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7:37:10

킹 아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뮤지컬에 대한 내용은 킹아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뮤지컬:
킹아더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앤트완 퓨콰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 다큐멘터리 제외

킹 아더 (2004)
King Arthur
파일:킹 아더 포스터.jpg
장르 액션, 전쟁
감독 앤트완 퓨콰
각본 데이빗 프랜조니
제작 제리 브룩하이머
출연 클라이브 오웬
키이라 나이틀리
스텔란 스카스가드
스티븐 딜레인
레이 윈스턴
휴 댄시
틸 슈바이거
이안 그루퍼드
음악 한스 짐머
제작사 터치스톤 픽처스
제리 브룩하이머 필름
월드 2000 엔터테인먼트
그린 힐즈 프로덕션즈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브에나 비스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브에나비스타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4년 6월 2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년 7월 30일
상영 시간 119분, 142분 (감독판)
제작비
월드 박스오피스 $203,567,857 (최종)
북미 박스오피스 $51,882,244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수 1,213,584명
상영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특징4. 출연5. 역사 재현6. 기타

[clearfix]

1. 개요

앤트완 퓨콰가 연출한 아서왕 영화.

2. 예고편

3. 특징

역대 아서왕 영화들 중 특이하게도 아서왕 전설을 기반으로 제작한 영화가 아닌 학자들이 추정하는 역사적 시대에 맞게 시대 배경이 중세 이전의 고전후 시대 칠왕국, 즉 5세기 앵글로색슨의 대침입 시대의 로만 브리튼으로 등장한다.

원탁의 기사사르마티아 중기병 출신으로 각색했다. 멀린은 마법사가 아닌 브리튼인을 이끄는 드루이드에 가까운 투사로 나오며, 기네비어가 여전사라는 전설을 따라 워드족 여걸로 나와 멀린과 함께 아더를 조력한다.

4. 출연

5. 역사 재현

실제 역사를 차용한 영화로써의 특색과 매력은 있으나 정작 재현은 엉망이다. 아서왕을 비롯한 주인공들의 복장은 로리카 세그멘타타 및 로마식 갑옷과 투구를 착용한 로마군으로 나오며, 엑스칼리버 또한 로마군 제식검인 글라디우스이다. 등장인물들의 무장은 대중매체에 일반적으로 등장하는 전성기 고대 로마의 무장으로, 작중 배경인 서로마 제국 말기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다. 역사대로 무장을 갖춘다면 켈트족, 게르만족 야만족과 별 차이가 없는 후기 로마군의 사슬갑옷이나 미늘갑옷이어야 맞다.

색슨족도 악역 속성을 더하려는 묘사긴 하겠으나, 혈통의 순수성 보존을 위해 여자들부터 죽이는 고대판 나치 독일로 만들어놨다. 나치들이 혈통의 순수성을 운운하며 다니긴 했으나, 강간할 땐 슬라브, 유대인을 안가렸는데, 전쟁에서 이기면 당연히 남자는 죽이고 여자는 겁탈, 재물은 약탈, 도시는 불태우는게 기본인 전근대 전쟁판에서 히틀러도 안한 짓을 한다.[2] 반대급부로 멀린이 이끄는 픽트족은 선한 원주민같이 묘사한다.

마지막 바돈 산 전투에서는 아서가 색슨족장 세드릭(체르디치), 신릭(킨리치)을 죽이고 기네비어와 결혼하여 브리타니아의 평화를 이룩하는 해피 엔딩으로 끝나나, 실제 역사에서 세드릭은 웨식스 왕국을 세워 킨릭이 뒤를 이으며, 웨식스 왕국은 이후 500년간 이어져, 8세기부터 침략해오는 바이킹에 대항하는 앵글로색슨족의 중심 세력이 된다. 웨식스 왕조의 알프레드 대왕이교도 대군세를 막아내어 잉글랜드 왕국으로 이어질 통일 왕조의 초석을 놓았는데 이는 이후 잉글랜드 그리고 현대 영국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영화의 내용은 완전한 픽션이자 역사왜곡이다.[3]

6. 기타


[1] 로마인브리튼 원주민 간의 혼혈이라는 설정이다. 어머니가 워드족의 손에 죽은 일로 멀린을 경계하자 멀린은 아더의 어머니 죽음에 사과한다.[2] 다만 영화에서도 체르디치가 좀 이상한 놈이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인지 강간하려다 저지당한 전사가 법에 따른 내 약탈물인데 왜 방해하냐고 따지자 킨리치도 저 전사가 하는 말이 맞다고 거드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를 듣자 참살한다.[3] 영화 속 적수가 체르디치 부자가 아닌 실제 바돈 산 전투 무렵 기록에서 사라져 바돈 산 전투의 색슨족 참전왕으로 추정되는 서식스의 엘라였다면 영화의 엔딩이 역사적 고증에 더 적합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