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30 19:19:51

쿠야흘레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방자치단체
파일:아반나타.png
아반나타
파일:쿠얄레크.png
쿠야흘레크
파일:케케르탈리크 문장1.jpg
케케르탈리크
파일:켁카타.png
케카타
파일:세르메르소크 문장.svg
세르메르소크
국립공원
북동 그린란드 국립공원 }}}}}}}}}
그린란드의 주
쿠야흘레크
Kujalleq | Syden
파일:Flag_of_Kujalleq_Municipality,_Greenland.svg 파일:쿠얄레크.png
주기 문장
<colbgcolor=#d00c33><colcolor=#FFFFFF>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그린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그린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린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중심도시 카코르토크(Qaqortoq)
면적 32,000km2
인구 6,292명[A]
인구밀도 0.197명/km2[A]
시간대 UTC-02:00
주지사 말레네 발 라스무센(Malene Vahl Rasmussen)(2025~)
파일:쿠얄레크 지도.png
쿠야흘레크의 위치

1. 개요2. 전신3. 하위 행정구역4. 정치5. 교육6. 교통7. 산업
7.1. 농업 및 목축업7.2. 어업7.3. 관광업7.4. 광업


1. 개요

쿠야흘레크는 2009년 그린란드 행정구역이 대규모로 개편됨에 따라 설치된 지방자치체(Kommune)[3]이다. 그린란드의 남부 지역을 관할하며, 중심도시는 카코르토크이다.

지명인 쿠야흘레크(Kujalleq)는 단순히 '남부'라는 뜻이다.[4] 때문에 달리 '남그린란드'라고도 하지만, 옛 식민지인 남그린란드와는 무관하다.

문장의 숫양의 머리를 형상화한 것으로, 목양(牧羊)이 쿠야흘레크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2. 전신

2009년 당시 그린란드의 행정구역 개편은 종래의 18개 자치구로 구성된 행정 체계를 4개의 지자체로 통합하는 데 주안점이 있었다. 종래의 자치구들은 이후 각 주의 지구(地區)로 남았다.

쿠야흘레크는 당시의 나노르탈리크 자치구, 나르사크 자치구, 카코르토크 자치구를 통합하였고, 이에 더해, 파미우트 자치구와 암마살리크 자치구의 무인지대 중 일부까지 합쳐서 형성되었다.

3.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12px 0; display: inline-table"<tablebgcolor=#d00c33><tablebordercolor=#d00c33> 파일:쿠얄레크.png 쿠야흘레크 주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width=100%><tablebgcolor=#d00c33> 파일:nanortalik.png 나노르탈리크 구
Nanortalip Kommunia
}}} ||
<colbgcolor=#f5f5f5,#fff><colcolor=#d00c33> 나노르탈리크
정착촌 아필라토크 아흘루이추프 파
암마시비크 나르사르미이트
타시우사크 코흘로르토르수아크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 파일:Narsaq_coa.png 나르사크 구
Narsap Kommunia
}}} ||
나르사크
정착촌 이갈리쿠 나르사르수아크
카시아르수크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 파일:콰콕톡 문장.png 카코르토크 구
Qaqortup Kommunia
}}} ||
카코르토크
정착촌 에칼루가르수이트 카시미우트
사흘로크 우페르나비아르수크
}}}}}}}}} ||


쿠야흘레크주에는 목축지(Fåreholdersted)가 여럿 소재하고 있다. 목축지란 주로 목축이나 농경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며 인구규모가 수 명 내외로 극히 작은 촌락이다. 다른 마을과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별도의 마을처럼 배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일종의 농업지구라고 보아도 무방한 탓에, 행정적으로는 별도의 마을로 보지 않고 인접한 정착촌(Nunaqarfik) 혹은 도시(Illoqarfik)에 딸린 지구로 간주된다.

때문에 위의 틀에서는 목축지를 따로 표시하지 않고 있으며, 아래의 목록에서는 두 칸 들여쓰기하여 열거한다.

4. 정치

2009년 설치 이래 매 4년마다 지방선거를 실시하여 주 의원을 선출한다. 이렇게 선출되는 의원은 총 15명으로 주지사와 두 명의 부지사를 포함한다.

2025년 기준 주 의원의 명세는 아래와 같다. 최신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 참조.
성명 소속 정당 직함
말레네 발 라스무센(Malene Vahl Rasmussen) 민주당 주지사
안데르스 올센(Anders Olsen) 전진당 제1부지사
시몬 시몬센(Simon Simonsen) 민주당
마르그레테 토루프 안데르센(Margrethe Thaarup Andersen) 민주당
미닉 세라노 프레데릭센(Minik Serano Frederiksen) 민주당
카르스텐 올레센(Carsten Olesen) 민주당
한스 에릭 에녹센(Hans Erik Enoksen) 민주당
이눙우아크 게로네(Inunnguaq Geronne) 민주당
말리아라크 닐센(Maaliaaraq Nielsen) 전진당
말릭 프레데릭센(Malik Frederiksen) 전진당
카를라 비스고르(Karla E. Bisgaard) 전진당
아푸치아크 에게데(Aputsiaq Egede) 전진당 제2부지사
이발로 모츠펠트(Ivalo Motzfeldt) 이누이트 공동체당
스티네 에게데(Stine Egede) 이누이트 공동체당
피팔루크 야콥센 라르센(Pipaluk Jakobsen Larsen) 이누이트 공동체당

5. 교육

쿠야흘레크에는 시/촌을 합하여 도합 14개 마을이 있지만, 초등학교는 개중 12곳에만 있다.#

카코르토크 지구의 카시미우트사흘로크에는 학교가 없는데, 이는 두 정착촌 문서에서 볼 수 있듯 그 규모가 지나치게 작기 때문. 의무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이 거주하고 있다면 인접한 정착촌으로 통학하거나 홈스쿨링으로 대체해야 할 것이다.

6. 교통

바다가 얼지 않는 남부 지역임에도 일부 기간 동안에는 몇몇 배편이 막히는데, 주된 이유는 이 지역이 얼기 때문이 아니라 동그린란드에서 얼어붙은 바다가 녹으면서 빙산이 쿠야흘레크 일대로 흘러들어오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런 시기에는 나르사르수아크 공항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진다.

7. 산업

7.1. 농업 및 목축업

쿠야흘레크주는 그린란드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농업이 기능하는 지역으로서, 이를 위한 작은 마을(목축지)이 상기된 바와 같이 쿠야흘레크에 몰려 있다.

몇몇 목축지에서는 순록이나 를 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을 생산하며, 일부는 경작을 통한 실제 농업을 시도하기도 한다.

7.2. 어업

그린란드/경제 문서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실상 그린란드 경제 전체가 그렇지만, 어업이 주 산업으로 기능한다. 쿠야흘레크주는 그 비중이 다른 주에 비해서는 조금 낮은 편에 들지만,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수준이다.

주 산물은 새우, 대구, , 넙치, Lumpfish, 이리치 등이다.

7.3. 관광업

그린란드에서 보기 드문 녹지라든가 중세 노르드인의 거주지 유적 등 관광지로 삼을 만한 요소가 여럿 있기 때문에 관광업 또한 상당히 중요한 요소를 차지한다.

7.4. 광업



[A] 2022년 기준[A] [3] 엄밀히 말해 오역이지만, 편의상 하위 문서를 비롯해 이하 '주(행정구역)'라 서술한다. 왜 그런지는 문서 참고.[4] 덴마크어로 번역하면 쉬덴(Syden)이 되기는 하지만, 다른 지명들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으로는 쿠야흘레크라고만 불린다.[5] 2013년 이후 거주자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