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3 22:23:39

광선철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간선 남북 주간선(5종)징하철도 - 징광철도, 징주철도, 징후철도, 자오류철도, 바오청철도 - 청쿤철도
동서 주간선(3횡)징바오철도 - 바오란철도, 룽하이철도 - 란신철도, 후쿤철도
하얼빈그룹징하철도, 핑치철도, 빈베이철도, 쑤이자철도, 빈저우철도, 빈쑤이철도
선양그룹징하철도, 핑치철도, 징퉁철도, 진산철도, 보하이 철도 페리, 바이아철도, 창바이철도, 창투철도, 선지철도, 선단철도, 선다철도, 선산철도
베이징그룹징퉁철도, 징하철도, 징후철도, 징광철도, 징주철도, 진산철도, 징바오철도, 탕바오철도, 스타이철도, 한지철도, 스더철도, 진바철도
타이위안그룹징바오철도, 스타이철도, 타이중철도, 퉁푸철도, 타이자오철도
후허하오터그룹징바오철도, 탕바오철도, 바오시철도, 바오란철도, 지얼철도, 지퉁철도
정저우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룽하이철도, 신스철도, 타이자오철도, 자오류철도, 닝시철도
우한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자오류철도, 닝시철도, 우주철도, 샹위철도, 뤄푸철도, 멍바오철도, 한단철도
시안그룹룽하이철도, 바오시철도, 퉁푸철도, 타이중철도, 닝시철도, 샹위철도, 바오청철도, 시캉철도
지난그룹징후철도, 징주철도, 한지철도, 신스철도, 보하이 철도 페리, 란옌철도, 자오지철도
상하이그룹징후철도, 징주철도, 룽하이철도, 후쿤철도, 닝시철도, 푸자철도, 칭푸철도, 푸화이철도, 화이난철도, 항융철도, 쉬안항철도, 닝치철도
난창그룹징주철도, 후쿤철도, 우주철도, 지헝철도, 펑푸철도, 잉샤철도
광저우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후쿤철도, 자오류철도, 지헝철도, 이잔철도, 샹구이철도, 위화이철도, 광선철도, 광마오철도, 스창철도
난닝그룹자오류철도, 이잔철도, 샹구이철도, 난쿤철도, 첸구이철도, 리잔철도
청두그룹후쿤철도, 바오청철도, 청쿤철도, 샹위철도, 란위철도, 첸구이철도, 위화이철도, 청위철도, 네이류철도, 청야철도, 촨첸철도
쿤밍그룹후쿤철도, 청쿤철도, 난쿤철도, 쿤위허철도, 쿤추다철도, 다리철도, 리샹철도, 위모철도
란저우그룹룽하이철도, 란신철도, 바오란철도, 란칭철도, 란위철도, 둔거철도, 간우철도, 둔황철도
우루무치그룹란신철도, 난장철도, 거쿠철도, 쿠이아철도, 징이훠철도, 카허철도, 허뤄철도
칭짱그룹칭짱철도, 란칭철도, 둔황철도, 거쿠철도, 라르철도, 라린철도
기타 하얼빈그룹투자철도, 라빈철도, 퉁랑철도, 푸시철도, 이자철도, 야린철도, 차오우철도, 치베이철도, 베이헤이철도, 난우철도, 허강철도, 보치철도, 자푸철도, 푸첸철도, 샹하철도, 첸푸철도, 린둥철도, 청지철도, 보린철도, 이민철도, 훠룽거우철도, 웨이야철도, 유바오철도
선양그룹투자철도, 라빈철도, 퉁랑철도, 진청철도, 이아철도, 쑹타오철도, 타오수철도, 지수철도, 쓰메이철도, 랴오창철도, 차오카이철도, 허룽철도, 바이허철도, 훈바이철도, 야다철도, 메이지철도, 퉁관철도, 번환철도, 펑상철도, 랴오시철도, 잉커우철도, 카이위안철도, 거우하이철도, 신이철도, 다정철도, 퉁훠철도, 간쿤철도, 예츠철도, 티우철도, 하이좡철도, 웨이타철도
베이징그룹진철철도, 징위안철도, 한장철도, 청룽철도, 징청철도, 화이판철도, 타이시철도, 탕차오철도, 진지철도, 양다철도
타이위안그룹징위안철도, 허우웨철도, 한위안철도, 닝커철도, 신허철도, 제시철도, 타이싱철도
후허하오터그룹린하철도, 후준어철도, 바오바이철도, 신상철도, 시둬철도, 다펑철도, 시얼철도
정저우그룹신웨철도
우한그룹이완철도, 마우철도, 샤오리철도, 창징철도, 야이철도
시안그룹허우시철도, 시핑철도, 바오중철도, 톈핑철도, 황한허우철도, 간중철도, 셴퉁철도, 양안철도
지난그룹자오신철도, 룽옌철도, 하이칭철도, 더다철도, 쯔둥철도, 신타이철도, 짜오린철도, 타오웨이철도
상하이그룹자오신철도, 퉁주철도, 완간철도, 취닝철도, 신창철도, 쑤화이철도, 수이벙철도, 푸류철도, 허주철도, 안칭철도, 루퉁철도, 닝퉁철도, 진첸철도, 진산철도, 하이양철도, 진타이철도
난창그룹취닝철도, 완간철도, 퉁주철도, 간사오철도, 장룽철도, 와이난철도, 간룽철도, 젠화철도, 칭관철도, 싱취안철도
광저우그룹간사오철도, 장룽철도, 위룽철도, 핑난철도, 난사강철도, 잔하이철도, 웨하이철도, 하이난 서부순환철도
난닝그룹마위철도, 위톄철도, 허마오철도, 톈징철도
청두그룹이완철도, 수이훙철도, 다완철도, 광다철도, 다청철도, 청두 서부순환철도, 룽황철도, 싱뤄철도, 후융철도, 충칭 동부순환철도
쿤밍그룹수이훙철도, 웨이훙철도, 판시철도, 쿤스철도, 쿤위허철도, 쿤양철도, 광다철도, 다린철도, 다루이철도
란저우그룹시핑철도, 바오중철도, 톈핑철도, 주어철도, 핑루철도, 훙후이철도
우루무치그룹린하철도, 우장철도, 아푸준철도, 커타철도, 보저우지선철도, 쿠어철도, 아아철도, 투무수커철도
칭짱그룹차카철도
}}}}}}}}} ||

<colbgcolor=#fff,#1f2023> 파일:광선철로유한공사 로고.svg
广深铁路
Guangzhou - Shenzhen Railway
광선철도
노선 정보
분류 일반철도
기점 광저우역
종점 선전역
역 수 19
개업일 1911년 10월 5일
(광주철도 중국구간)
소유자 파일:광선철로유한공사 로고.svg
광선철로유한공사
운영자 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
중국국가철로집단
차량기지 광저우둥 동차운용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147 km
궤간 1,435㎜
선로구성 복선[1]
복복선[2]
사용전류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자동폐색, 차내신호폐색[3]
보안장비 LKJ[4] ,CTCS-2[5]
최고속도 180 km/h


파일:广深铁路.png
광저우와 선전을 잇는 광선철도 노선. 그 밑으로 광선강고속철이 지난다

1. 개요2. 역 목록

[clearfix]

1. 개요

광선철도는 광둥성의 양대 대도시 광저우와 선전을 잇는 간선철도노선으로 1911년 10월 8일 광저우의 다사터우역(大沙头站)[6]영국령 홍콩 까우룽(九龙)을 잇는 광주철도 중국구간(广九铁路华段)이 개통하면서 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는데 현재는 중국철도광저우국집단 산하 광선철로유한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고속화를 위해 광저우둥역부터는 복복선화되어 일부 역사만 정차하는 CRH를 투입하여 운영중이다.

홍콩 쪽 동철선과도 직통운행이 이뤄지고 있다.

복복선화 할만큼 수요가 상당한 이구간을 대체하여 2011년 12월 26일에는 징광고속철도를 연장한 광선고속철도가 우회 개통되었는데 추가적으로 2018년 9월 28일에는 홍콩의 홍콩사이까우룽역까지 지하노선으로 개통되었다.

2. 역 목록

역명 Ⅰ/Ⅱ선 Ⅲ/Ⅳ선 분기선 환승노선 소재지
0 광저우역
广州
- O 징광철도
광마오철도
광저우 2호선
광저우 5호선
광저우시
8 광저우둥역
广州东
O O 광저우 1호선
광저우 3호선
14 스파이역
石牌
| O
18 톈허둥역
天河东
| O 황푸지선
28 샤위안역
下元(货)
| | 황푸신항지선
광저우석화지선
39 신탕역
新塘
| O 광산고속철도
51 셴춘역
仙村(货)
| | 광스철도
69 스룽역
石龙
| O 스룽항지선 둥관시
71 둥관역
东莞
O O 둥관 2호선
75 차산역
茶山(货)
| |
90 창핑역
常平
O O 징주철도
94 투탕역
土塘
| O 징주철도
103 장무터우역
樟木头
O O
127 핑후역
平湖
O O 샤선철도연결선 파일:선전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선전 10호선 선전시
131 핑후난역
平湖南(货)
| | 핑난철도
핑옌철도
139 선전둥역
深圳东
| O 파일:선전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 선전 3호선
파일:선전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선전 5호선
파일:선전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 선전 14호선
144 쑨강역
笋岗(货)
| |
147 선전역
深圳
O O 파일:선전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선전 1호선
파일:선전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 선전 9호선
동철선
182 홍함역
紅磡
- 동철선
튄마선
홍콩특별행정구

[1] 광저우 - 광저우둥[2] 광저우둥 - 선전[3] 궤도회로를 사용한 JTI-CZ2000형 차내신호[4] ATS와 유사한 ZTL을 철거하고 자체규격의 LKJ-2000형 열차운행모니터링 및 기록장치를 백업시스템으로 사용중이다. 탑재된 선로데이터와 기존 궤도회로를 이용한 신호정보를 바탕으로 속도제한정보를 현시한다. 지상자나 위성항법등을 통한 위치정보 보정없이 장비가 계산한 정보를 바탕으로 열차위치를 파악하기때문에 오차 발생 가능성이 높아 기관사의 정확한 수동 위치보정이 요구된다. 최근엔 베이더우 항법시스템이 탑재된 신형 LKJ-15 열차운행모니터링 및 기록장치가 개발, 배치되고 있다.
바이두백과
[5] Chinese Train Control System. ETCS Level 1에 해당,국내 ATP와 유사하게 작동. Eurobalise와 디지털 궤도회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특징임.
Ning B ,Tang T ,Qiu K ,Gao C ,Wang Q . "CTCS-Chinese Train Control System" COMPUTERS IN RAILWAYS : 393-400.
바이두백과
중국 열차제어시스템(CTCS) 분류
The New Development of CTCS in the Intercity Railway
파일:CTCS, ETCS비교.webp
[6] 1974년에 현 위치로 옮겨서 영업을 시작한 광저우역의 전신으로 지금은 이 일대에 광둥교통빌딩(广东交通大厦)과 광주철도기념원(广九铁路纪念园) 등이 들어서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