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03:25:18

모리스 드 포르투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80015, #da001a 20%, #da001a 80%, #b80015);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동서대분열 이전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if 대수="style=\"margin: 0 -10px; font: .83333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주교명="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초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2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3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4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5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예수의 형제 야고보|의인 야고보]]
#!wiki 
시메온
#!wiki 
유스토 1세
#!wiki 
자캐오
#!wiki 
토비아
<rowcolor=#b80015,#b80015>
#!wiki 
제6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7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8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9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0대 예루살렘 주교
#!wiki 
베냐민
#!wiki 
요한 1세
#!wiki 
마티아
#!wiki 
필립보
#!wiki 
세네카
<rowcolor=#b80015,#b80015>
#!wiki 
제11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2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3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4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5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유스토 2세
#!wiki 
레위
#!wiki 
에프렘
#!wiki 
요셉
#!wiki 
유다
<rowcolor=#b80015,#b80015>
#!wiki 
초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wiki 
제15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wiki 
제19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wiki 
제22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wiki 
제16대 예루살렘 주교
#!wiki 
마르코
#!wiki 
나르치소
#!wiki 
알렉산데르
#!wiki 
자무다
#!wiki 
마카리오
<rowcolor=#b80015,#b80015>
#!wiki 
제17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8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9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20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초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wiki 
막시모
#!wiki 
[[예루살렘의 키릴로스|치릴로]]
#!wiki 
요한 2세
#!wiki 
프라울리오
#!wiki 
유베날리오
<rowcolor=#b80015,#b80015>
#!wiki 
제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wiki 
제14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wiki 
제1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wiki 
엘리야
#!wiki 
모데스토
#!wiki 
소프로니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초기 라틴 총대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제2대 임시직 제3대 복위
#!wiki 
[[아르눌 드 쇼크]]
#!wiki 
[[다임베르트 다 피사|다고베르토 다 피사]]
#!wiki 
[[모리스 드 포르투|마우리체 다 포르투]]
#!wiki 
[[에브르마르 드 테루안]]
#!wiki 
다고베르토 다 피사
<rowcolor=#b80015,#b80015> 제4대 재임 제5대 제6대 제7대
#!wiki 
[[기벨린 드 사브란]]
#!wiki 
아르눌 드 쇼크
#!wiki 
[[고르몽 드 픽퀴니]]
#!wiki 
[[스테판 드 라 페르테]]
#!wiki 
[[기욤 드 말린]]
<rowcolor=#b80015,#b80015>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wiki 
[[풀크 당굴렘]]
#!wiki 
아모리 드 네슬레
#!wiki 
에라클레스 도베르뉴
#!wiki 
미셸 드 코르베유
#!wiki 
아이마로 모나코 데이 코르비치
<rowcolor=#b80015,#b80015>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wiki 
소프레도 에리코 가에타니
#!wiki 
알베르토 다 베르첼리
#!wiki 
라울 드 메렝쿠르
#!wiki 
제라르 드 로잔
#!wiki 
로베르 드 낭트
<rowcolor=#b80015,#b80015>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wiki 
[[우르바노 4세|자크 팡탈레옹]]
#!wiki 
기욤 다쟁
#!wiki 
톰마소 아니 다 코센차
#!wiki 
조반니 다 베르첼리
#!wiki 
엘리 드 페리게
<rowcolor=#b80015,#b80015>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wiki 
니콜라 드 아나프
#!wiki 
란돌포
#!wiki 
앤서니 벡
#!wiki 
피에르 플레느카사뉴
#!wiki 
피에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로마 주재 명의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wiki 
레몽 베캥
#!wiki 
피에르 드 팔뤼드
#!wiki 
에리 드 나비날
#!wiki 
피에르 드 카사
#!wiki 
에마누엘레 드 나비날
<rowcolor=#b80015,#b80015>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wiki 
기욤 아미치
#!wiki 
필리프 드 카바솔르
#!wiki 
굴리엘모 밀리티스
기예르메 오디베르
드 라 가르드
#!wiki 
필리프 달랑송 드 발루아
<rowcolor=#b80015,#b80015>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wiki 
굴리엘모 다 우르비노
#!wiki 
슈테판 즈 오스트로바
#!wiki 
페르난두스
#!wiki 
우고 로베르티
프란시스코 클레멘테
페레스 카페라
<rowcolor=#b80015,#b80015> 제43대 제44대 교구장 서리 교구장 서리 제45대
#!wiki 
레오나르도 델피노
#!wiki 
비아조 몰리노
#!wiki 
크리스토포로 가라토니
#!wiki 
조반니 베사리오네
#!wiki 
로렌초 잔니
<rowcolor=#b80015,#b80015>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wiki 
루이 드 아리퀴리아
#!wiki 
바르톨로메오 델라 로베레
#!wiki 
조반니 안토니오 산조르조
베르나르디노 로페스
데 카르바할 이 산데
#!wiki 
로드리고 데 카르바할
<rowcolor=#b80015,#b80015>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wiki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wiki 
크리스토포로 스피리티
#!wiki 
안토니오 엘리오
#!wiki 
[[인노첸시오 9세|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
#!wiki 
시피오네 곤차가
<rowcolor=#b80015,#b80015>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wiki 
파비오 비온디 다 몬탈토
프란체스코 첸니니
데 살라만드리
#!wiki 
디오페보 파르네세
#!wiki 
알폰소 만사네도 데 키뇨네스
#!wiki 
도메니코 데 마리니
<rowcolor=#b80015,#b80015>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wiki 
조반니 바티스타 콜론나
#!wiki 
테그리무스 테그리미
아이기디우스 우르시누스
데 비베레
#!wiki 
카밀로 마시모
#!wiki 
에지디오 콜론나
<rowcolor=#b80015,#b80015>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wiki 
반디노 판차티키
#!wiki 
니콜로 피에트로 바르젤리니
#!wiki 
프란체스코 마르텔리
#!wiki 
무치오 가에타
#!wiki 
빈첸초 루도비코 고티
<rowcolor=#b80015,#b80015>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wiki 
폼페오 알드로반디
#!wiki 
톰마소 체르비니
#!wiki 
톰마소 몬카다 라 록카
#!wiki 
조르조 마리아 라스카리스
#!wiki 
미켈레 디 피에트로
<rowcolor=#b80015,#b80015> 제76대 제77대
#!wiki 
프란체스코 마리아 펜치
#!wiki 
파올로 아우구스토 포스콜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예루살렘 복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b80015,#b80015> 제78대
(복귀 후 초대)
제79대
(복귀 후 제2대)
제80대
(복귀 후 제3대)
제81대
(복귀 후 제4대)
제82대
(복귀 후 제5대)
#!wiki 
조세프 발레르가
#!wiki 
조반니 빈첸초 브라코
#!wiki 
루이지 피아비
#!wiki 
필리포 카마세이
#!wiki 
루이지 바를라시나
<rowcolor=#b80015,#b80015> 제83대
(복귀 후 제6대)
제84대
(복귀 후 제7대)
제85대
(복귀 후 제8대)
제86대
(복귀 후 제9대)
제87대
(복귀 후 제10대)
#!wiki 
알베르토 고리
#!wiki 
자코모 주세페 벨트리티
#!wiki 
미셸 사바흐
#!wiki 
푸아드 트왈
#!wiki 
[[피에르바티스타 피차발라]]
}}}}}}}}}}}}}}}


1. 개요2. 생애

1. 개요

모리스 드 포르투(Maurice de Porto : ?년 ~ 1102년)는 1095년부터 1099년까지 포르투-산타 루피나(Porto-Santa Rufina) 교구의 주교며, 1102 년부터는 추기경으로서 예루살렘 왕국에 파견된 교황 대사였다. 1101년 후반부터는 임시로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를 맡았으나 그 다음해 사망한다.

2. 생애

모리스가 추기경으로 임명되기 전의 삶은 별로 알려진 바 없다. 여러 가지 모순된 기록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데, 그는 1088년에 교황 우르바노 2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1]되었다고 하지만, 1095년 2월 18일에는 아직 포르투의 주교로 존이라는 사제가 있었다. 1098년 2월 24일에는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Santa Cecilia in Trastevere) 성당의 제단을 축성하는 기록도 있다. 이런 기록의 근거는 모두 다 불확실하고 그 과거의 역사학자들이 참고한 원전이 더 이상 남아있지 않다. 주교로써 모리스의 첫 번째 믿을만한 기록은 교황 연대표(Liber Pontificalis)[2]에서 나오며, 기록 상 1099년 8월 14일에 교황 파스칼 2세가 임명한 6명의 주교 사이에서 그의 이름이 처음 나타난다.

1100 년 5월 4일, 파스칼 2세는 제노바 상인들에게 예루살렘 왕국의 재해권을 도우라는 임무를 하달했고, 모리스를 레반트 지역의 교황 특사로 임명하며 추기경으로 승진시켜 새로운 십자군 국가를 교황의 통제 하에 두는 임무를 맡게 했다. 그는 7월 20일 제노바에 도착한 뒤 때마침 건설된 성 테오도로(San Teodoro) 성당의 축성을 지원했다. 그 후 8월 1일에 제노바 해군의 배를 타고 늦어도 9월 25일 안티오키아 공국라타키아(Latakia)에 도착했다. 하필 그 시점에 안티오키아 공국의 보에몽 1세 공작이 최근에 북쪽 변경 지대를 정비하기 위해 출정했다가 다니슈멘드(Danishmend) 왕조에 사로잡혔다. 당시 고드프루아 역시 사망했던 시점이였고, 에데사 백국의 보두앵이 왕위를 물려받기 위해 이동하다 통치자가 없는 안티오크의 무방비 상태를 정비하고 나아가려는 찰나에 모리스 추기경을 만난다. 그래서 아마 10 월 중순쯤에 그는 에데사 백국의 보두앵 백작의 수행단에 동행하여 예루살렘으로 이동했다. 기록에는 없지만 보두앵은 당시 총대주교 다임베르트와 앙숙이었다. 분명히 안티오크에서 예루살렘으로 이동하면서 보두앵은 모리스에게 다임베르트에 대한 온갖 험담과 부정을 늘어놓았을 것이다. 12월 25일, 보두앵은 베들레헴에서 앙숙인 예루살렘의 총대주교 다임베르트에 의해 예루살렘의 왕으로 등극했다.

보두앵 1세의 대관식이 얼마 지나지 않아 보두앵은 다임베르트가 십자군 국가를 배신하여 정교회 도시를 공격하는 보에몽을 말리지 않고 동참했다고 고발하며, 또한 자신을 암살하려는 음모가 들통났다며 의회에서 총대주교를 비난했다. 기록에는 모리스가 이러한 고발에 즉시 어떻게 대응했는지 나타나 있지는 않다. 다만 다음해에 당대 역사학자 아헨의 알버트(Albert d'Aix)에 따르면 모리스가 다임베르트의 부활절 미사를 진행하는 것을 금지했고, 모리스 스스로 집전했다고 한다. 하지만 모리스와 제노바 함선에 같이 승선하여 예루살렘까지 함께 동행한 제노바의 역사학자이자 외교관인 카팔로 디 루스티코(Caffaro di Rustico da Caschifellone)는 이 장면을 성묘 교회에서 모리스와 다임베르트가 부활절인 1101년 4월 21일 함께 집전했다고 기록한다.

어쨌든 보두앵과 다임베르트 사이의 경쟁은 다음 해에도 지속되었으며, 모리스는 예루살렘의 교회권을 상승시키는 임무를 다하기 위해 다임베르트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둘 사이에서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맡았다. 그럼에도 결국에는, 더 이상 방어가 될 수 없을 정도의 고발이 지속해서 재기되었고, 방어를 할수록 교회권의 위상이 계속해서 하락하자 1101년 가을에 모리스는 교황 특사의 전권으로 총대주교 다임베르트를 탄핵하여 폐위시켰다. 그래서 임시로 총대주교의 임무를 모리스가 맡았으며 이 상황은 모리스가 1102년 봄에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의 죽음 후 총대주교 자리는 보두앵 1세에 의해 왕권을 보장하는 파벌의 에브르마르 드 테루안(Evremar de Thérouanne)이 승계했고, 교황 특사의 자리는 파리의 로버트(Robert de Paris)가 그해 가을에 성지에 도착해서 승계했다. 다임베르트는 안티오크로 피신했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안티오키아 공국의 도움이 필요했던 보두앵이 조건부로 예루살렘 총대주교로 돌아와 봉직하는걸 묵인했지만, 다임베르트는 로버트에게 또 파직당한다. 1103년 7월 29일 포르투의 주교는 피에트로(Pietro)에게 인수되었다.
[1] 포르투의 주교가 되기 전인데 추기경?[2] 기독교 역사상 베드로부터 15세기까지 재위한 교황들의 일대기를 기록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