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 1대 (1888–1895) | 2대 (1895–1945) | 3대 (1945–1959) | 4대 (1961–1963) |
빌럼 케스 | 빌렘 멩겔베르크 | 에두아르드 판 베이눔 | 오이겐 요훔 | |
<rowcolor=#000> 4대 (1961-1988) | 5대 (1988–2004) | 6대 (2004–2015) | 7대 (2015-2018) |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리카르도 샤이 | 마리스 얀손스 | 다니엘레 가티 | |
<rowcolor=#000> 8대 (2027-) | ||||
클라우스 메켈레 |
<colbgcolor=#000><colcolor=#fff> 클라우스 메켈레 Klaus Mäkelä | |
출생 | 1996년 1월 17일 ([age(1996-01-17)]세) 핀란드 헬싱키 |
성별 | 남성 |
학력 | 시벨리우스 음악원 |
직업 | 지휘자, 첼리스트 |
레이블 | |
소속 | 오슬로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상임지휘자 2018~ ) 파리 오케스트라(음악감독 2022~2027년) 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예술 파트너 2022~2027년, 상임지휘자 2027~) |
링크 |
1. 개요
<colbgcolor=#315288> 오슬로 필하모닉과 연주한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 |
첼로를 연주하며 지휘하는 모습[1]다니엘 로자코비치이다.] 브람스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 A단조 op.102 |
2. 생애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이로 인해 어린 시절부터 엘리트 음악교육을 받아왔다. 그의 어머니인 사미 메켈레는 첼리스트이며 아버지인 타루 미요하넨 메켈레는 피아니스트이다. 그는 첼로를 연주하다가 12살 때 핀란드 국립 오페라 합창단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면서 지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시벨리우스 음악원에서 요르마 파눌라[2]에게 지휘를 사사하고, 핀란드의 여러 오케스트라에서 연주자로 활동했다.
2017년 9월, 그는 스웨덴 라디오 관현악단에서 지휘자 데뷔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그해 12월 오케스트라는 메켈레를 3년간 차기 수석 객원 지휘자로 임명하였다.
이후 6개월 뒤 그는 오슬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상임지휘자로 취임됐다.
이후 6개월 뒤 그는 오슬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상임지휘자로 취임됐다.
2020월 6월, 파리 오케스트라는 그를 2022년부터 5년 계약을 체결했다.
2020년 9월,메켈레는 마리스 얀손스의 뒤를 이어 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와 연주했다. 몇 번의 추가 객원 출연에 이윽고 2022년 6월, 메켈레를 2027년까지 예술 파트너로 임명했다. 또 메켈레의 다른 계약이 종료될 때까지 상임지휘자 자리를 비워두고 2027년 부터 상임지휘자로 취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메켈레는 데카 레코드와 독점 녹음 계약을 맺었다.[3] 2022년 오슬로 필하모닉과 시벨리우스 교향곡 전곡을 녹음했고, 2023년과 2024년에 파리 오케스트라와 음반 2장을 발표했다.
3. 여담
- 2022년 11월, 중국의 여자 피아니스트인 유자 왕과 교제를 시작했다. 하지만 2024년 결별했다.중앙일보 기사
이로 인해 그들이 같이 출연하기로 예정되어있던 공연이 취소되었다.
현재는 오슬로 필하모닉의 바이올린 단원 아만다 호이 호른과의 교제를 공개했다.
- 사진 찍는 것이 취미라고 한다. 그는 함부르크에서 산 라이카 카메라를 들고다니며 일기를 쓰듯 사진을 찍는다고 한다.
- 그는 인터뷰에 "나이에 대한 언급은 가급적 피해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