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7:33:05

칸첸중가

캉첸중가에서 넘어옴
8,000미터 14좌
The Eight-Thousander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 에베레스트(8,848m) 2. K2(8,611m) 3. 칸첸중가(8,586m) 4. 로체(8,516m)
+ 얄룽캉(칸첸중가 서봉)(8,507m) 5. 마칼루(8,465m) + 로체샤르(로체 남봉)(8,400m) 6. 초오유(8,203m)
7. 다울라기리 1봉(8,169m) 8. 마나슬루(8,165m) 9. 낭가파르바트(8,128m) 10. 안나푸르나 1봉(8,092m)
11. 가셔브룸 1봉(8,080m) 12. 브로드피크(8,051m) 13. 가셔브룸 2봉(8,035m) 14. 시샤팡마(8,027m)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373a3c><colbgcolor=#ff671f> 문화유산
1983년

아잔타 석굴
अजंता गुफाएँ
1983년

엘로라 석굴
एलोरा गुफाएं
1983년

아그라 요새
आगरा का किला
1983년

타지마할
ताज महल
1984년

코나라크의 태양신 사원
कोणार्क सूर्य मंदिर
1984년

마히발리푸람 기념물군
महाबलिपुरम के स्मारक समुह
1986년

고아의 성당과 수도원
गोवा के गिरजाघर एवं कॉन्वेंट
1986년

카주라호 기념물군
खजुराहो स्मारक समूह
1986년

함피 기념물군
हम्पी
1986년

파테푸르 시크리
फतेहपुर सीकरी
1987년

파타다칼 기념물군
पत्तदकल
1987년

엘레판타 동굴
एलिफेंटा की गुफाएँ
1987년

대 촐라 사원
महान चोल मंदिर
1989년

산치의 불교 기념물군
साँची के बौद्ध स्तूप
1993년

델리의 후마윤 묘지
हुमायूँ का मकबरा
1993년

델리의 쿠트브 미나르 유적지
कुतुब मीनार एवं अन्य स्मारक
1999년

인도 산악 철도
भारतीय पर्वतीय रेल, दार्जिलिंग
2002년

부다가야의 마하보디 사원 단지
बोधगया का महाबोधि विहार
2003년

빔베트카의 바위 은신처
भीमबेटका शैलाश्रय
2003년

차트라파티 시바지 역
(옛 빅토리아 역)
छत्रपति शिवाजी टर्मिनस
2003년

참피네르 - 파바가드 고고 공원
चंपानेर-पावागढ़ पुरातत्व उद्यान
2007년

붉은 요새 복합단지
दिल्ली का लाल किला
2010년

자이푸르의 잔타르 만타르
जंतर मंतर, जयपुर
2013년

라자스탄 구릉 요새
राजस्थान के पहाड़ी दुर्ग
2014년

구자라트주 파탄의 라니키바브
(왕비의 계단 우물)
रानी की वाव
2016년

비하르 날란다의 날란다 대승원
(날란다 대학교)
नालन्दा महाविहार (नालंदा विश्वविद्यालय)
2016년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작품
: 모더니즘 운동에 관한 탁월한 기여

ली कोर्बुज़िए के वास्तुशिल्प
2017년

아마다바드 역사 도시
अहमदाबाद का ऐतिहासिक शहर
2018년

뭄바이의 빅토리아와 아르데코 양식의 건축군
मुंबई का विक्टोरियन और आर्ट डेको एनसेंबल
2019년

라자스탄의 자이푸르
राजस्थान जयपुर
2021년

라마파 사원
रामप्पा मंदिर
2021년

돌라비라
: 하라판 도시

धोलावीरा
자연유산
1985년

카지랑가 국립공원
काज़ीरंगा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1985년

마나스 야생동물 보호 구역
मानस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1985년

케올라디오 국립공원
केवलादेव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1987년

순다르반스 국립공원
सुंदरवन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1988년

난다 데비 국립공원과 꽃의 계곡 국립공원
नन्दा देवी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एवं फूलों की घाटी
2012년

인도의 서 고츠 산맥
पश्चिमी घाट
2014년

그레이트 히말라야 국립공원 보존 지역
ग्रेट हिमालयन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복합유산
2016년

칸첸중가 국립공원
कंचनजंगा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 }}}}}} ||

파일:칸첸중가.jpg
다즐링[1]에서 바라본 칸첸중가
칸첸중가
Mount kanchenjung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angchenjunga_South_Face.jpg
칸첸중가 남벽 #
<colbgcolor=#005fa1> 높이 8,586m / 세계 3위봉
언어별
명칭
영어 kanchenjunga (칸첸중가)
Kangchenjunga (캉첸중가)
티벳어 གངས་ཆེན་མཛོད་ལྔ་ (Gangs-chen-mdzod-lnga)[2]
네팔어 कञ्चनजङ्घा (Kanchanjaŋghā)
중국어 干城章嘉峰 (Ganchengzhangjia Feng)
지형학적
상대높이
3,922m / 세계 29위
모체
봉우리
에베레스트
위치 파일:네팔 국기.svg네팔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산맥 히말라야산맥
최초
등정
1955년
조지 밴드 (George Band, 영국)
조 브라운 (Joe Brown, 뉴질랜드)
역대
등정 횟수
209회 (8,000m급 14좌 중 13위) [3]
등반 중
사망률
23.24% (8,000m급 14좌 중 3위)[4]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한국어 칸첸중가국립공원
힌디어 कंचनजंगा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영어 Khangchendzonga National Park
프랑스어 Parc national de Khangchendzonga
국가·위치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시킴
등재유형 복합유산
지정번호 1513
등재연도 2016년
등재기준 (ⅲ)[5], (ⅵ)[6], (ⅶ)[7], (ⅹ)[8] }}}

1. 개요2. 등정 역사3. 기타

[clearfix]

1. 개요

네팔인도의 국경에 위치한, 히말라야산맥의 일부분을 이루는 이다. 해발고도 8,586m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산이기도 하다. 또한 인도의 최고봉이다.

칸첸중가는 다음과 같이 주봉 하나와 네 개의 위성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 칸첸중가 주봉 (8,586m)
  • 칸첸중가 서봉 (얄룽캉, 8,505m)
  • 칸첸중가 남봉 (8,494m)
  • 칸첸중가 중봉 (8,482m)
  • 캄바첸 (7,903m)

'칸첸중가'라는 이름은 '다섯 개의 눈으로 덮인 보물'을 뜻하는데, 이와 같이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뤄진 탓이다. 지역 전설에 따르면 이 다섯 개의 보물은 , , 보석, 곡식, 경전을 뜻한다고 한다. 저 다섯 봉우리 중 서봉인 얄룽캉은 독립봉으로 인정을 받고 있어, 최근에는 로체의 위성봉인 로체샤르와 함께 8,000m급 이상의 고봉을 의미하는 14좌에 덧붙여져 16좌 혹은 14+2 좌로 불리기도 한다.

1852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여겨졌으나, 영국 측량대의 관측에 의해 에베레스트 산이 발견된 뒤 순위가 밀려났다.

2. 등정 역사


파일:Kangchenjunga_NASA.jpg

칸첸중가는 등정하기 까다로운 산으로 정평이 나있다. 위성사진을 보면 동서방향와 남북방향으로 산마루(ridge)가 형성되어 십자 형태를 띄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동쪽 능선처럼 보이는 것은 사면의 골짜기 부분이 착시로 인해 그렇게 보이는 것이며, 실제로는 세개의 능선(서쪽, 북쪽, 남쪽)과 세개의 사면(동쪽, 남쪽, 북쪽)으로 이루어져있다.

아래 사진은 차례로 동벽, 남벽, 북벽인데 보다시피 동벽과 남벽은 거의 수직절벽이다. 특히 인도에서 출발해서 오르는 남벽 루트는 난이도도 난이도지만 인도정부에서 등반을 금지해 성공한 등정이 3회에 불과하다고 한다.

파일:Kangchenjunga_East_Face.jpg

파일:Kangchenjunga_South_Face.jpg

파일:Kangchenjunga_North_Face.jpg

19세기 중반부터 서양인들에 의한 등반이 시작되었고. 1899년에 첫 등정 시도가 있었던 뒤로 계속 여러 원정대가 정상에 도전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중도에 되돌아가는 일이 잦았다. 이런저런 루트로 등정을 시도했으나 대원의 사망, 영 좋지 않은 날씨, 네팔과 인도 측의 압박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등반이 계속 좌절되었다. 등반가 중에 특이한 사람으로는 알레이스터 크로울리가 있는데, 세르파 3명을 희생하고 실패했다.[9]

마침내 1955년 5월 25일에 영국의 조지 밴드와 조 브라운이 등정에 성공한다. 등정 기간은 4월 18일부터 캠프에 돌아온 5월 28일까지.

대한민국에서는 1988년 부산 대륙산악회 칸첸중가 원정대의 이정철 대원이 등정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확실한 증빙 사진을 제시하지 못해서 등정 성공에 대해서 의혹이 발생했고, 결국 등반 성공을 인정받지 못했다. 사진을 찍긴 했는데, 카메라 조작 실수등으로 제대로된 사진이 남지 않았다고 한다. 참고로 원정중에 대원 1명이 사망하였다. #1 #2

이후 1999년 박영석 대장이 등정에 성공하며, 이를 한국인 초등으로 인정하고 있다.

서쪽으로 5km 정도에 위성 봉우리로 자누(Jannu)가 있는데 등반하기 극악스러운 "21세기의 벽"이라고도 불린다.[10] 구글지도 3D에서 보면 알겠지만 시작부터 끝까지 수직절벽이다. 2004년 알렉산더 오딘초프를 대장으로 하는 러시아 등반팀은 자누 북벽에 신루트를 개척하면서 2005년 황금피켈상을 수상했다.

등반장비가 개선된 현대에도 이곳에서 사망하는 등반가들이 여전히 많아, 등정사망률이 집계된 1990년대 이후, 이곳의 등정사망률은 20%가 넘어 K2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등정사망률이란 개념은 '정상에 오르는 데 성공한 사람 대비 전체 등반과정에서 사망한 사람의 비율'로, 사망률이 20%를 '5명이 등반시도할 때마다 1명씩 죽는다'라는 식으로 해석하면 곤란하다.[11]

3. 기타

  • 대한민국의 여성 산악인 오은선2010년 안나푸르나를 등정하면서 히말라야 8,000m급 14좌를 완등한 세계 최초의 여성 14좌 완등 산악인이 되는 듯 했다. 그러나 2009년 칸첸중가를 무산소로 등정했다는 주장에 대해, 정상을 너무 빨리 올랐다는 점, 정상 사진이 부족하다는 점,[12] 완등했다면서도 정상까지 오르려면 꼭 거쳐야하는 포인트들의 지리를 전혀 모른다는 점 등의 의혹이 제기되었다. SBS에서도 2010년 8월 21일 그것이 알고싶다를 통해 의혹을 제기한 바가 있다. 한국산악회는 등정 성공, 대한산악연맹에서는 최종적으로 칸첸중가 등반에 실패했다는 결론을 내린 상태다.
오은선 본인은 이런 의혹을 강력히 부정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1] 다즐링 홍차로 유명한 인도의 도시.[2] 와일리식 표기법에 의한 표기로, 글자를 그대로 옮긴 것으로 발음과 차이가 있다. 발음에 따른 표기의 경우 중국령 티베트에서 쓰는 티베트어 병음으로는 Kangqênzöng'a(강첸죙아)라고 쓴다. 19세기 이 지역을 방문한 서양인들은 이 산의 이름을 처음에는 Kanchinjínga라고 적었다가, 이후 19세기 말부터 현재의 표기인 Kangchenjunga가 정착되었다.[3] 등정 횟수 14위는 안나푸르나로(153회) 그 다음으로 가장 적다.[4] 안나푸르나, K2 다음이다. 역대 등정 횟수도 안나푸르나 다음으로 적다.[5]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6]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다른 기준과 함께 적용 권장)[7] 최상의 자연 현상이나 뛰어난 자연미와 미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포함할 것[8] 과학이나 보존 관점에서 볼 때 보편적 가치가 탁월하고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 생물학적 다양성의 현장 보존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가 큰 자연 서식지를 포괄[9] '이미 세르파들을 제물로 바쳤으니 지금 시도하면 등정에 성공할 것'이라는 일부 등반대원의 주장이 있었으나, 생각보다는 제정신이었던 크로울리가 포기했다고 한다.[10] Nibble M6R 5.10 WI5, 500m[11] 이론적으로 등정사망률은 100%를 넘어갈 수도 있다.[12] 완등했다고 주장하며 증거로 든 사진은 정작 꼭대기 위에서는 보이지 않는 배경이 뒤에 찍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