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03:25:30

기벨린 드 사브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80015, #da001a 20%, #da001a 80%, #b80015);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동서대분열 이전 추촌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예루살렘 주교
제2대 예루살렘 주교
제3대 예루살렘 주교
제4대 예루살렘 주교
제5대 예루살렘 주교
시메온
유스토 1세
자캐오
토비아
<rowcolor=#b80015,#b80015>
제6대 예루살렘 주교
제7대 예루살렘 주교
제8대 예루살렘 주교
제9대 예루살렘 주교
제10대 예루살렘 주교
베냐민
요한 1세
마티아
필립보
세네카
<rowcolor=#b80015,#b80015>
제11대 예루살렘 주교
제12대 예루살렘 주교
제13대 예루살렘 주교
제14대 예루살렘 주교
제15대 예루살렘 주교
유스토 2세
레위
에프렘
요셉
유다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제15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제19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제22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제16대 예루살렘 주교
마르코
나르치소
알렉산데르
자무다
마카리오
<rowcolor=#b80015,#b80015>
제17대 예루살렘 주교
제18대 예루살렘 주교
제19대 예루살렘 주교
제20대 예루살렘 주교
초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막시모
요한 2세
프라울리오
유베날리오
<rowcolor=#b80015,#b80015>
제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제14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제1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엘리야
모데스토
소프로니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초기 라틴 총대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제2대 임시직 제3대 복위
다고베르토 다 피사
<rowcolor=#b80015,#b80015> 제4대 재임 제5대 제6대 제7대
아르눌 드 쇼크
<rowcolor=#b80015,#b80015>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아모리 드 네슬레
에라클레스 도베르뉴
미셸 드 코르베유
아이마로 모나코 데이 코르비치
<rowcolor=#b80015,#b80015>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소프레도 에리코 가에타니
알베르토 다 베르첼리
라울 드 메렝쿠르
제라르 드 로잔
로베르 드 낭트
<rowcolor=#b80015,#b80015>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기욤 다쟁
톰마소 아니 다 코센차
조반니 다 베르첼리
엘리 드 페리게
<rowcolor=#b80015,#b80015>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니콜라 드 아나프
란돌포
앤서니 벡
피에르 플레느카사뉴
피에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로마 주재 명의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레몽 베캥
피에르 드 팔뤼드
에리 드 나비날
피에르 드 카사
에마누엘레 드 나비날
<rowcolor=#b80015,#b80015>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기욤 아미치
필리프 드 카바솔르
굴리엘모 밀리티스
기예르메 오디베르 드 라 가르드
필리프 달랑송 드 발루아
<rowcolor=#b80015,#b80015>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굴리엘모 다 우르비노
슈테판 즈 오스트로바
페르난두스
우고 로베르티
프란시스코 클레멘테 페레스 카페라
<rowcolor=#b80015,#b80015> 제43대 제44대 교구장 서리 교구장 서리 제45대
레오나르도 델피노
비아조 몰리노
크리스토포로 가라토니
조반니 베사리오네
로렌초 잔니
<rowcolor=#b80015,#b80015>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루이 드 아리퀴리아
바르톨로메오 델라 로베레
조반니 안토니오 산조르조
베르나르디노 로페스 데 카르바할 이 산데
로드리고 데 카르바할
<rowcolor=#b80015,#b80015>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크리스토포로 스피리티
안토니오 엘리오
시피오네 곤차가
<rowcolor=#b80015,#b80015>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파비오 비온디 다 몬탈토
프란체스코 첸니니 데 살라만드리
디오페보 파르네세
알폰소 만사네도 데 키뇨네스
도메니코 데 마리니
<rowcolor=#b80015,#b80015>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조반니 바티스타 콜론나
테그리무스 테그리미
아이기디우스 우르시누스 데 비베레
카밀로 마시모
에지디오 콜론나
<rowcolor=#b80015,#b80015>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반디노 판차티키
니콜로 피에트로 바르젤리니
프란체스코 마르텔리
무치오 가에타
빈첸초 루도비코 고티
<rowcolor=#b80015,#b80015>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폼페오 알드로반디
톰마소 체르비니
톰마소 몬카다 라 록카
조르조 마리아 라스카리스
미켈레 디 피에트로
<rowcolor=#b80015,#b80015> 제76대 제77대
프란체스코 마리아 펜치
파올로 아우구스토 포스콜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예루살렘 복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b80015,#b80015> 제78대 제79대 제80대 제81대 제82대
조세프 발레르가
조반니 빈첸초 브라코
루이지 피아비
필리포 카마세이
루이지 바를라시나
<rowcolor=#b80015,#b80015>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제87대
알베르토 고리
자코모 주세페 벨트리티
미셸 사바흐
푸아드 트왈
}}}}}}}}}}}}}}}


1. 개요2. 생애

1. 개요

기벨린 드 사브란(Gibelin de Sabran : 약 1045년 ~ 1112년 4월 6일)은 아를(Arles)의 대주교(1080 ~ 1112)와, 교황 대사(1107 ~ 1108), 그리고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1108 ~ 1112)를 역임했다.

2. 생애

기벨린은 1080년 교황과 황제의 다툼이 극심하던 시절, 아비뇽 공의회에서 아를의 대주교로 지명되었으며, 동시에 아이카드 다를(Aicard d'Arles)은 아를의 대주교직에서 물러난다. 그는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축복까지 받았지만 아를의 성직자를 위시한 도시 사람들은 아이카드를 상대적으로 더 선호했다. 당시 아를은 교황보다 황제의 입김이 더 센 지역이었고, 아이카드가 교황 그레고리오 7세와 적대관계였던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4세의 측근이었던 마르세이유[1]의 자작들과 친척 관계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록 기벨린이 프로방스(Provence)의 백작 베르트랑 1세[2]의 지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를의 대교구를 차지할 수 없었다. 그가 아비뇽에서 아를로 접근 할 때 아를의 시민들에 의해 위협을 받았고 결국 자신의 권리를 포기해야했으며, 성난 교황은 아를이라는 도시를 통째로 종교적 국적 이탈의 무정부 도시로 선포해버린다.

기벨린은 수 년간 그의 정당한 자리를 차지하기를 소망하며 기다렸다. 절호의 기회였던 1096년 교황 우르바노 2세가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최초로 십자군 전쟁을 연설하기에 앞서 남부 프랑스를 순회했을 때도 아를을 방문하지 않아 소망을 이루지 못했다. 결국 1096년 이후 기벨린은 아이카드가 십자군에 매료되어 성지로 떠나 아를에 대주교가 부재하는 동안에 임시로 대교구를 차지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그는 아비뇽 교구도 지휘했다. 그리고 마침내 우르바노 2세가 1080년 아를의 시민들을 국적 이탈로 그들을 억압한 판결을 뒤집자 1098년이 되어서야 아를의 대주교를 정식으로 계승했다.

1107년 말, 기벨린은 교황 파스칼 2세의 교황 대사로 임명되어 레반트 지역으로 가기 위해 아를을 떠났다. 그는 예루살렘 총대주교직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다임베르트 다 피사(Dagoberto da Pisa)는 1102년에 총대주교직에서 파면되어 에브르마르 드 테루안(Evremar de Thérouanne)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로마로 돌아갔던 다임베르트의 항소로 인해 교황 파스탈 2세는 그를 복권을 시켰으나, 성지로 돌아 가기 전에 죽었다. 교황은 이제 에브르마르를 그대로 복직시키려 했지만, 예루살렘 국왕 보두앵 1세(Baudouin I)는 그가 무능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벨린이 선택되었다. 그는 에브르마르를 퇴임시켜 카이사레아 (Caesarea)의 대주교로 임명했고 보두앵 1세 자신의 사무직 제의에 따라 그 직책을 받아들였다. 그는 1112년 4월 6일 예룻살렘에서 프로방스로 여행하려 준비하던 중 그곳에서 죽었고, 초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였던 아르눌 드 쇼크(Arnoul de Chocques)가 다시 재임에 성공했다. 기벨린이 성지로 떠나 아를의 대교구는 1115년까지 공석으로 남아있다.
[1] 아를은 마르세이유 관할권이고 마르세이유는 프로방스의 지방이다.[2] 아이카드의 사촌이지만 교황과 황제의 대립으로 가문이 두 토막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