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트렌트 손튼 Trent Thornton | |
| 본명 | 트렌트 에드워드 손튼 Trent Edward Thornton |
| 출생 | 1993년 9월 30일 ([age(1993-09-30)]세) |
|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 | |
| 국적 | |
| 학력 | 아드레이 칼 고등학교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 신체 | 183cm | 88kg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2015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39번, HOU) |
| 소속팀 |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9~2023) 시애틀 매리너스 (2023~2025) |
| SNS | |
1. 개요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아드레이 칼 고등학교 졸업 후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 진학했다. 1학년과 2학년 때는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으나 3학년 때 제구력 난조로 평균자책점 5.08의 부진을 겪었다. 이후 2015 MLB 신인드래프트에서 5라운드 전체 139순위로 휴스턴 애스트로스에 지명되었으며 계약금 32만 5000달러를 받았다.2.1. 마이너리그 시절
지명 첫 해인 2015년 A-에서 15경기(12선발) 55이닝 4승 무패, 평균자책점 3.27을 기록하며 순조롭게 마감했고, 이듬해에는 AA까지 콜업되어 24경기(21선발) 135⅔이닝 10승 5패 평균자책점 3.52로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2017년, AAA로 승격되었지만, 25경기(23선발), 131⅓이닝 9승 6패, 평균자책점 5.21을 기록하며 고전했다.
2018년에는 타고투저로 악명 높은 PCL리그에서 24경기(24선발), 124⅓이닝 9승 8패, 평균자책점 4.42로 전년대비 안정적인 시즌을 보내며 자리를 잡았다.
2.2. 토론토 블루제이스
| |
2.2.1. 2019 시즌
토론토의 개막 선발진은 기존 주축인 마커스 스트로먼, 애런 산체스 외에 새로 영입된 클레이 벅홀츠, 맷 슈메이커까지 4명에다 남은 한 자리를 두고 손튼, 라이언 보루키 등 영건 투수들이 경쟁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보루키가 시즌 개막 직전 부상으로 이탈하며 손튼이 예상보다 이르게 기회를 잡게 됐고, 3월 31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전 선발 투수로 데뷔를 했는데, 5이닝 무실점 탈삼진 8개의 인상적인 데뷔전을 치렀다.두 번째 등판 경기였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전도 비록 2실점을 했으나 5⅔이닝 동안 7개의 탈삼진을 잡아냈지만, 다음 경기부터 기복을 보이기 시작했다. 5월 3일 텍사스 레인저스 전에서는 7이닝 무실점, 19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전에서는 6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이외의 다른 경기들에서 많은 이닝을 책임지지 못하고 3실점 이상 하는 경기가 잦아졌다. 심지어 7월 한 달 동안은 4경기에서 13이닝 밖에 소화하지 못하는 동안 평균자책점이 11.08까지 치솟기도 했다. 7월의 마지막 등판이었던 디트로이트 전 이후에는 오른쪽 팔꿈치 염증으로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기도 했다.
10일 정도의 휴식을 마치고 나서 복귀 첫 등판이었던 8월 1일 볼티모어 오리올스 전은 6이닝 동안 1실점만 하며 승리를 거머쥐었다. 다만 바로 다음 경기인 탬파베이 레이스 전에서는 3⅔이닝 동안 6실점 하는 등 기복은 여전했으나, 마지막 9월 한 달 동안은 24⅔이닝 동안 2.19의 ERA를 기록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는 데에는 성공했다. 또한 9월에 등판한 5경기 중 3경기에서는 선발 투수가 아닌 오프너로 등판하기도 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32경기 출전 29경기 선발 등판하는 동안 154⅓이닝을 소화했고, ERA 4.84, 149개의 탈삼진과 66개의 사사구, 24개의 피홈런을 기록했다.
데뷔 첫 시즌이었음에도 보루키, 벅홀츠, 슈메이커 등의 선발 자원의 잇따른 부상 이탈과 시즌 중 스트로먼과 산체스의 트레이드 이적으로 황폐화된 토론토 선발진에서 유일하게 시즌 내내 선발 로테이션을 지킨 선수로 남았다. 산뜻했던 첫 시작과 달리 시즌 중 엄청난 기복을 보였으나, 9월 한 달 동안은 기복을 상당히 줄인 모습을 보여 다음 시즌에는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줄 거란 기대의 여지를 남겼다.
2.2.2. 2020 시즌
선발 자리를 맡아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첫 경기였던 7월 27일 워싱턴 내셔널스전에서 4이닝 1실점을 기록한 뒤 팔꿈치 염증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복귀해서 2경기를 더 던졌지만 부상이 재발하여 시즌아웃되었다.최종성적은 3경기 5⅓이닝 평균자책점 11.12로 부상으로 인해 실망스러운 성적을 남겼다. 시즌아웃된 이후 뼈 조각 제거 수술을 받았다.
2.2.3. 2021 시즌
불펜으로 보직을 전환했다. 멀티이닝 소화 역할을 맡아 5월까지 25⅓이닝 평균자책점 2.49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전환으로 보였으나, 이후 부진하면서 6차례나 마이너를 오가다 시즌을 마무리했다.최종 성적은 37경기 49이닝 1승 3패 평균자책점 4.78. 우투수임에도 우타 상대 OPS가 무려 .942로 극단적인 역스플릿을 보였다.
2.2.4. 2022 시즌
우타자 상대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작년까지 사용하던 커터를 버리고 스위퍼를 새로 장착했다.6월 22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전에서 ⅔이닝 무실점으로 데뷔 첫 홀드를 챙겼다.
마이너를 여러차례 오가며 32경기에 등판, 46이닝 2패 3홀드 평균자책점 4.11을 기록했다.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으나, 2022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로스터에서는 제외되었다.
2.2.5. 2023 시즌
1월 13일, 연봉 조정을 피해 10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스프링 트레이닝에서 부진하면서 개막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주로 AAA에 머물면서 4경기동안 등판했고, 7월 21일 헤네시스 카브레라 웨이버 트레이드로 40인 로스터에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DFA되었다.
2.3. 시애틀 매리너스
7월 26일 시애틀이 클레임을 걸었고 메이슨 맥코이를 상대로 1대1 트레이드되며 시애틀로 이적했다.2.3.1. 2023 시즌
8월 2일 시애틀 데뷔전을 치렀고 2⅓이닝 3K 무실점을 기록했다.이후에도 꾸준히 호투를 이어가며 2023년 시애틀에서는 23경기 26이닝 1승 2패 4홀드 ERA 2.08의 반등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2.3.2. 2024 시즌
1월 11일, 연봉 조정을 피해 12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맷 브래시, 그레고리 산토스가 이탈을 하자 팀의 필승조로 승진했다. 4월까지는 뛰어난 활약을 했지만 이후 난조를 보이며 추격조로 밀려났다.
6월 26일 탬파베이 레이스전에서 커리어 첫 세이브를 올렸다.
시즌 최종 성적은 71경기 72⅓이닝 4승 3패 10홀드 1세이브 평균자책점 3.61 WHIP 1.13으로, 팀내 최다 등판을 했다. 특히 패스트볼 구속이 상승한 것이 고무적인 요소.
2.3.3. 2025 시즌
1월 9일, 연봉 조정을 피해 20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개막전 8회초 동점 상황에 등판했으나, 타일러 소더스트롬에게 홈런을 허용했다. 다행히 팀은 8회에 역전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 이후로 나왔다 하면 실점을 적립하며 크게 부진하고 있다. 전년 대비 구속이 크게 줄면서 이제는 패전조로도 써먹기 힘든 수준이었으나, 6월 중순부터 반등하면서 롱 릴리프로 활약하고 있다.
7월 31일 텍사스 레인저스전에서 수비 도중 좌측 아킬레스건 파열을 당해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최근 활약하고 있는 데다가 대체 자원인 케이시 레구미나가 재앙급 성적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아쉬운 부분이다.
8월 19일 사우린 라오를 콜업하기 위해 60일 부상자 명단으로 옮겨져 공식적으로 시즌아웃되었다.
이후에도 비록 경기는 못나가도 계속 해서 얼굴을 비추고 있다. 팀의 지구 우승이 확정된 축하 자리에서 깁스한 다리를 킥보드에 태우고 그라운드를 도는 퍼포먼스를 했고, 디비전 시리즈 2차전을 앞두고는 마이크를 들고서 응원 멘트를 하며 관중 호응을 유도했다.
시즌 후 논텐더되었다.
3. 피칭 스타일
평균 94~95/최고 98마일의 포심 패스트볼을 던지며, 변화구로는 스위퍼, 커브, 슬라이더를 구사한다. 평균 회전수가 3000에 가까운 스위퍼가 장점이며, 시애틀에 와서는 패스트볼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4. 연도별 성적
| |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9 | TOR | 32 | 6 | 9 | 0 | 0 | 154⅓ | 4.84 | 156 | 24 | 61 | 5 | 149 | 1.406 | 94 | 1.9 | 1.2 |
| 2020 | 3 | 0 | 0 | 0 | 0 | 5⅔ | 11.12 | 15 | 0 | 3 | 0 | 6 | 3.176 | 42 | 0.2 | -0.3 | |
| 2021 | 37 | 1 | 3 | 0 | 0 | 49 | 4.78 | 54 | 12 | 16 | 4 | 52 | 1.429 | 94 | -0.4 | -0.3 | |
| 2022 | 32 | 0 | 2 | 0 | 3 | 46 | 4.11 | 40 | 7 | 17 | 1 | 37 | 1.239 | 94 | -0.1 | 0.2 | |
| <rowcolor=#c4ced4>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3 | TOR/SEA | 27 | 1 | 2 | 0 | 2 | 31⅓ | 2.01 | 30 | 5 | 6 | 0 | 26 | 1.149 | 204 | 0.0 | 0.4 |
| 2024 | SEA | 71 | 4 | 3 | 1 | 10 | 72⅓ | 3.61 | 63 | 8 | 19 | 5 | 77 | 1.134 | 103 | 0.6 | 0.3 |
| 2025 | 33 | 2 | 0 | 0 | 5 | 42⅓ | 4.68 | 41 | 6 | 14 | 4 | 32 | 1.299 | 81 | -0.3 | -0.1 | |
| MLB 통산 (7시즌) | 235 | 14 | 19 | 1 | 20 | 401 | 4.38 | 399 | 62 | 136 | 19 | 379 | 1.334 | 96 | 1.9 | 1.4 | |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 트렌트 손튼의 역대 등번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57번 | ||||
| 하이메 가르시아 (2018) | → | <colcolor=#ffffff> 트렌트 손튼 (2019~2023) | → | 채드 그린 (2024~2025) | |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46번 | |||||
| 비니 니톨리 (2021) | → | 트렌트 손튼 (2023~2025) | → | 결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