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징후철도/역 목록]]{{{#!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京沪铁路 Beijing-Shanghai Railway 징후철도 | }}} | |
| |||
특급열차 | |||
노선 정보 | |||
분류 | 간선 | ||
기점 | 베이징역 | ||
종점 | 상하이역 | ||
역 수 | 89 | ||
개업일 | 1897년 | ||
소유자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
운영자 | 중국국가철로집단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451.4㎞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 LKJ[1], CTCS-0[2]] | ||
최고속도 | 160㎞/h |
1. 개요
징후선은 중국 국철의 8종8횡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된 철도노선이다.징후선의 '징'은 베이징을, '후'는 상하이를 뜻한다. 중국의 가장 큰 두 도시인 베이징과 상하이를 연결한다는 점에서 대한민국의 경부선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총 연장은 1,462km로 세 개의 구간으로 나뉘어 있으며, 중국의 최중요노선인 만큼 거의 모든 구간이 복선이다.[3] 더불어 전 구간이 25,000V-50Hz의 가공전차선으로 전철화되어 있다. 또한 터널을 제외한 전 구간이 지상구간이다.
20세기에 개통한 이후로 큰 확장 공사가 없다보니 2000년대에 이르러 노선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이를 타개하고자 징후고속철도가 건설되었다.
베이징과 광저우를 연결하는 징광선과 더불어 가장 혼잡한 노선인데, 국내선 열차뿐만 아니라 모스크바나 블라디보스토크 평양에서 베이징을 향하는 열차가 모두 이 노선을 거쳐 베이징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전 구간을 운행하는 보통열차 1461/1462 열차가 운행 중이다. 상하이 방면 18시간49분, 베이징 방면 22시간31분이 소요된다.
2. 역사
3. 구간
3.1. 제 1 구간 (베이징-톈진)
징후선의 첫번째구간은 베이징역과 톈진역을 잇는다. 총 길이는 136 km이며 1912년에 개통하였다. 징후선 1구간은 베이징역과 하얼빈역을 연결하는 징하선과 많은부분이 중복된다. 노선상에있는 주요역으로는 베이징역, 랑팡역 그리고 톈진시역 등이있다.3.2. 제 2 구간 (진푸선)
2 구간은 톈진시역과 난징역을 연결한다. 전체노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총 영업거리는 1014 km이다. 톈진과 난징역이 위치한 푸커우[4]를 잇는다하여 진푸선이라고 불린다.3.3. 제 3 구간 (후닝선)
3 구간은 난징역과 종착지인 상하이역을 연결한다. 총 영업거리는 301 km이며 양쯔강 삼각주에 위치한 대도시 대부분을 관통한다. 후닝선의 '후'는 상하이를 뜻하며 '닝'은 난징을 뜻한다하여 후닝선이라고도 불린다. 중화민국이 난징을 수도로 삼던 1927년 부터 1949년까지는 제 3구간에 해당하는 난징-상하이 구간만 징후선이라고 불렸다. 과거에는 진푸선과 후닝선사이에 위치한 양쯔강을 배로 연결했으며 이는 두 구간을 연결하는 난징대교가 개통한 1968년까지 계속되었다. 두 구간이 연결된 후 진푸선과 후닝선을 통합하여 징후철도로 재분류하였다.4. 역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징후철도/역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징후철도/역 목록#|]][[징후철도/역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ATS와 유사한 ZTL을 철거하고 자체규격의 LKJ-2000형 열차운행모니터링 및 기록장치를 백업시스템으로 사용중이다. 탑재된 선로데이터와 기존 궤도회로를 이용한 신호정보를 바탕으로 속도제한정보를 현시한다. 지상자나 위성항법등을 통한 위치정보 보정없이 장비가 계산한 정보를 바탕으로 열차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오차 발생 가능성이 높아 기관사의 정확한 수동 위치보정이 요구된다. 최근엔 베이더우 항법시스템이 탑재된 신형 LKJ-15 열차운행모니터링 및 기록장치가 개발, 배치되고 있다.
바이두백과[2] Chinese Train Control System. ETCS Level 0에 해당
Ning B ,Tang T ,Qiu K ,Gao C ,Wang Q . "CTCS-Chinese Train Control System" COMPUTERS IN RAILWAYS : 393-400.
바이두백과
중국 열차제어시스템(CTCS) 분류
The New Development of CTCS in the Intercity Railway
[[파일:CTCS, ETCS비교.webp][3] 제 1구간인 베이징-톈진 구간은 복선+단선 형식의 3선이다.[4] 현재 이곳은 난징 북역이 있다.
바이두백과[2] Chinese Train Control System. ETCS Level 0에 해당
Ning B ,Tang T ,Qiu K ,Gao C ,Wang Q . "CTCS-Chinese Train Control System" COMPUTERS IN RAILWAYS : 393-400.
바이두백과
중국 열차제어시스템(CTCS) 분류
The New Development of CTCS in the Intercity Railway
[[파일:CTCS, ETCS비교.webp][3] 제 1구간인 베이징-톈진 구간은 복선+단선 형식의 3선이다.[4] 현재 이곳은 난징 북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