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23:21:58

홍경환

파일:스케이트.png
고양시청 쇼트트랙팀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rowcolor=#ffffff> 감독
모지수
<rowcolor=#fff> 여자 남자
김아랑''' [[주장|
C
]]'''
김지유 이유빈 홍경환 이성우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홍경환
Hong Kyung Hwan
파일:홍경환.png
출생 1999년 1월 5일 ([age(1999-01-05)]세)[1]
경기도 과천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7cm, 68kg
학력 관문초등학교 (졸업)
서현중학교 (졸업)
서현고등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재학)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MBTI ENFJ
소속 고양시청
국가대표 2016-17, 2018-19, 2022-23(3시즌)
종교 기독교[2]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4.2. 월드컵 성적
5. 기타6. 둘러보기

1. 개요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경환/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홍경환/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홍경환/선수 경력#|]][[홍경환/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피지컬적인 부분, 즉 스피드나 파워, 체력[3] 부문에서 탑급은 아니지만, 경기를 읽는 능력과 운영에 강점이 있어 중장거리 레이스에서 난전이 벌어지는 상황에 특히 강한 면모를 보인다. 아웃코스 추월이 특출나지는 않으나 앞서 말한 레이스 리딩 능력 덕에 아웃코스 기술 자체와는 별개로 추월 타이밍을 잘 잡는 편이고, 아웃코스보다는 준수한 순발력을 이용한 인코스 추월에 더 뛰어나다. 이는 아웃코스를 써먹기 어려운 난전 상황에서 특히나 빛을 발휘하는데, 선수들이 서로 붙고 뒤엉킨 상황에서도 인코스로 침착하게 한 순위씩 올라올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4] 또한 초반이나 중반에 추월을 실패하더라도 특유의 회복력으로 후반에 다시 선두권까지 인코스로 차근차근 치고 올라오는 모습을 자주 연출하기도 하며, 이 때문에 홍경환이 뒤로 밀려났더라도 후반에 절대 방심하면 안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 밖에도 부드러운 스케이팅과 안정감 등을 포함한 특징이 이정수와 흡사하며, 홍경환은 이정수에 지구력과 파워를 조금 덜어낸 대신 순발력과 인코스 추월 능력을 더한 선수라고 표현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상술한 홍경환의 장점들이 계주에서는 제대로 발휘되기 힘든 능력들이고, 이정수처럼 스퍼트 능력이 부족해 계주나 단거리 활약상이 중장거리 퍼포먼스에 비해 아쉬운 편이다.

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

대회 합계
세계선수권 <colbgcolor=#ffe970,#554600> 1 <colbgcolor=#c0c0c0,#444444> 0 <colbgcolor=#cd7f32,#442910> 1 2
사대륙 선수권 0 1 1 2
청소년 올림픽 1 0 0 1
유니버시아드 2 0 0 2
주니어 세계선수권 3 1 0 4
합계 7 2 2 11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성적
월드컵 랭킹 0 3 0 3
월드컵 메달 7 13 7 27
합계 7 16 7 30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9 소피아 5000m 계주
동메달 2023 서울 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은메달 2023 솔트레이크시티 1500m
동메달 2023 솔트레이크시티 5000m 계주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 청소년 올림픽
금메달 2016 릴레함메르 500m
파일:FISU 로고.svg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5000m 계주
금메달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8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 종합
금메달 2018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 1000m
금메달 2018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 1500m
은메달 2018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 500m
3위 2018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 1500m S.F.

4.2.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종합 0 1 0 1
1000 m 랭킹 0 1 0 1
1500 m 랭킹 0 1 0 1
합계 0 3 0 3
월드컵 메달 포디움
1000 m 1 2 1 4
1500 m 1 5 2 8
개인전 합계 2 7 3 12
5000 m 계주 2 3 3 8
2000 m 혼성 계주 3 3 1 7
계주 합계 5 6 4 15
메달합계 7 13 7 27
랭킹 + 메달 합계 7 16 7 30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5]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16-17 - - 14위 6위
2018-19 - - 2위 5위
2022-23 2위 - 4위 2위
랭킹 20위까지 표기[6]

5. 기타

  • 곽윤기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 종종 등장했는데 곽윤기가 국가대표가 된 이후엔 비중이 줄었지만 고양시청에 있을 때는 임용진과 함께 자주 등장한다. 본인이 국가대표로 선발되고 나서는 곽윤기의 개인 유튜브 채널의 특파원으로 임용진과 함께 활약해 국가대표 선수들의 이야기를 유튜브로 전달해주었다.

6. 둘러보기

홍경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우승제: 1회(1994년) ~ 25회(2018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4 1995 1996 1997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준 파일:캐나다 국기.svg 장 프랑수아 모네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파일:캐나다 국기.svg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준
<rowcolor=#ffffff> 1999 2000 2001 200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룡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2004 2005 2006 2007 200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우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윤재
2009 2010 2011 2012 20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엄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이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세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세영
2014 2015 2016 2017 20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문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겸 파일:중국 국기.svg 런쯔웨이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경환
}}}}}}}}} ||
종합 우승제 폐지: 26회(2019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19 2019
몬트리올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성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20 2020
보르미오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민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호경 1000m 파일:중국 국기.svg 쑨룽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현우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성
2022 2022
그단스크
500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예닝 데 부 2023 2023
드레스덴
500m 파일:폴란드 국기.svg 미하우 니에빈스키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서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현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녕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현
2024 2024
그단스크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동민 2025 2025
캘거리
5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튜 펠레티어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동민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종언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종언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종언
2026 2026
솔트레이크 시티
500m 파일:국기.svg 2027 2027
알마티
500m 파일:국기.svg
1000m 파일:국기.svg 1000m 파일:국기.svg
1500m 파일:국기.svg 1500m 파일:국기.svg }}}}}}}}}
}}}}}}}}} ||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 남자 여자
황대헌 홍경환 김지유 이수연



[1] 빠른 년생으로 1998년생들과 학교를 같이 다녔다.[2] 인스타그램 게시물에 "하나님께서 다 뜻이 있으시리라 믿습니다."라는 문구를 적었다.[3] 지구력도 좋은 편에 속한다. 하지만 체력 자체보다는 경기 운영이 뛰어나 체력 분배를 잘하는 쪽에 더 가깝다.[4] 황대헌 처럼 여러 명을 인코스로 한꺼번에 제치기 보다는 한 단계씩 추월하는 것을 선호한다.[5]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6] 랭킹 표기: 20위까지 표기 (전체 랭킹기록 9개 중에 80%인 7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