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 캐릭터별 여담 ]] | |
{{{#!wiki style="margin: 0 -0px -1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ffffff,#e0e0e0> | 은하열차 |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여담| 카일루스 스텔레 히메코 웰트 Mar. 7th 단항 |
| 스텔라론 헌터 |
## 구분선 [[은랑/여담| 은랑 블레이드 카프카 반디 |
## 구분선 [[아를란/여담| 아를란 아스타 헤르타 완·매 더 헤르타 |
| 벨로보그 |
## 구분선 [[브로냐(붕괴: 스타레일)/여담| 브로냐 게파드 클라라 서벌 나타샤 페라 삼포 후크 제레 루카 링스 |
| 선주 연맹 |
## 구분선 [[연경(붕괴: 스타레일)/여담| 연경 백로 청작 정운 소상 경원 나찰 어공 단항·음월 부현 경류 계네빈 곽향 한아 설의 운리 비소 맥택 영사 망귀인 |
| 스타피스 컴퍼니 |
## 구분선 [[토파즈&복순이/여담| 토파즈&복순이 어벤츄린 제이드 |
| 페나코니 |
## 구분선 [[미샤(붕괴: 스타레일)/여담| 미샤 갤러거 로빈 |
| 앰포리어스 |
| 은하 |
## 구분선 [[아젠티/여담| 아젠티 Dr. 레이시오 블랙 스완 스파클 아케론 부트힐 라파 선데이 |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3c415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50px; text-align: center" |
[clearfix]
1. 개요
트리비에 대한 여담을 정리한 문서.2. 목록
2.1. 게임 내
- 황금의 서사시 PV에서는 등장 장면마다 여러 명의 트리비가 나오며, 마지막 황금의 후예들의 단체샷에서도 세 명이 한 자리에 있다. 또한 이름, 호칭 '삼상의 전달자'와 같이 숫자 3을 연상시키는 요소가 많은데 붕괴3rd, 원신, 붕괴: 스타레일에서 지속적으로 우주의 근본 규칙 중의 하나라고 설명하는 '3의 법칙'을 모티브 설정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 앰포리어스에서 가장 오래된 창세 티탄인 '만 갈래의 문' 야누스의 신권 대리자이며, 야누스는 1월을 상징하는 첫번째 티탄인 만큼 오래되어 불씨를 오래 전에 반납하고 침묵하였다. 때문에 트리비는 탄생한 지 가장 오래된 황금의 후예 중의 하나이다. 그런 만큼 트리비는 모습이 어려진 현재도 야누스의 힘뿐만 아니라 야누스와 함께 3명의 창세 자매로서 관계가 깊은 세월의 티탄 오로닉스의 힘까지 다룰 수 있는 다재다능한 능력을 보여준다. 변경에서 찾아온 파이논뿐만 아니라 수백 년을 살아온 아글라이아조차 트리비를 선생님이라고 존칭하며, 원로원을 제외한 대다수의 NPC들은 야누스의 대사제님이라고 부르며 지극히 존경을 받고 있다.[1]
- 자신을 칭할 때 *우리*라고 한다.[2] 하지만 본명인 트리스비오스를 말할 때는 *나*라고 칭했다. 영웅기 작성 중에는 이 3명 외에도 더 많은 트리비가 있었다는 내용이 있다.
- 어린아이 같은 현재 모습은 원래 모습에서 변한 것이라고 한다. 이탓에 아글라이아의 은하탐구생활에 게스트로 출연했을 때는 빼미가 트리비를 어린아이로 착각했으며 이때 서로 말하는걸 보면 이런 일이 처음도 아니라고 한다.
- 닮은꼴로 아동 체형인 테레사 아포칼립스, 나히다[3], 클레[4] 등등이 거론되는 편이다. 특히 앳된 외모와는 달리 선생님이라는 점 때문에 테레사, 나히다와 역할이 비슷한 구간이 있다.
2.1.1. 트리앤, 트리논
1인칭을 우리라고 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 트리비, 트리앤, 트리논이 모여 트리스비오스를 이룬다. 성우도 같고 세 쌍둥이마냥 서로를 쏙 빼닮았지만 말투, 성격, 헤어 스타일 등에서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다.- 트리앤은 한쪽 눈을 가렸으며, 다소 개구진 면을 가졌다. 일본어판에서는 이에 걸맞게 1인칭을 僕たち을 쓰는 보쿠소녀가 되기도 했다. 맡은 직책은 백계를 누비는 문 장인으로, 작중에선 크렘노스성, 야누스폴리스에 가는 통로를 만들어주었으며, 이동하는 거대 요새인 크렘노스성의 위치를 니카도르의 권속들을 미행하여 알아내기도 했다. 매사에 자신감이 있지만 종종 트리논에게 츳코미를 당하기도 한다.
- 트리논은 앞머리도 눈을 거의 가릴 정도로 긴데다가 눈을 꽃모양 안대로 완전히 가렸으며, 차분하고 내향적이며 예의바른 면모를 보인다. 다만 기면증이 있는지 하품을 자주 하며 전반적으로 해탈하고 느긋한 태도를 보인다. 맡은 직책은 신탁을 경청하는 사제로, 창세의 소용돌이에서 파이논의 불씨 계승 의식을 치뤄주었다. 트리앤에게 츳코미를 걸기도 한다.
2.1.2. 모티브 캐릭터 관련
모티브 캐릭터가 불분명하나, 다음과 같은 추측은 가능하다.- 13인의 영웅 중에서 다중인격, 기술자 기믹, 로켓과 같은 직접적인 기믹 부분은 많은 부분에서 빌브이를 닮았다. 속성도 빌브이와 마찬가지로 양자 속성이다.
- 흰 원피스, 머리와 옷을 수놓은 꽃 장식[7], 유일한 아동 체형, 별과 달, 우주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그리세오 또한 연상할 수 있다. 아글리이아와 카스토리스처럼 모티브가 융합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캐릭터 중 하나.
- 꽃 장식, 어린 외모라는 측면에선 원신의 나히다와 유사하다. 나히다의 경우 클로버 모양의 동공과 엘프귀까지 똑같다.[8] 어린 외모와는 달리 선생님이라고 불리는 설정에선 테레사 아포칼립스를 닮았다.
2.2. 게임 외
- 2.7 버전 방송 중 공개된 황금의 서사시 PV에서 등장했다.
- 그리스 신화 모티브는 헤카테라고 추정되는 편이다. 헤카테는 3명의 여자가 하나인 모습이며 '문'에 대한 관련성이 깊어 사실상 트리비의 공개 정보와 일치한다. 다만 날개가 달린 모습이나 전달자라는 설명 때문에 헤르메스 모티브라고 추정하는 경우가 있다.
- 평소처럼 방송 공지가 나온 다음 날에 실장이 공개되었지만 그 누구도 토요일에 공개될 줄 몰랐다는 반응이 많은데 이는 원래 업데이트 2주 전 월요일에 공개됐어야 할 방송 공지가 3주 전 금요일에 공개되는 바람에 그쪽으로만 정신이 쏠려 미처 신캐 공개를 생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 캐릭터 카드 오른쪽 상단에 스타레일식 고대어가 적혀 있다. 이를 해석하면, From now on no more goodbyes.(이제부턴 더 이상 작별 인사를 하지 마세요.)
2.2.1. 단컷 만화
파일:트리비 단컷 만화.png |
폼폼 갤러리 | 제목 |
만화 내용 |
2.2.2. 프로모션 일러스트
- 2025년 설날
스타레일 봄맞이–〈문〉 |
지금은 동료들과 행복한 모임 시간! 트리비, 트리앤, 트리논의 매직쇼 〈문〉을 감상해 보세요! 「흠흠, 새해 종소리군. 이 빨간 천 밑에서 어떤 무시무시한 게 나올까?」 「겁주기, 나빠. 긴장감 조성, 좋아」 「짠! 트리비, 트리앤, 트리논 깜짝 등장!」 「새해 인사를 하러 만 갈래의 문을 지나왔어~」 *본 프로그램은 실제 게임 스토리 및 설정과 무관합니다. |
- 찌라시로는 화합이라는 이름의 딜러라는 설이 있다. 전투스킬로 아군 전원에게 속성 관통을 부여하고 필살기는 초구처럼 장막을 펼쳐 아군이 공격한 유닛 중 체력이 높은 적에게 트리비의 체력 비례 추가 피해를 주고 적 전원에게 양자 피해를 주며, 아군이 필살기를 사용하면 추가 공격을 가한다.
- 인게임에서는 트리앤과 트리논도 모델링 되어서 나온다. 다만 스바로그처럼 대기모션이나 스킬에 한정되며 필드에는 트리비만 나온다.
2.3.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
[[일본| ]][[틀:국기| ]][[틀:국기| ]] 토오노 히카루 - 앰포리어스 도착 특별 방송
[1] 앰포리어스의 원로원은 황금의 후예들이 티탄 왕국별로 권력을 다투었던 황금 전쟁 당시부터 존재했던 집단이기 때문에, 원로원 의원 중에는 수백 년 살아온 아글라이아, 트리비와 연배가 비슷하다든지 나이가 많은 인물이 있다고 암시된다.[2] 일본어에서는 이 지칭이 각자 다른데, 트리앤은 보쿠, 트리논은 와타시, 그리고 트리비는 혀짧은 와타시를 사용한다. 이 외에도 시(し)를 혀 짧은 치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3] 뾰족귀와 클로버 모양의 동공을 가졌다는 점이 닮았으며, 옷 과 신발 디자인도 매우 유사하다.[4] 마침 트리비를 맡은 방연지 성우는 원신에서 클레를 담당하고 있다.[5] 일본어에선 전부 쨩(ちゃん)을 붙인다.[6] 중국어 기준 파이논의 이름에는 白가 들어가기에 달리 해석하면 흰둥이(…)라고도 생각될 수 있는 애칭이며, 이를 반영해 영어판에서도 종종 Snowy라고 부르기도 한다.[7] 둘 다 눈동자에 꽃을 포함했다. 그리세오는 안광 모양이 꽃, 트리비는 동공 모양이 꽃이다.[8] 단, 애초에 나히다의 모티브 캐릭터로 테레사 아포칼립스가 꼽힌다는 점에서 간접적인 참고에 가까울 수 있다. 그 외에도 '어려졌다'는 언급 역시 더욱 나히다를 연상시키는 부분.[9] 로켓을 타고 날아다니며 터지는 모션이 있기에 원신의 클레와 비슷하다는 평이 있다. 마침 한국판 트리비의 목소리는 클레를 맡았던 방연지 성우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