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AE1C28><colcolor=#ffffff> 이츠하크 더라트 Itzhak de Laat | |
| |
출생 | 1994년 6월 13일 ([age(1994-06-13)]세) |
프리슬란트 레이우아르던 | |
국적 |
|
신체 | 175cm, 63kg |
국가대표 | 2011-12, 2014-15~2025-26 (13시즌)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별명 | 떼라트[1] |
SNS |
1. 개요
네덜란드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다.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츠하크 더라트/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츠하크 더라트/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다리가 길고 마른 편이라 순속 만큼은 정상급이고 인코스 추월을 자주 시도한다. 전 종목을 고루 잘 타며 결승에 진출할 정도의 실력은 있지만4. 수상 기록
| ||
금메달 | 2017 로테르담 | 5000m 계주 |
금메달 | 2021 도르드레흐트 | 5000m 계주 |
금메달 | 2023 서울 | 혼성 2000m 계주 |
은메달 | 2021 도르드레흐트 | 1500m |
2위 | 2021 도르드레흐트 | 3000m S.F. |
은메달 | 2022 몬트리올 | 5000m 계주 |
| ||
금메달 | 2017 토리노 | 5000m 계주 |
금메달 | 2018 드레스덴 | 5000m 계주 |
금메달 | 2021 그단스크 | 5000m 계주 |
금메달 | 2023 그단스크 | 혼성 2000m 계주 |
금메달 | 2023 그단스크 | 5000m 계주 |
금메달 | 2024 그단스크 | 혼성 2000m 계주 |
금메달 | 2024 그단스크 | 5000m 계주 |
은메달 | 2019 도르드레흐트 | 5000m 계주 |
은메달 | 2020 데브레첸 | 5000m 계주 |
은메달 | 2020 데브레첸 | 1500m |
2위 | 2021 그단스크 | 3000m S.F. |
3위 | 2020 데브레첸 | 3000m S.F. |
동메달 | 2021 그단스크 | 종합 |
동메달 | 2021 그단스크 | 500m |
동메달 | 2021 그단스크 | 1000m |
동메달 | 2024 그단스크 | 1500m |
4.1. 월드 투어 성적
| ||||
월드 투어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1000 m 랭킹 | 0 | 0 | 1 | 1 |
합계 | 0 | 0 | 1 | 1 |
월드 투어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1000 m | 0 | 1 | 2 | 3 |
개인전 합계 | 0 | 1 | 2 | 3 |
5000 m 계주 | 5 | 12 | 5 | 22 |
2000 m 혼성 계주 | 5 | 2 | 2 | 9 |
계주 합계 | 10 | 14 | 7 | 31 |
메달합계 | 10 | 15 | 9 | 34 |
랭킹 + 메달 합계 | 10 | 15 | 10 | 35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11-12 | - | 53위 | - | - |
2014-15 | - | 50위 | 31위 | 46위 |
2015-16 | - | 55위 | 54위 | - |
2016-17 | - | 37위 | 17위 | - |
2017-18 | - | - | 32위 | 15위 |
2018-19 | - | 17위 | 22위 | 25위 |
2019-20 | - | 10위 | 20위 | 18위 |
2021-22 | - | 24위 | 3위 | 26위 |
2022-23 | 23위 | 16위 | 21위 | 36위 |
2023-24 | 23위 | 32위 | 33위 | 7위 |
2024-25 | 27위 | 21위 | 23위 | -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3] |
2024-25 시즌 수상기록까지
5. 여담
- 헬멧 디자이너이며 팀 동료 쉬자너 스휠팅, 벨제부르 자매에게 헬멧을 디자인을 한 뒤 2023-24 시즌에 월드컵 종합 우승을 한 박지원, 김길리에게 크리스탈 글로브 헬멧을 제작해 주었고[4] 그 다음 시즌인 2024-25 시즌 월드 투어 종합 우승자인 윌리엄 단지누와 크리스틴 산토스그리스월드에게도 헬멧을 디자인 해주었다.[5] 또한 자신이 쓰고 나온 헬멧 역시 본인이 디자인한 것이다.
[1] 2019-20 월드컵 6차 대회 1000m(1) 결승에서 넘어진 이후 펜스 바깥쪽에서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다가 박인욱이 페널티를 받은 후 웃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히면서 생긴 별명[2]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3]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33개의 82%인 27개까지 표기[4] 한국 팬들에게 꿀벌 헬멧 같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5] 전체적인 디자인은 전의 크리스탈 글로브 헬멧과 비슷하지만 뒤에 선수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지 않고, 숫자 1이 적혀있는 큰 동그라미가 황금색에서 주황색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