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8:21:25

포르츠하임 연방의회선거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선거구 제279구
Wahlkreis 279: Pforzheim
}}}
파일:Bundestagswahlkreis_279-2025.svg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217,126명 (2025)
상위 주 바덴뷔르템베르크
하위 행정구역 포르츠하임시 전체, 엔츠 군(Enzkreis) 전체
연방의원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군터 크리히바움
(Gunther Krichbaum)


1. 개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2021년 20대 선거까지는 선거구 번호 280번이었으나, 2025년 21대부터 279번으로 변경되었다. 카를스루에 현의 도시 포르츠하임시를 포함하는 지역구이다.

바덴뷔르템베르크 대부분의 도시들과 비슷하게 기민련의 승리가 당연시되는 곳으로서, 1965년 선거구가 생긴 후부터 현재까지 기민련이 단 한번[1]을 제외하고 전부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2025년 제21대에서는 AfD가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2위를 기록하며 기존 사민당, 녹색당 등을 전부 따돌렸다. 사민당은 지역구에서는 20% 이상의 득표로 선방했으나 비례대표에서는 크게 저조했고, 녹색당, 좌파당 모두 전부 참패하며 보수 우경화 트렌드를 극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세부 지역별로 살펴보면, 비례대표 득표율에서 포르츠하임 시내 지역에서는 AfD 1위, 기민련 2위, 사민당 3위, 녹색당 4위, 좌파당 5위를 기록하여 시내 지역에서 오히려 AfD가 승리하는 특이한 현상을 보인다. 시외 지역, 즉 엔츠 군 지역에서는 되려 기민련 1위, AfD 2위를 기록해서 전국적인 트렌드와 반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2. 역대 의원

  • 롤란트 리히터(Roland Richter) (기민련): 1994년 제13대 1선.
  • 우테 포크트(Ute Vogt) (사민당): 1998년 제14대 1선.
  • 군터 크리히바움(Gunther Krichbaum) (기민련): 2002년 제15대부터 2025년 제21대까지 7선.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장.svg 바덴뷔르템베르크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258구 259구 260구 261구 262구
지모네 피셔 - 마크 비아다치 다비트 프라이젠단츠 마티아스 힐러
263구 264구 265구 266구 267구
헤르만 패르버 크리스티나 슈툼프 슈테펜 빌거 파비안 그람링 알렉산더 트롬
268구 269구 270구 271구 272구
크리스티안 폰 슈테텐 잉게보르크 그래슬레 로더리히 기제베터 조에 마이어 니콜라스 치펠리우스
273구 274구 275구 276구 277구
카이 휘테커 - - 니나 바르켄 -
278구 279구 280구 281구 282구
올라프 구팅 군터 크리히바움 클라우스 마크 샨탈 코프 -
283구 284구 285구 286구 287구
야닉 부리 요하네스 로텐베르거 마리아 레나 바이스 토르스텐 프라이 안드레아스 융
288구 289구 290구 291구 292구
펠릭스 슈라이너 미하엘 돈트 - 로냐 케머 볼프강 달러
293구 294구 295구
폴커 마이어-라이 악셀 뮐러 토마스 바라이스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알리스 바이델 마르쿠스 프론마이어 마르틴 헤스 마르크 베른하르트 루벤 루프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한스 위르겐 괴스너 위르겐 쾨겔 디아나 치머 아킴 쾰러 라르스 하이제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알렉산더 아르파쉬 말테 카우프만 요아킴 블로흐 미하엘 블로스 하인리히 코흐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요한 마르텔 마르티나 켐프 지크하르트 크노델[1] 파울 슈미트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프란치스카 브란트너 리카르다 랑 아그니에츠카 브루거 제바스티안 섀퍼 잔드라 데처
비례 6 비례 8 비례 10 비례 11
마르셀 에머리히 하랄트 에브너 마티아스 가스텔 아냐 라인알터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자라 미로 루이기 판티자노 괴카이 아크불루트 빈첸츠 글라저 안네 체르
비례 6
마르셀 바우어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자스키아 에스켄 닐스 슈미트 리타 슈바르츠뤼어-주터 마르틴 게르스터 카티야 마스트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요하네스 페히너 야스미나 호스테르트 파르자 마르비 이자벨 카데마르토리 마지트 카라메토글루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데리야 튀르크-나흐바우어 라르스 카스텔루치 리나 자이츨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5년 5월 5일 AfD 탈당하여 무소속
}}}}}} ||
<rowcolor=#000> 포르츠하임
포르츠하임시 전체, 엔츠 군 전체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군터 크리히바움 63,762 37.1% 1위 52,835 30.5% 1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디아나 치머 46,265 26.9% 2위 43,959 25.4% 2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카티야 마스트 36,222 21.1% 3위 22,824 13.2% 3위


비례 당선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헬무트 쿤치너 11,023 6.4% 4위 9,320 5.4% 6위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라이너 제메트 9,382 5.5% 5위 10,769 6.2% 5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마르쿠스 슐츠-리츠 5,378 3.1% 6위 1,343 0.8% 10위
'''
Volt
'''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 - - - 18,237 10.5% 4위


- - - - 7,661 4.4% 7위


- - - - 2,042 1.2% 8위
'''
동물보호당
'''
- - - - 1,988 1.1% 9위


- - - - 705 0.4% 11위


- - - - 589 0.3% 12위
'''
Bündnis C
'''
- - - - 526 0.3% 13위
'''
dieBasis
'''
- - - - 263 0.2% 14위
'''
ÖDP
'''
- - - - 229 0.1% 15위
'''
독일 연합
'''
- - - - 51 0.0% 16위
'''
MLPD
'''
유효표 172,032 173,341
무효표 2,289 980
총 투표수 174,321 174,321
투표율 81.8% 81.8%
결과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장.svg 바덴뷔르템베르크 제20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258구 259구 260구 261구 262구
젬 외즈데미르 막시밀리안 뫼르제부르크 마크 비아다치 마르쿠스 그뤼벨 미하엘 헨리히[1]
263구 264구 265구 266구 267구
헤르만 패르버 크리스티나 슈툼프 슈테펜 빌거 파비안 그람링 알렉산더 트롬
268구 269구 270구 271구 272구
크리스티안 폰 슈테텐 잉게보르크 그래슬레 로더리히 기제베터 조에 마이어 니콜라스 치펠리우스
273구 274구 275구 276구 277구
카이 휘테커 프란치스카 브란트너 이자벨 카데마르토리 니나 바르켄 모리츠 오펠트
278구 279구 280구 281구 282구
올라프 구팅 군터 크리히바움 클라우스 마크 찬탈 코프 디아나 슈퇴커
283구 284구 285구 286구 287구
야닉 부리 볼프강 쇼이블레 마리아 레나 바이스 토르스텐 프라이 안드레아스 융
288구 289구 290구 291구 292구
펠릭스 슈라이너 미하엘 돈트 아네테 비트만-마우츠 론야 케머 요제프 리프
293구 294구 295구
폴커 마이어-라이 악셀 뮐러 토마스 바라이스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알리스 바이델 마르틴 헤스 디르크 슈파니엘 마르쿠스 프론마이어 마크 용겐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마크 베른하르트 말테 카우프만 크리스티나 바움 토마스 자이츠 위르겐 브라운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미하엘 토이러 유디트 스쿠델니 미하엘 게오르크 링크 파스칼 코버 플로리안 톤카어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벤야민 슈트라서 레나타 알트 옌스 브란덴부르크 크리스토프 호프만 슈테판 자이터
비례 21 비례 22 비례 23 비례 24 비례 25
발렌틴 아벨 콘라트 슈톡마이어 안-베루쉬카 유리쉬 라이너 제메트 마르틴 가스너-헤르츠
비례 26
클라우디아 라펠휘셴
비례 27 비례 28 비례 29 비례 30 비례 31
아그니츠카 브루거 크리스티안 퀸 잔드라 데처 베아테 뮐러-게메케 하랄트 에프너
비례 32 비례 33 비례 34 비례 35 비례 36
안나 크리스트만 마티아스 가스텔 리카르다 랑 마르셀 에메리히 토비아스 바헐레
비례 37 비례 38 비례 39 비례 40
슈테파니 에프너 멜리스 제크멘 제바스티안 섀퍼 안야 라인알터
비례 41 비례 42
베른트 릭싱거 괴카이 아크불루트
비례 43
제시카 타티
비례 44 비례 45 비례 46 비례 47 비례 48
자스키아 에스켄 닐스 슈미트 리타 슈바르츠뤼어-주터 마르틴 로제만 카티야 마스트
비례 49 비례 50 비례 51 비례 52 비례 53
요하네스 페히너 레니 브라이마이어 마르틴 게르스터 야스미나 호스테르트 라스 카스텔루치
비례 54 비례 55 비례 56 비례 57 비례 58
가브리엘레 카츠마레크 파르자 마르비 하이케 배렌스 마지트 카라헤토흐 리나 자이츨
비례 59 비례 60 비례 61 비례 62 비례 63
로빈 메자로쉬 요시프 유라토비치 데리야 튀르크-나흐바우어 케빈 라이저 하이케 엥겔하르트
비례 64
타키스 메흐메트 알리
비례 65
알렉산더 푀어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3년 의원직을 사퇴하고 연방 의약품생산자협회 대표가 되었다. 알렉산더 푀어가 비례대표로 의원직 승계
}}}}}} ||
<rowcolor=#000> 포르츠하임
포르츠하임시 전체, 엔츠 군 전체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군터 크리히바움 46,291 28.5% 1위 39,324 24.2% 1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카티야 마스트 33,957 20.9% 2위 34,262 21.1% 2위


비례 당선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슈테파니 애프너 20,679 12.7% 3위 21,213 13.0% 5위


비례 당선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라이너 제메트 20,632 12.7% 4위 26,504 16.3% 3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비례 당선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디아나 치머 22,943 14.1% 5위 22,028 13.5% 4위


자비네 차이틀러 4,407 2.7% 6위 2,914 1.8% 8위


마티아스 에브너 3,963 2.4% 7위 3,276 2.0% 7위
'''
동물보호당
'''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멜템 젤리크 3,772 2.3% 8위 4,342 2.7% 6위


주자네 두프케 2,555 1.6% 9위 2,428 1.5% 9위
'''
dieBasis
'''
알렉산더 크렌츠 2,270 1.4% 10위 1,532 0.9% 10위


안드레아스 쿠비쉬 1,023 0.6% 11위 866 0.5% 11위
'''
BÜRGERBEWEGUNG
'''
지그마어 헤얼링어 49 0.0% 12위 - - -



(Internationalitsches Bündnis)
- - - - 819 0.5% 12위
'''
Bündnis C
'''
- - - - 710 0.4% 13위
'''
Todenhöfer
'''
- - - - 617 0.4% 14위
'''
Volt
'''
- - - - 561 0.3% 15위


- - - - 318 0.2% 16위
'''
ÖDP
'''
- - - - 218 0.1% 17위
'''
NPD
'''
- - - - 206 0.1% 18위
'''
Gesundheitsforschung
'''
- - - - 177 0.1% 19위
'''
Die Humanisten
'''
- - - - 115 0.1% 20위
'''
DiB
'''
- - - - 62 0.0% 21위
'''
MLPD
'''
- - - - 55 0.0% 22위
'''
BÜNDNIS21
'''
- - - - 52 0.0% 23위
'''
LKR
'''
- - - - 18 0.0% 24위
'''
DKP
'''
유효표 162,541 162,617
무효표 1,441 1,365
총 투표수 163,982 163,982
투표율 75.5% 75.5%
결과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1] 1998년 사민당 우테 포크트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