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5 13:31:01

크레졸


탄화수소와 유도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탄화수소 사슬형 : 알케인 (알킬기), 알켄 (알케닐기), 알카인 (알카닐기)
고리형 : 사이클로알케인, 사이클로알켄, 벤젠 (페닐기, 벤질기), 톨루엔, 자일렌
탄화수소
유도체
지방족 : 알코올 (하이드록시기), 에터 (에터기), 알데하이드 (알데하이드기), 케톤 (카보닐기), 카복실산 (카복실기), 에스테르 (에스테르기)
방향족 : 페놀, 크레졸, 살리실산, 나이트로벤젠, 아닐린, 벤조산, 벤질알코올, 피리딘, 피리미딘
지방족 & 방향족 : 아민 (아미노기), 아마이드, 크라운 에터 }}}}}}}}}
파일:크레졸.png
크레졸 이성질체
왼쪽부터 메타크레졸, 파라크레졸, 오쏘크레졸

C7H8O / CH3C6H4OH

1. 개요2. 특징3. 이용

1. 개요

콜타르에서 얻는 연한 갈색의 약산성 액체이다. 페놀류 화합물로서, 석탄이나 석유에서 추출되거나 목재를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자동차 배기가스, 석탄 또는 나무 연소, 정유 공장 또는 담배 연기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 시 크레졸에 노출될 수 있고, 살균력이 강하여 소독제, 방부제 따위로 쓰인다.

2. 특징

  • 크레졸은 벤젠과 수산화물들의 가열 또는 산화로 생성되는 유기 화합물들의 그룹이다. 산업적으로는 크레졸은 벤젠과 메탄올 또는 아세트네트릴과의 반응을 통해 제조된다. 이들 화합물은 단위 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메틸기(-CH3)를 포함하고 있다.
  • 크레졸은 메타크레졸(meta-cresol), 파라크레졸(para-cresol), 오쏘크레졸(ortho-cresol)로 구성된다. 이들은 크레졸 분자의 구조에서 수소 원자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 메타크레졸은 분자 구조에서 수소가 중심 페놀 고리에 결합하고, 파라크레졸은 수소가 페놀 고리의 맞은편에 결합하며, 오크레졸은 수소가 인접한 두 번째 페놀 고리에 결합한다.
  • 크레졸은 백색 고체로서 콜타르 특유의 향기를 가지고 있다. 물과 혼합되기 어렵지만, 에탄올, 에테르 및 벤젠과 잘 혼합된다. 크레졸의 녹는점은 유형에 따라 다르며, 보통 -40°C에서 45°C 사이이다. 따라서 상온에서 고체 또는 액체로 존재한다.
  • 크레졸은 약간의 산성을 띠고 있으며, 물과 반응하여 색상 있는 착화물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산화되는 경우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졸은 산화되어 크레실 아세테이트(Cresyl Acetate)나 크레실 프탈레이트(Cresyl Phthalate)와 같은 화합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크레졸은 가교 반응[1]을 통해 다른 화합물과 결합하여 새로운 고분자 물질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크레졸은 화학 반응에 매우 민감하며, 자체적으로 산화되거나 다른 물질과의 반응으로 인해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다.

3. 이용

우선 크레졸은 그 높은 살균 특성으로 소독제와 방부제에 널리 사용된다. 의료 기관, 식품 산업, 수처리 시설 등에서 세균과 질병을 예방하는 데에 활용된다. 또한 합성 수지와 고무 제조에 이용된다.
병원이나 장례식장에서 토사물이나 객담의 처리에 이용한다면 물에 섞어서 3%만 사용해야 한다. 화장실 청소용으로 비누와 섞은 크레졸 비누액이 이용되기도 하였는데 요즘은 락스의 대중적인 보급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1] 두 개 이상의 고분자 사슬을 연결하는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