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373a3c> | <colbgcolor=#fff,#2d2f34>서울예술고등학교 · 국립국악고등학교 ·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 덕원예술고등학교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2] · 선화예술고등학교 |
| 부산예술고등학교 · 브니엘예술고등학교 ·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 ||
| 경북예술고등학교 | ||
| 인천예술고등학교 | ||
| 광주예술고등학교 | ||
| 세종예술고등학교 | ||
| 경기예술고등학교 · 계원예술고등학교 · 고양예술고등학교 · 안양예술고등학교 | ||
| 강원예술고등학교 | ||
| 충북예술고등학교 | ||
| 충남디자인예술고등학교 · 충남예술고등학교 | ||
| 전주예술고등학교 | ||
| 전남예술고등학교 · 진도국악고등학교 · 한국창의예술고등학교 | ||
| 경남예술고등학교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조도고등학교 | 진도고등학교 | ▣ 진도국악고등학교 | ◈ 진도실업고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전라남도의 예술고등학교 | ||
| 전남예술고등학교 | 진도국악고등학교 | 한국창의예술고등학교 |
| <colbgcolor=green><colcolor=white> 진도국악고등학교 珍島國樂高等學校 JINDO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 |
| | |
| <nopad> | |
| 개교 | 1982년 03월 10일 |
| 유형 | 예술고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전신 | 석교고등학교 |
| 교장 | 윤일성 |
| 교감 | 윤○숙 |
| 교화 | 동백 |
| 교목 | 향나무 |
| 학생 수 | 61명[기준] |
| 교직원 수 | 32명[기준] |
| 관할청 | 전라남도교육청 |
| 주소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석교길 20-4 |
| 홈페이지 | |
1. 개요
전라남도 진도군에 위치한 공립 예술계 특수목적 고등학교. 전국에 있는 국악계열 예술고등학교[3] 중 유일한 공립이며, 유일하게 진도에 위치해 하고 있다. 전국모집이며, 기숙사가 있다. 기숙사 명칭은 진악사,진향관이다.2. 학교 연혁
| <colbgcolor=green><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 1982. 01. 15. | 석교고등학교 설립인가 (15학급) |
| 1982. 03. 10. | 석교고등학교 개교 |
| 2008. 02. 28. | 체육관(부용관) 준공 |
| 2008. 08. 09. | 예술계열 특수목적고 국악과 신설 (학칙변경 6학급) |
| 2009. 12. 14. | 생활관(진악사) 준공 |
| 2013. 03. 01. | 석교고등학교 교명을 진도국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2015. 02. 25. | 생활관(진향관) 준공 |
| 2020. 01. 03. | 제36회 33명 졸업(졸업생 총수 2799명 배출) |
| 2020. 03. 01. | 이병채 교장 부임 |
| 2021. 01. 13. | 제37회 16명 졸업(졸업생 총 수 2815명) |
| 2022. 01. 07. | 제9회(석교고38회) 21명 졸업(졸업생 총 수 2836명) |
3. 학교 상징
- 출처: 진도국악고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3.2. 교화
동백정열과 인내
3.3. 교목
향나무이상과 의지
3.4. 교색
녹색희망과 평회