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2 12:36:57

크랄레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특별시
베오그라드
Београд
중앙세르비아
콜루바라구
Колубарски округ
[[발레보|
발레보
]]
마치바구
Мачвански округ
[[샤바츠|
샤바츠
]]
모라비차구
Моравички округ
[[차자크|
차자크
]]
포모라블레구
Поморавски округ
[[야고디나|
야고디나
]]
라시나구
Расински округ
[[크루셰바츠|
크루셰바츠
]]
라슈카구
Рашки округ
[[크랄레보|
크랄레보
]]
슈마디야구
Шумадијски округ
[[크라구예바츠|
크라구예바츠
]]
즐라티보르구
Златиборски округ
[[우지체|
우지체
]]
보르구
Борски округ
[[보르|
보르
]]
브라니체보구
Браничевски округ
[[포자레바츠|
포자레바츠
]]
야블라니차구
Јабланички округ
[[레스코바츠|
레스코바츠
]]
니샤바구
Нишавски округ
[[니시(세르비아)|
니시
]]
프치나구
Пчињски округ
[[브라네|
브라네
]]
피로트구
Пиротски Округ
[[브라네|
피로트
]]
포두나블레구
Подунавски округ
[[스메데레보|
스메데레보
]]
토플리차구
Топлички округ
[[프로쿠플레|
프로쿠플레
]]
자예차르구
Зајечарски округ
[[자예차르|
자예차르
]]
보이보디나 자치주
중앙바나트구
Средњобанатски округ
[[즈레냐닌|
즈레냐닌
]]
북바치카구
Севернобачки округ
[[수보티차|
수보티차
]]
북바나트구
Севернобанатски округ
[[키킨다|
키킨다
]]
남바나트구
Јужнобачки округ
[[판체보|
판체보
]]
남바치카구
Јужнобачки округ
[[노비사드|
노비사드
]]
스렘구
Сремски округ
[[스렘스카미트로비차|
스렘스카미츠로비차
]]
서바치카구
Западнобачки
[[솜보르|
솜보르
]]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
코소보구
Косовски округ
[[프리슈티나|
프리슈티나
]]
코소보포모라블레구
Косовско-поморавски округ
[[그릴라네|
그릴라네
]]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구
Косовскомитровички округ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
페치구
Пећки округ
[[페치|
페치
]]
프리즈렌구
Призренски округ
[[프리즈렌|
프리즈렌
]]
}}}}}}}}}

파일:세르비아 국장.svg
크랄레보
세르비아어: Краљево
영어: Kraljevo
파일:FLAG_Kraljevo.gif
크랄레보 시기
파일:Kraljevo-grb.png
크랄레보 휘장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04172> 국가 <colbgcolor=#fff,#1f202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시간대 UTC+1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04172> 인구 <colbgcolor=#fff,#1f2023>110,196명 (지자체, 2022년)
57,432명 (도심, 2022년)
인구 밀도 2,400명/km²
면적 24.43km² }}}}}}}}}
<colbgcolor=#104172> ISO 3166-2 SRB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어원3. 역사4. 관광5. 자매도시

1. 개요

세르비아 중앙 라슈카 구에 위치한 도시이자 베오그라드 다음으로 면적 이 큰 자치구이다.

2. 어원

과거에는 루도 폴레(Рудо Поље), 카라노바츠(Карановац), 랑코비체보(Ранковићево) 등의 이름으로 불렸던 크랄레보(Kraljevo)는 세르비아의 밀란 1세 국왕이 자신의 대관식과 해당 지역에서 대관된 여섯 명의 세르비아 왕들을 기리기 위해 현재의 이름인 "왕의 도시(The King's Town)"라는 뜻의 이름을 부여했다. 도시의 현대 문장(紋章)에는 일곱 개의 왕관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일곱 명의 왕을 상징한다.

3. 역사

크랄레보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고학적 발굴 결과,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일리리아계 및 트라키아계 부족이 초기 정착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제국 시기에는 이 지역이 무시아 지방의 일부로 통합되었으며,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중세 시기 이 지역은 중세 세르비아 왕국 및 제국의 핵심 지역 중 하나였다. 특히 스투데니차 수도원은 12세기 말 네마니치 왕조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세르비아 정교회와 문화 발전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스투데니차는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 지역은 세르비아 대공국과 왕국의 정치 중심지 중 하나로 기능하였으며, 세르비아 정교회의 수도이자 왕들의 대관 장소로 사용되었다. 크랄레보 인근의 졸라크 수도원은 13세기 초 스테판 프르보베노차니의 대관식이 열린 장소로, 전통적으로 세르비아 왕들이 왕위에 오르는 곳이었다. 1459년, 세르비아의 스메데레보 공국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면서 크랄레보 지역도 오스만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 시기 도시는 카라노바츠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오스만 행정 및 군사적 거점으로 기능하였다. 이 시기에도 일부 수도원과 종교 시설은 유지되었지만, 많은 문화유산이 파괴되거나 훼손되었다.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세르비아에서 민족주의 운동과 봉기가 잇따라 발생했으며, 크랄레보는 그 중심 중 하나로 부상하게 된다.

제1차 세계대전 동안 크랄레보는 전략적 위치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및 독일군과의 충돌이 빈번하였다. 많은 시민들이 전쟁에 참여하거나 피란을 떠났으며, 전쟁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1년, 나치 독일군이 크랄레보를 점령하였으며, 보복 학살로 약 2,0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처형되는 크랄레보 학살(Kraljevo Massacre)이 발생하였다. 이는 당시 나치군에 저항하던 세르비아 민병대의 공격에 대한 보복이었다. 이 사건은 세르비아 역사에서 가장 참혹한 민간인 학살 중 하나로 기억된다. 1944년 11월, 크랄예보와 그 주변 지역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1944년 11월 29일 도시는 해방되었다.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와 세르비아 내 정치·경제적 위기로 인해 크랄레보도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특히 나토의 세르비아 공습(1999년) 당시 일부 인근 인프라가 손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후 도시 재건과 경제 회복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중부 세르비아의 핵심 도시로서 행정, 산업, 교육,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2010년 11월에는 진도 5.4의 지진이 발생해 수천 채의 건물이 손상되고 2명이 사망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후 복구 사업과 도시 기반 시설 확충이 지속되었다.

4. 관광

  • 크랄레보 국립 박물관 (Народни музеј Краљево) : 1873년에 건축된 역사적인 학교 건물에 자리 잡은 박물관으로 자연사, 고고학, 화폐학, 역사, 민족학, 미술의 여섯 가지 범주로 분류된 전체 소장품을 보유한 종합 박물관이다.
  • 삼위일체 교회 (Саборна црква Свете Тројице) : 1822년에서 1824년 사이에 지어진 이 교회는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대공이 그의 주요 기부금 중 하나로 설립했다. 그는 제2차 세르비아 봉기가 시작된 곳 근처에 만들었다.
  • 지차 수도원 (Манастир Жича) : 세르비아의 초대 국왕인 스테판 네마니치와 세르비아 교회 의 초대 수장인 성 사바가 건립한 수도원으로 전통적으로 세르비아 왕의 대관식 교회였다.
  • 마글리치 (Маглич) : 세르비아 중앙부, 이바르 강 계곡에 위치한 중세 시대의 요새로 세르비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중세 요새 중 하나로 꼽힌다.
  • 스투데니차 수도원 (Манастир Студеница) : 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한 가장 중요한 중세 정교 수도원 중 하나이며, 세르비아 정교회의 종교적, 역사적, 문화적 중심지이다.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 스투데니차는 세르비아 정교회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중세 세르비아의 가장 위대한 성화와 건축 예술이 이곳에 집중되었다. 1986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그라다츠 수도원 (Манастир Градац) : 세르비아 중서부에 위치한 중세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으로 스테판 우로시 1세의 아내인 앙주의 엘린의 기증으로 만들어졌다.

5. 자매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