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00:21:07

펠릭스 루셀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펠릭스 루셀
Felix Rousell
출생 2001년 8월 10일 ([age(2001-08-10)]세)
퀘벡주 셔브룩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8cm
국가대표 2022-23~2024-25 (3시즌)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 500m, 1000m, 1500m

1. 개요2. 선수 경력
2.1. 2022-23 시즌2.2. 2023-24 시즌
3. 수상 기록

1. 개요

캐나다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2.1. 2022-23 시즌

2.1.1. 월드컵 시리즈

  • 1차
    혼성 2000m 계주 결승에서 3번 주자로 출전했고, 코트니 사로의 강한 푸쉬로 벨기에를 인코스로 추월하여 2위로 올랐지만 3위로 올라온 임용진에게 인코스를 내주며 다시 3위로 떨어졌다. 이후 다음 주자가 스테인 데스멋에게 인코스를 내주며 4위로 떨어졌지만 리키 독이 하너 데스멋을 인코스로 다시 추월해 다시 3위로 올라왔다가 거리를 벌리면서 달리던 네덜란드의 쉬자너 스휠팅이 넘어져 2위로 올라섰지만 마지막 바퀴에서 벨기에에게 인코스로 추월을 당하여 동메달을 차지했다.
5000m 계주에서는 준결승에 출전하여 1위로 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에서는 파스칼 디옹홍경환을 인코스로 추월을 한 후 넘어지면서 메달 획득에 실패할 뻔했으나 2위로 들어온 이탈리아가 페널티를 받으면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2차
    5000m 계주는 역시나 1차 대회처럼 준결승에 출전하여 1위로 결승에 진출했으며, 이번에는 팀이 다른 나라들의 거리를 벌리면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3차
    1500m(2)에서는 동료 윌리엄 단지누와 함께 준결승에 묶었고, 3명의 한국 선수를 상대하게 되었으며 박지원이 옌스 판트바우트의 무리한 인코스 추월로 밀려나면서 4위로 올랐으나 끝까지 4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5000m 계주에서는 결승에서 3번 주자로 출전했고, 마지막 반바퀴에서 조르당 피에르질이 박지원을 인코스로 추월을 성공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 4차
    1500m 준결승에서는 마지막 바퀴에서 요시나가 카즈키와 근소한 차이로 2위로 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에서는 체력이 떨어져 최하위를 기록했다.
  • 5차
    1000m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으며, 김태성과 일본의 미야타 쇼고가 충돌한 틈에 3위로 올라와 동메달이자 개인전 첫 메달을 획득했다.
1500m(2)에서는 준결승에서 이츠하크 더라트와 함께 넘어지며 탈락했다.
5000m 계주에서는 결승에서 3위로 달리던 중 본인-파스칼 디옹 터치 타이밍에서 파스칼 디옹을 넘어뜨리는 실수를 하여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 6차
    1000m(1)는 준준결승에서 김태성, 디아네 셀리에에 이어 3위로 결승선을 통과하여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준결승에서는 4위로 달리던 도중 삐끗하여 최하위로 들어오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2. 2023-24 시즌

2.2.1. 월드컵 시리즈

  • 1차
    1500m에서는 황대헌, 린샤오쥔과 한 조에 묶여 결승 진출이 힘들어보였으나, 2바퀴 반에서 프리소 에몬스를 인코스로 추월하여 3위로 올라섰고, 마지막 반에서 린샤오쥔을 아웃코스로 추월을 하여 2위로 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에서는 5바퀴를 남겨놓고 아웃코스로 추월을 하던 중 넘어지면서 7위를 기록했다.
500m에서는 첫 결승 진출을 이뤄내여 2번 레인에 배정받았고, 결승선을 2위로 통과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5000m 계주에서는 준결승에 출전하였고, 결승에서는 팀의 활약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 2차
    1500m(1)에서는 계속 뒤쪽에서만 경기를 하면서 결승선을 5위로 통과하여 탈락했다.
1000m 준준결승에서는 쑨룽, 리우 샤오앙이 앞에서 선두를 끌고 있던 중 리우 샤오앙을 인코스로 추월하여 2위로 올랐지만 옌스 판트바우트에게 인코스 추월을 당하여 결국 4위로 통과했지만 옌스 판트바우트를 막는 과정에서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는 판정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5000m 계주에서는 결승에서 3번 주자로 출전했고, 경기 후반 거리가 너무 벌어져 힘들어보였으나 김건우가 서이라를 터치하기 직전에 삐끗해 제대로 밀지 못하여 거리가 좁혀졌고, 대한민국을 추월하여 중국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 3차
    5000m 계주에서는 윌리엄 단지누가 마지막 바퀴에서 중국을 인코스로 추월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500m 준결승에서 가장 불리한 5번 레인에 배정받았고, 4위로 달리던 중 스테인 데스멋이 넘어져 3위로 올라왔다가 미하우 니에빈스키에게 인코스를 내주며 4위로 결승선을 통과하여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 5차
    500m에서는 결승에서 2번 레인에 배정받았고, 빠른 스타트로 2위로 뛰었으며 마지막 결승선에서 데니스 니키샤와 0.008초 차이로 아쉽게 2위로 들어왔지만 데니스 니키샤가 본인을 팔로 막았다는 판정으로 실격 처리되면서 본인의 월드컵 시리즈 개인전 첫 금메달을 차지했다.
1000m(1)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으며, 마지막 반바퀴에서 박지원을 인코스로 추월을 하려다가 실패한 스티븐 뒤부아를 인코스로 추월하였고, 박지원을 아웃코스로 추월을 하려 했으나 박지원의 마킹으로 밀려나면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5000m 계주 준결승에서는 결승선을 1위로 통과했지만 조르당 피에르질요시나가 카즈키를 추월하는 과정에서 레인 변경을 했다는 판정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 6차
    500m(1)에서는 준준결승에서 4번 레인에 배정받아 불리했지만, 스티븐 뒤부아, 서이라에 이어 3위로 결승선을 통과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3번 레인에 배정받았지만 4번 레인의 김태성에게 완전히 밀려나버렸고, 결승선을 최하위로 들어오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혼성 2000m 계주에서는 팀이 대한민국을 추월을 하지 못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500m(2)에서는 준결승에서 1위로 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에서는 동료 스티븐 뒤부아에 이어 2위로 들어왔지만 미하우 니에빈스키를 추월하는 과정에서 팔로 막았다는 판정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5000m 계주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월드컵 랭킹은 최종 5위를 차지했다.

3. 수상 기록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25 베이징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 2025 베이징 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수상 기록
월드 투어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500 m 랭킹 0 0 1 1
합계 0 0 1 1
월드 투어 메달 포디움
500m 1 1 0 2
1000 m 1 1 0 2
1500 m 0 0 1 1
개인전 합계 2 2 1 5
5000 m 계주 7 2 1 10
2000 m 혼성 계주 1 1 3 5
계주 합계 8 3 4 15
메달 합계 10 5 5 20
랭킹 + 메달 합계 10 5 6 21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랭킹[1]
시즌 종합 500m 1000m 1500m
2022-23 24위 - 16위 -
2023-24 5위 3위 - 18위
2024-25 12위 - 5위 13위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2]


[1]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2]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11개의 82%인 9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