guillaume de Malines)에게 서임받지만, 인노첸시오 2세에게 팔리움[2]을 받기 위해 로마로 여행한다. 그런데 풀크가 귀환하자 총대주교 기욤은 그를 박대했고,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예루살렘 총대주교 기욤에게 티레 대교구를 로마의 아래에 두거나 안티오크 라틴 총대주교 관할로 옮기라고 요구했다.

1145년에 기욤 드 말린이 사망하자 이듬해에 후임 총대주교로 선출되었으며[3] 1149년에는 50여년간 재건된 성묘 교회를 축성했다.

1148년 풀크는 독일의 콘라트 3세제2차 십자군 원정으로 예루살렘에 도착했을 때 환영하는 사람들 중 하나였다. 그는 또한 안티오키아에 들른 프랑스의 루이 7세를 만나기 위해 파견되어, 루이가 예루살렘으로 계속 가도록 설득했다.

1152년 풀크는 예루살렘의 보두앵 3세와 그의 어머니 멜리장드의 권력 분쟁에 개입했다. 이 분쟁은 무력 충돌로 이어졌고 풀크의 평화 협상 시도는 실패했으며, 보두앵이 승리했다. 1156년 풀크는 근친을 이유로 아모리 1세와 아녜스의 결혼을 반대했다.

풀크는 1157년 11월 20일에 사망했다.
[1] 푸세(Foucher) 라고도 한다.[2] 대주교 이상의 고위 사제가 사용하는 양털 띠 하얀 바탕에 검은 십자가가 수놓아져 있다. 견책이라고도 한다.[3] 티레 대주교좌는 예루살렘의 수상 랄프(Ralph)와 바르셀로나의 페드로(Peter of Barcelona) 사이의 분쟁 끝에 페드로가 계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