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누벨칼레도니 | 뉴질랜드 | 미국령 사모아 | 바누아투 | |
| | | |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쿡 제도 | 키리바시 | |
| | | | |
타히티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
| ||||
피지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 |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 | |
Tonga national football team | |
정식명칭 | Tonga national association football team[1] |
FIFA 코드 | TGA |
협회 | 통가 축구 협회 (TFA) |
연맹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
FIFA 랭킹 | 198위[2] |
Elo 랭킹 | 239위[3] |
감독 |
킬리피 우엘레 (Kilifi Uele) |
주장 | 헤말로토 폴로빌리 (Hemaloto Polovili) |
최다출전자 | 킬리피 우엘레 (Kilifi Uele) - 26경기 |
최다득점자 | 우날로토 페아오 (Unaloto Feao) - 7골 |
홈 구장 | 로토 통가 소카 센터 (Loto-Tonga Soka Centre, 1,5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
유니폼 | 홈 | 어웨이 |
<colcolor=#000000> 상의 | 빨강 | 하양 |
하의 | 빨강 | 하양 |
양말 | 빨강 | 하양 |
1. 개요
통가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63위(1998년 10월 21일 ~ 1999년 1월 26일), 최저 순위는 211위[4](2018년 7월 1일)이며 2025년 7월 현재 통가의 FIFA 랭킹은 198위이다.2. 상세
홈구장은 로토 통가 소카 센터, 감독은 통가 축구 대표팀 역사상 A매치 최다 출전자인 킬리피 우엘레이다.아직까지 FIFA 월드컵과 OFC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 기록은 없으며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월드컵 지역 예선으로는 199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이 대표적이며 1차 예선 폴리네시아조에서 2전 전승·조 1위로 1차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던 전적이 있으며 물론 솔로몬 제도와의 1차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1·2차전 합계 0-13으로 대패하긴 했지만 같은 승률을 기록한 2002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서의 골득실차보다는 무려 13점이나 높으며 1996년 OFC 네이션스컵 폴리네시아 예선격인 1994년 폴리네시아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던 전적도 있다.
그리고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에서는 2002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 당시 호주에 0-31이라는 세계 축구 역사상 A매치 최다 점수차 패배를 당했던 같은 최약체 미국령 사모아와 승률과 골득실차에서 동률을 이뤘음에도 다득점에서 따돌리며 2위를 차지하긴 했지만 1차전에서 미국령 사모아의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사상 첫 승의 희생양이 되었고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 2차전에서는 미국령 사모아에 또 다시 패하며 미국령 사모아의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첫 2연승의 계기를 마련해주고 말았으며 2019년 치른 A매치에서는 아예 전패를 기록하며 아직도 갈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통가도 사모아와 비슷하게 럭비계에선 전통의 강호이기 때문에 제 1의 인기 스포츠가 럭비인 것이 현재까지도 축구 대표팀의 전력이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결정적인 이유로 손꼽히고 있긴 하지만 그나마 2023년 퍼시픽 게임 11위 결정전에서 미국령 사모아를 6-2로 대파하며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미국령 사모아에 당했던 2번의 패배를 깨끗이 설욕했고 2026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 1차전에서는 쿡 제도를 3-1로 누르고 2011년 11월 26일 쿡 제도를 2-1로 꺾었던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 최종전 이후 약 13년만에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승리의 기쁨을 맛보았다.
현재 통가 대표팀에는 대부분 자국 리그인 통가 메이저 리그 소속 선수들이 포진해 있긴 하지만 피지 프리미어 리그, 태국 리그 2, 뉴질랜드 서던 리그 등의 해외 리그에서 활동 중인 선수들도 일부 포진해 있는 상황이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영국의 보호국 | |||||||||
1930 우루과이 |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FIFA 비회원국 | ||||||||
1970 멕시코 | |||||||||
※ 통가 왕국 | |||||||||
1974 서독 | FIFA 비회원국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
1994 미국 | 불참 | ||||||||
1998 프랑스 | 예선 탈락 | ||||||||
2002 한국/일본 | |||||||||
2006 독일 | |||||||||
2010 남아공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기권 [5] | ||||||||
2026 캐나다/미국/멕시코 | 예선 탈락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3.2. OFC 네이션스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73년 뉴질랜드 | 불참 | ||||||||
1980년 누벨칼레도니 | 불참 | ||||||||
1996년 개최국 없음 | 예선 탈락 | ||||||||
1998년 호주 | 예선 탈락 | ||||||||
2000년 타히티 | 예선 탈락 | ||||||||
2002년 뉴질랜드 | 예선 탈락 | ||||||||
2004년 호주 | 예선 탈락 | ||||||||
2008년 개최국 없음 | 예선 탈락 | ||||||||
2012년 솔로몬 제도 | 예선 탈락 | ||||||||
2016년 파푸아뉴기니 | 예선 탈락 | ||||||||
2024년 바누아투 | 예선 탈락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 연령별 대표팀
4.1. U-23 대표팀
4.1.1. OFC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대회
대회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1년 피지 | 불참 | ||||||||
1996년 호주 | |||||||||
1999년 뉴질랜드 | 조별리그 | 7위 | 0 | 3 | 0 | 0 | 3 | 1 | 20 |
2004년 호주/뉴질랜드 | 조별리그 | 5위 | 6 | 4 | 2 | 0 | 2 | 4 | 8 |
2008년 피지 | 불참 | ||||||||
2012년 뉴질랜드 | 조별리그 | 6위 | 0 | 2 | 0 | 0 | 2 | 0 | 13 |
2015년 파푸아뉴기니 | 불참 | ||||||||
2019년 피지 | 조별리그 | 7위 | 0 | 3 | 0 | 0 | 3 | 2 | 18 |
2023년 뉴질랜드 | 조별리그 | 7위 | 0 | 3 | 0 | 0 | 3 | 1 | 12 |
합계 | 본선진출 5회[6] | 6 | 15 | 2 | 0 | 13 | 8 | 71 |
4.2. U-20 대표팀
4.2.1. FIFA U-20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77년 튀니지 | 불참 | ||||||||
1979년 일본 | 불참 | ||||||||
1981년 튀니지 | 불참 | ||||||||
1983년 멕시코 | 불참 | ||||||||
1985년 소련 | 불참 | ||||||||
1987년 칠레 | 불참 | ||||||||
1989년 사우디 | 불참 | ||||||||
1991년 포르투갈 | 불참 | ||||||||
1993년 호주 | 불참 | ||||||||
1995년 카타르 | 불참 | ||||||||
1997년 말레이시아 | 불참 | ||||||||
1999년 나이지리아 | 예선 탈락 | ||||||||
2001년 아르헨티나 | 예선 탈락 | ||||||||
2003년 아랍에미리트 | 예선 탈락 | ||||||||
2005년 네덜란드 | 예선 탈락 | ||||||||
2007년 캐나다 | 불참 | ||||||||
2009년 이집트 | 불참 | ||||||||
2011년 콜롬비아 | 불참 | ||||||||
2013년 터키 | 불참 | ||||||||
2015년 뉴질랜드 | 불참 | ||||||||
2017년 대한민국 | 예선 탈락 | ||||||||
2019년 폴란드 | 예선 탈락 | ||||||||
2023년 아르헨티나 [7] | 예선 탈락 | ||||||||
2025년 칠레 | 예선 탈락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3. U-17 대표팀
4.3.1. FIFA U-17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85 중국 | 불참 | ||||||||
1987 캐나다 | 불참 | ||||||||
1989 스코틀랜드 | 불참 | ||||||||
1991 이탈리아 | 불참 | ||||||||
1993 일본 | 불참 | ||||||||
1995 에콰도르 | 불참 | ||||||||
1997 이집트 | 불참 | ||||||||
1999 뉴질랜드 | 예선 탈락 | ||||||||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 예선 탈락 | ||||||||
2003 핀란드 | 예선 탈락 | ||||||||
2005 페루 | 예선 탈락 | ||||||||
2007 대한민국 | 불참 | ||||||||
2009년 나이지리아 | 불참 | ||||||||
2011년 멕시코 | 예선 탈락 | ||||||||
2013년 UAE | 예선 탈락 | ||||||||
2015년 칠레 | 예선 탈락 | ||||||||
2017년 인도 | 예선 탈락 | ||||||||
2019년 브라질 | 예선 탈락 | ||||||||
2023년 인도네시아 | 예선 탈락 | ||||||||
2025년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26년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27년 카타르 | ? | ? | ? | ? | ? | ? | ? | ? | ? |
2028년 카타르 | ? | ? | ? | ? | ? | ? | ? | ? | ? |
2029년 카타르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1] 영어[2] 2025년 9월 18일 기준[3] 2025년 9월 8일 기준[4] 에리트레아 대표팀이 순위에서 제외되기 이전(2023년 7월 20일)의 시점이라 211위 기록이 가능했다.[5] 통가 해저화산 폭발 사건으로 인한 기권[6] 최고순위 5위(2004 호주/뉴질랜드)[7]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