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 크로아티아 사보르 원내 구성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3차 플렌코비치 내각 (2024 ~ 현재) | |||
여당 |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1 57석 | 조국운동 8석 | |||
신임 공급 | ||||
크로아티아 사회자유당 + 무소속 3석 | 크로아티아 인민당 – 자유민주 + 무소속 3석 | |||
독립당 + 연금수령자 크로아티아당 3석 | 이스트리아 민주의회2 1석 | |||
무소속 1석 | ||||
야당 | ||||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37석 | 우리는 할 수 있다! 10석 | |||
다리 8석 | 중앙당 + 북부 독립 플랫폼 4석 | |||
조국과 국가 집회 + 크로아티아 주권주의자들 4석 | 크로아티아 농민당 + 시민자유연합 + DO i SIP 3석 | |||
독립민주세르비아당 3석 | 이스트리아 민주의회2 2석 | |||
무소속 클럽3 3석 | ||||
공석 1석 | ||||
재적 151석 | ||||
1.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기독교민주당, 무소속 의원이 참여 중인 교섭단체. 2. 무소속의 푸리오 라딘 의원은 이스트리아 민주의회 교섭단체에 참여 중이나, 홀로 신임 공급에도 참여한다. 3. 무소속 의원 3인으로 구성된 교섭 단체 | }}}}}}}}} |
| |
Hrvatska socijalno-liberalna stranka | |
약칭 | HSLS |
한글명칭 | 크로아티아 사회자유당 |
상징색 | 노란색 |
대표 | 다리오 흐레박 |
창당일 | 1989년 5월 20일 |
이념 |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우파 |
주소 | Trg Nikole Šubića Zrinskog 17/1, 자그레브 |
청년 조직 | 젊은 크로아티아 자유주의자 |
유럽 정당 | 유럽 자유민주연합 |
국제 조직 | |
사보르 의석 수 | 2석 / 151석 |
웹사이트 | |
1. 개요
크로아티아의 크로아티아 인민당 – 자유민주과 더불어 자유주의 성향의 정당으로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이다.2. 상세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말기 1989년에 다당제 도입 이후로 첫번째로 창당한 정당으로 크로아티아 사회자유연합(Hrvatski socijalno Liberni savez) 당명으로 시작했다.1990년대에는 주요 정당으로써 야당 세를 구축하다가 2000년 총선에서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과 정당연합을 통해 승리따라 연립정부에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2003년 총선에서 2석으로 몰락하는 동시에 정권을 잃게 된다.
2007년 총선에서는 크로아티아 농민당과 정당연합을 통해 소수정당이지만 연립정권에 참여하게 된다. 그 뒤로 2016년 총선부터는 크로아티아 민주연합과 정당연합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